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유아의 접속어미 형태 습득에 관한 연구

        장경희,전은진,이우연,권미정 한국어의미학회 2009 한국어 의미학 Vol.30 No.-

        Chang, Kyung-hee. Jeon, Eun-jin. Lee, U-yeon. & Gweon, Mi-jeong. 2009. A Study on Infants' Acquisition of Connective Ending Forms. Korean Semantics, 30. This study is an examination of Infants' Acquisition of connective ending forms. There is an individual difference in language development, but significant similarity can be seen in the process. As basic research, we have surveyed of actual state of ending uses in terms of connective ending types, occurrence orders and frequency level. Depending on these results, we made an attempt to find the universality of the period and order of the acquisi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assumes that the connective ending form initially learned by infants, is ‘-go’ and followed by ‘-myeon’ and ‘-aseo’ and, the developmental stages of connective endings can be divided into four ones. The endings belonging to the first stage include ‘-go, -myeon, -aseo’ which are used by 6 infants. The second stage include ‘-ryeogo, -nikka, -daga and -neunde’, which are learned more or less during this period, even though individual differences exist. The third stage include ‘-ni, -ado, -myeonseo, -ryeo, and -reo’. And the fourth stage include ‘-aya, -ryeomyeon, -atja, -goseo, -deoni, and -jiman’, that these forms are learned by infants of three years and over.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 we have concluded that the development of connective endings with children of 30 months and over reaches a stable stage and they use connective endings in a similar frequency to adults.

      • KCI등재

        관형사형 어미에 따른 한국어 추측 표현 {-을 것 같다}의 중국어 대응표현 연구

        장경희 한중인문학회 2018 한중인문학연구 Vol.59 No.-

        본고는 관형사형 어미에 따른 {-을 것 같다}의 중국어 대응표현을 살펴봄으로써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 자료를 마련하는 것을 시도하였다. 개연성 추측의 경우, ‘应该’는 [+근거]의 의미적 특성 때문에 추측 시 근거가 필수적이며 ‘会’는 추측의 근거에 대한 제약이 없기 때문에 자유롭게 대응할 수 있다. 특히, 공손성과 객관 적 추측을 나타내는 ‘-은/던/는 것 같다’에 대응되는 경우, ‘应该’는 ‘会’보다 더 적절한 대응표 현이라고 본다. ‘应该会’는 미래 지향성을 띄며 미래를 추측하는 ‘-을 것 같다’의 의미적 특성 과 잘 호응한다. 가능성 추측의 경우, ‘-은/던/는 것 같다’가 하는 추측은 ‘-을 것 같다’보다 높은 신뢰도에 기반한 추측이기에 객관성이 강한 추측을 할 때 ‘可能’이 더 많이 대응이 된다. 또한 의견이나 주장을 단언하지 않고 완곡하게 제시할 때에도 ‘可能’의 대응이 ‘-은/던/는 것 같다’의 의미적 특성을 더 잘 반영할 수 있다. ‘可能会’는 ‘가능성+미래성’으로 의미 해석이 되기 때문에 미래 의 일에 대한 추측을 하는 ‘-을 것 같다’에 가장 적절한 의미적 대응이 된다. 필연성 추측의 경우, 모든 양태 조동사가 ‘-을 것 같다’에만 대응되었다. ‘要’는 화자 자신의 심리 상태 추측에 대응되며, ‘肯定会’와 같은 필연성 양태 조동사 결합형은 관형사형 어미 ‘- 을’의 미래의 일에 대한 추측 의미와 가장 잘 부합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orresponding expressions of Korean epistemic speculative {-ul kes kathta} to Mandarin Chinese followed by the adnominal endings. Based on this parallel corpus approach, the author found that both of the modal auxiliary verbs of ‘probability’ and ‘possibility’ takes a large proportion, however, the modal auxiliary verbs of ‘certainty’ only takes a very small proportion. Therefore, {-ul kes kathta} is more often used in showing speaker‘s prediction of the ’probability’ and ‘possibility’ of a proposition or an event. Although the Chinese modal auxiliary verbs corresponding to Korean speculative showed similar degrees of certainty, the study discerned differences in their usage followed by the change of adnominal endings as the former have unique semantic characteristics. So the author examined how are the modal auxiliary verbs corresponding to {-ul kes kathta} followed by the various adnominal endings. As a conclusion, ‘-ul kes kathta’ is corresponding with ‘Hui’ and ‘Yinggaihui’ of ‘probability’, ‘Kenenghui’ of ‘possibility’, ‘Yao’ and ‘Kendinghui’ of ‘certainty’. And ‘-eun/den/neun kes kathta’ is corresponding with ‘Hui’ of ‘probability’ of ‘Yinggai’ and ‘Keneng’ of ‘possibility’.

