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구지역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죽음태도는 어떠한가?

        장경은(Chang, Kyung-Eun)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5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53

        본 연구는 대구지역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죽음태도를 탐색하여 자신의 죽음에 대한 긍정적 이해를 높이고, 클라이언트의 죽음케어 이해를 증진시켜 전문 사회복지사의 역할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대구지역 대학교의 사회복지전공 2학년 학생 7명이고, 심층인터뷰, 죽음생각글, 초점집단 면접 등을 활용한 질적 방법을 통해 자료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죽음태도는 ‘현실에서 함께 할 수 없음’, ‘종교관으로 죽음을 바라봄’, ‘자살은 부정적 행위임’, ‘잘 죽고 싶음’ 등으로 제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자살과 관련된 의미들이 탐색된 것은 새롭게 도출된 의미있는 발견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대구지역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죽음태도를 긍정적이고 전문적으로 지원해줄 수 있는 사회복지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at enhancing positive understanding of one’s own death by studying the attitudes of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in Daegu, and also focuses on strengthening of the role of a social worker by enhancing the understanding of death care of clients. Participants in this study are 7 second-year undergraduates who are majoring in Social Welfare in Daegu. Data analysis has been conducted by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such as in-depth interview, essay on thoughts of death, focus group interview and so on.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ttitudes of undergraduate students toward death are shown as ‘not being able to be together in this world’, ‘looking at death from religious views’, ‘suicide is a negative deed’, ‘hope to die well’ and so on. Having figured out the sense related to suicide is one of the significant results which is newly drawn from this study. Thus, this study puts forward social welfare suggestions for the ways of providing special support to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in their building positive attitudes toward death.

      • KCI등재

        빈곤노인의 노화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장경은(Chang Kyung-Eun) 한국사회복지학회 2009 한국사회복지학 Vol.61 No.4

        본 연구는 빈곤노인의 노화경험의 의미를 발견해내고 이를 바탕으로 빈곤노인을 위한 복지정책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빈곤노인을 기준표집방법으로 총 16명 선정하여 심층면접을 진행하였고 Colaizzi(1978)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빈곤노인의 노화경험의 의미는 27개 주제, 10개 주제묶음과 4개의 범주로 나타났다. 4개의 범주는 ‘죽음으로 향해 가기’, ‘초라해지는 마음’, ‘험한 인생살이’, ‘삶의 끈을 지켜나가기’이었다. 이러한 의미를 통합해볼 때 빈곤노인의 노화경험의 본질은 ‘정부로부터 생계비를 받을지언정 제 힘으로 살아가기’로 발견되었다. 빈곤노인의 노화경험은 의존적이라기보다는 독립적이고 긍정적인 삶의 의미를 강하게 드러냈고, 생계비가 최소한의 생존비용임을 보여주었고, 심한 죽음불안을 나타냈으며, 家 중심의 유교문화적 맥락을 통해 이해될 수 있었다. 이에 빈곤노인복지정책은 이들의 독립적이고 긍정적인 생활지원을 위한 사회활동의 촉진, 최저생계비의 현실화, 심리정서적 서비스의 강화, 죽음준비교육의 실시, 빈곤노인복지정책의 매뉴얼 구축 등으로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lived experience of aging of the poor elderly and to identify suitable welfare policies on their behalf. For this purpose, I selected 16 participants from the criterion sampling of the impoverished elderly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after which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of Cloaizzi(1978). As a result, 27 themes, 10 clusters of themes, and 4 categories were pinpointed. The 4 categories are 'Facing death,' ‘Becoming despondent in heart and mind,’ 'Living a hard life,' and ‘Going with the flow of life.' By integrating the meanings of these findings, the essence of the lived experience of aging of the poor elderly was to be, 'Self-sufficiency despite receiving welfare benefits from the government.' The lived experience of aging of the poor elderly was revealed as not being entirely based around dependency but rather around strongly independent and positive life attitudes. But also found were difficulties due to lack of living expenses required for survival, deep death anxieties, and life attitudes in the context of Confucian culture. Based on the study results above, I presented welfare policies for the poor elderly as outlined: implementation of social activities in order to encourage independence and positivity among the poor elderly, actualization of payment that meets at least the minimum costs of living, consolidation of psychological-emotional assistance, implementation of death-related education programs, and the compilation of a welfare policy manual for the impoverished elderly.

      • 2016년 아태지역 양성평등 정책 인프라 강화 사업(Ⅵ)

        은하(Eun Ha Chang),김은경(Eun Kyung Kim),김정수(Jung Soo Kim),천숙연(Suk Yun Chun)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6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6 No.-