      • KCI등재

        전라감영 선화당 내 기물과 의식구의 원형 고증 및 복원

        장경희 전북사학회 2020 전북사학 Vol.0 No.60

        This paper is intended to serve as a reference for future restoration by proving the original objects and rituals for Seonhwadang in Jeollagamyeong during the Joseon Dynasty. I analyzed the photos taken by Pete in 1884, the diary, and the layout drawings, and analyzed the events of local officials painted on genre paintings in the late Joseon period to reveal the quantity of crafts and ceremonial instruments by type. In addition, the existence of the artefact was proved through relics and photographs held in various museums. First, the inside and outside of Seonhwadang are decorated with a Dancheong patterns, and the pillars are painted with Stone wine pigment. Korean paper is applied on the lower part of the pillars, and a blue band is wrapped. A large square paper lantern hangs from the ceiling. Large sedgy mats are laid on the entire floor and a red lacquered chair is placed. In the center of the wall, a folding screen depicting a blue dragon and a white tiger is placed. On the other side of the wall, ceremonial tools such as a spear(Duk) and a fan are mounted on the pedestal. Second, in the Ondol room, there is a wide, low chair for the official to sit on, and on top of it, a sedgy mat and cushion are placed on it. A desk is placed in front of the wide chair, and two tables covered with red cloth are placed next to it. On each of the two tables, place a box with a seal on it. As such, I expect that the artifacts proven through this study will be placed in Seonhwadang and restored to their original state. 본고에서는 조선시대 전라도를 통치했던 관리가 머물던 관청인 감영의 중심 전각인 선화당을 대상으로 삼아 그곳에 배치할 기물이나 의식구의 원형을 고증하여, 향후 복원할 때 참고가 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1884년 피트가 찍은 사진과 관련 일지 및 배치도를 분석하였다. 다음 조선 후기에 지방을 통치한 관리들의 행사를 그린 풍속화를 분석하여 관련 기물의 종별 수량을 알아보았다. 자료에 의해 파악한 기물이나 의식구를 각급 박물관에 소장된 유물이나 사진자료를 통해 밝혀 보았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것들을 재현 제작하여 선화당 내에 다음과 같은 기물을 복원하여 배치하기를 제안한다. 첫째, 건물에는 단청을 칠한다. 기둥에는 붉은 칠을 하고 아래쪽을 하얀 한지를 바르고 가장자리에 청색 띠를 두른다. 마루의 기둥에는 네모난 종이등을 매달고,, 바닥에는 돗자리를 깔고, 관리가 앉는 주칠 의자를 배치한다. 벽에는 청룡도와 백호도를 그린 병풍을 배치한다. 한쪽 벽에는 둑이나 부채와 같은 의식구를 받침대에 꽂아 세워둔다. 둘째 방안에는 평상을 넣고 그 위에 화문석과 방석을 깔아 관리가 앉을 수 있게 한다. 평상 앞에는 책상을 놓고, 그 옆에는 빨간 천을 덮은 탁자 2개를 놓고 관리의 도장 2개를 넣은 함을 각각 배치한다. 이처럼 건물 내부가 고증한대로 기물과 의식구가 원형대로 복원되어 지역사회의 역사의식이 높아지고 문화관광이 활성화되길 기대해본다.

      • KCI등재

        국어 지시 화행의 유형과 방법 및 지시 강도

        장경희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005 텍스트언어학 Vol.19 No.-

        This paper presents the types and the performative ways of Korean directive illocutionary acts. At first, I have observed that there are various expressions and ways to perform Korean directive acts. I have considered Korean directive types in terms of decision procedures of speaker's directive intention. In the result, the directive types can be classified into directives with speaker's view, directives with hearer's view, and directives with neutral ground. Depending on this types, I have characterized the performative forms, ways and powers. The strength of directives can be specified through the concept of ‘binding’, and ‘forcing’.

      • KCI등재

        조선 태조비 神懿王后 齊陵 연구

        장경희 한국미술사학회 2009 美術史學硏究 Vol.263 No.263

        조선시대의 국왕들 중 정통성이 결여된 왕들은 자신의 왕위계승에 대한 정당성을 인정받기 위하여 선대를 왕릉에 안장하고 신위를 종묘에 안치하여 국가적 享祀를 받들게 하는데 심혈을 기우렸다. 태종도 무력으로 정권을 장악한 군주였다. 따라서 태종은 의도적으로 태조의 원비이자 자신의 친모인 청주 한씨를 신의왕태후로 추존하고, 그 무덤을 왕릉으로 조성하였으며, 태조와 함께 종묘에 부묘하였다. 그러나 태조의 계비이자 조선 최초의 왕비로서 왕후가 되지 못하고 생을 마감한 신덕왕후 강씨의 정릉은 천장하고 종묘에 들이지 않았다. 태종이 조성한 제릉이 조선 초 왕릉의 전범으로 자리매김한 것도 이러한 태종의 의도가 깔려있었기 때문이다. 태종은 제릉을 조성할 때 신도비를 세우거나 재궁을 영건하거나 능상 석물들을 조성하되 여느 왕과 왕비보다 훌륭하게 조영하였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을 바탕에 깔고 조성된 제릉의 여러 조형물들은 나름대로의 역사적 의미를 갖고 있었다. 첫째, 태종이 조성한 제릉의 건물과 석물에는 전대에 유행하던 불교적 상징성이 여전히 두드러졌지만 유교적 색채도 가미되었다. 능침사찰이던 연경사는 신의왕후의 명복을 불법에 의탁하여 빌었을 뿐 아니라 왕릉을 수호하고 나아가 효를 실천할 수 있도록 배려하였다. 능침 주위 사대석물은 면석에 불교적인 금강저․금강령을 새겼고, 위쪽 인석에는 용머리를 배치하여 국왕의 위상을 부각시키고자 하였다. 장명등은 고려 말에 흔하던 사각 형태에서 승탑식 원당형의 육각 형태를 새롭게 채택하여 유교가 국시였음에도 불교에 경도되었던 조선 초기 왕실 불교의 일면을 반영하였다. 둘째, 제릉에 대한 국왕의 능행과 신도비의 조성은 왕권강화의 상징이었다. 태종은 1년에 한 번이상의 능행으로 신의왕후에 대한 효심을 널리 알렸고, 동시에 수만 명의 군사를 동원하여 수렵과 열병을 실시하여 자신의 위엄을 과시하였다. 우람한 빗돌을 아름답게 조각한 신도비에는 신의왕후의 공덕과 자신의 왕위계승을 정당화하는 내역을 새겨 당대는 물론 후대의 왕과 제신들이 숙지하게 하였다. 영조나 고종황제가 신도비를 중수한 것도 여기에 연유했던 것이다. 셋째, 제릉은 고려 왕릉의 기본 구조 위에 새로운 조형요소를 도입하여 조선 초기 왕릉의 제도를 확립하는 데 전범이 된 왕릉이었다. 신덕왕후의 정릉은 고려 말 현․정릉의 전통을 계승한 데 비해, 제릉은 건원릉을 비롯한 조선 초기 왕릉의 양식에 영향을 끼쳤다. 신도비는 조선 초기 왕릉의 지표라 할 수 있는 기념비적 조형물이 되었고, 육각형태의 장명등은 고려 왕릉과 구별되는 두드러진 변화로서 적용되었으며, 사대석물의 문양은 불교적인 경향에서 유교적인 것으로 대체되고 있었다. 원간섭기부터 제작되기 시작한 석양․석호 및 교각복두를 쓴 문석인이나 갑주를 입은 무석인이 조선 초기에도 여전히 조성되었다. 그러나 과장된 형태를 줄이고 세부 문양을 취사선택하여 조선식으로 변형시킨 제릉의 양식적 특성은 이후 건원릉으로 전해져 조선 왕릉 조성의 선례를 이루었다는 점에서 미술사적 의미가 있었다. Joseon rulers who were not direct-line royal descendants had tombs befitting a monarch built for their biological parents and housed their memorial tablets inside Jongmyo, the royal shrine normally reserved to past kings, in an attempt to legitimize their succession to the throne. Royal tumuli and memorial tablets of these dead royals were, in other words, symbols essential for sustaining a ruler’s legitimacy in Joseon. King Taejong, for instance, was a monarch who seized the throne by force. He posthumously bestowed the title of Queen Dowager Sinui on his late mother, who was the first wife of King Taejo, and had a tomb built for her in a style and size identical to a queen’s tomb (her graveyard is known as “Jereung”). Her memorial tablet was housed inside Jongmyo, placed next to that of King Taejo. Meanwhile, Taejong ordered the tomb of his step mother, Queen Consort Sindeok to be relocated and barred her memorial tablet from being introduced to Jongmyo. It was, therefore, not by accident that Jereung, King Taejong’s biological mother’s tomb, became a classical example of an early-Joseon royal tumulus. King Taejong ordered the coffin and graveyard stone monuments and sculptures including stone steles to be made more elaborately and to look more grandiose than was the custom then. The many stone sculptures and monuments in Jereung, for this reason, are of particularly high historical significance. Firstly, the buildings and stone structures in Jereung, although they were still very much imbibed with Buddhist symbolism from previous eras, already exhibit Confucian characteristics. Yeongyeongsa, the Buddhist temple within the graveyard, was not only a place to pray for the soul of the dead royal lady, but also an edifice symbolizing King Taejong’s filial devotion, whose role was to guard her tomb. The retaining stone slabs and the stone panels surrounding the tomb are carved with the image of a vajra grip and a vajra bell. The holding stone at the upper section bears the image of a dragon head to symbolize the prestige of the monarch. As for the stone lanterns, they are in a hexagonal shape, similar to the style of a stupa, instead of the classical square shape that was popular since the late Goryeo Dynasty; a detail suggesting how Joseon’s royal house in its early years was still steeped in Buddhism, even as it declared Confucianism as the ruling philosophy of the new kingdom. Secondly, the fact that the king personally paid visits to Jereung and that he ordered to have a memorial stele erected there was a gesture that cemented the monarchic authority of King Taejong. King Taejong visited Jereung at least once a year, thus reminding everyone in the kingdom of his filial piety toward his late mother. At each visit, he mobilized dozens of thousands of soldiers for a hunting trip and parade, to show off the prestige of the royal house. The large memorial stele, sculpted with brilliant motifs, had elegiac verses carved on its surface, praising the virtue of the late royal lady and legitimizing his succession to the throne. This gesture of King Taejong, aimed at permanently preserving the memory of his mother and imprinting the rightfulness of his reign in the minds of all, had repercussions in subsequent reigns in Joseon. King Yeongjo and Emperor Gojong, for instance, looked after this stele, and took care to see to necessary repairs and maintenance. Thirdly, Jereung, insofar as it adds new stylistic elements to the basic tomb architecture inherited from the Goryeo Dynasty, became an example for other burial mounds of subsequent generations. Jeungneung, the tomb of Queen Consort Sindeok, for example, was built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style of late Goryeo. Jereung, breaking out the mould of a classical Goryeo tomb, served as the prototype for many early Joseon royal tumuli. The memorial stele became the hallmark of a royal tomb of the early Joseon period, while the hexagonal stone lantern clearly d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