        KWDI has been conducting a multi-year ODA research project since 2011 with an objective of establishing political and social infrastructure for gender equality policy in the Asia-Pacific region. During the year 2011 ? 2012, KWDI partnered with Cambodia and Indonesia and carried out various programs including baseline surveys, policy dialogues and capacity building training. From 2013, KWDI expanded the project to include Myanmar and Vietnam as additional partners. Now KWDI is working with these four countries, sharing each other’s experiences and deepening mutual learning. This project report is an overview of our research and activities for 2016. Chapter 1 introduces the backgrounds, objectives, contents and methodology of this multi-year research project. Chapter 2 introduces the main program of this project, the 2016 Set and Share the Agenda for Gender Equality Workshop (SSAGE). It explains not only the program details but also summarizes the contents and comments from the lectures and field trips. It further details the project proposals developed by each country and finds implications for South Korea’s future ODA agenda. This year, a total of 23 gender policy makers and experts from four partner countries participated in this event. Chapter 3 introduces another main pillar of this program, which is the joint research projects with research organizations from our partner countries and with an international organization. This year, KWDI cooperated with major research institutions from Cambodia, Indonesia, Myanmar and Vietnam on various issues such as women’s political participation, economic empowerment, regional economic integration, and rural women. KWDI also collaborated with UN Women Asia Pacific for a baseline resaerch on SDGs and gender. Chapter 4 introduces three independent research which was conducted to share best practices of South Korea’s women’s policies. Chapter 5 sums up the Gender ODA Forum, which has been held four times in 2016 with an aim of learning and updating on various issues related with gender and ODA issues around the world. Chapter 6, the final chapter examines the evolution of the past six years’ of this ODA research project, reviews its results and implications and discusses future directions. Ⅰ. 2016년 아태지역 양성평등 정책 인프라 강화 사업(Ⅵ) 개요 □ UN은 2015년 글로벌 사회의 새로운 개발협력 프레임워크인 지속가능개발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이하 SDGs)를 채택함으로서 새천년개발목표(Millenium Development Goals, 이하 MDGs)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양성평등 달성 및 여성의 역량강화를 독자목표인 동시에 다른 목표에 대한 범 분야 이슈로 다루고 있음. □ 구체적으로 17개 목표 중 11개 목표에서 양성평등과 관련된 하위 목표(target)를 수립하고 있고 MDGs 프레임워크에서 다루어지지 못한 여성에 대한 폭력근절, 조혼, 할례등 구조적인 문제에 집중함으로서 젠더이슈의 중요성을 부각시킴. 또한 OECD의 개발원조 효과성 논의에 있어서도 젠더가 중요한 이슈로 다루어져 오고 있는바, 개발협력에 있어 젠더는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어 왔음. □ 한국의 ODA는 2010년 OECD 개발원조위원회(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 가입을 전후로 비약적인 양적 성장을 해왔지만, 양성평등 분야의 ODA는 아직 개선이 필요한 상황임. 현재 한국의 성 평등 원조는 OECD DAC 회원국 중 하위권이며 OECD DAC 가입 전후에 이루어진 두 차례의 동료평가(Peer Review)에서도 양성평등 ODA 확대를 위한 노력의 필요성이 제기된 바 있음. □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은 한국의 양성평등 ODA 확대 및 성 주류화의 필요성과 관련된 국내외적 배경 속에서 2011년도부터 아태지역 협력국의 양성평등 정책 인프라와 한국의 양성평등 분야 ODA 확대에 기여하기 위해 ‘아태지역 양성평등 정책 인프라 강화사업’을 진행 중임. □ 구체적으로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미얀마, 베트남 총 4개 협력국의 양성평등 정책 인프라 강화를 위한 여러 지식공유 활동을 진행하며, 네 가지 주요 연구활동으로 구체화하였음. - 협력국 초청연수 개최 - 아태지역 협력국 및 국제기구 위탁연구 - 한국 여성정책 발전경험 사례연구 - 젠더와 ODA 포럼 개최 □ 2016년 진행된 6차년도 아태지역 양성평등 정책 인프라 강화사업은 “한국여성정책 발전경험을 활용한 정책컨설팅 운영”이라는 부제 하에 그동안의 연구 사업에서 축적한 한국여성정책발전경험을 협력국에 대한 정책컨설팅에 활용하여 연구 사업에 적극 사용하였음. Ⅱ. 협력국 초청연수: SSAGE 워크숍 □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은 다차년도 ODA 연구사업 ?아태지역 양성평등 정책 인프라 강화사업?의 일환으로 2011년부터 매년 협력국 초청연수인 “Set and Share the Agenda for Gender Equality 아태지역 여성개발을 위한 맞춤형 정책컨설팅 워크숍”(이하 SSAGE 워크숍)을 개최하고 있음. □ 올해 2016년 SSAGE 워크숍은 4개 아태지역 협력국(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미얀마, 베트남)의 여성정책 관련 전문가들의 역량강화 및 지식공유를 목적으로 진행함. □ 본 워크숍은 양방향적 워크숍으로서 4개 협력국 참가자들은 현지의 여성정책 현황 및 수요에 대한 공유와 함께, 국가별 사업제안서 개발을 통해 현지의 여성정책 수요에 부합하는 개발사업 아이템을 발굴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음. - 캄보디아 ·현지의 여성정책 수요: 아직까지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가 농업에 집중되어 있는 양상을 보이고 있고, 동시에 최근의 2차·3차 산업의 증가는 여성 고용에 있어서 기회요소가 되는 동시에 노동시장의 수요에 발맞춘 여성의 경제역량 강화를 위한 직업훈련에 대한 수요가 공존하고 있음. - 인도네시아 ·현지의 여성정책 수요: 많은 여성들이 고용된 근로자로서 일하기 보다는 영세규모의 자영업 내지는 가내업에 종사하고 있는 상황으로, 여성 고용 보다는 여성 창업 지원에 대한 높은 정책적 관심을 보이고 있음. - 미얀마 ·현지의 여성정책 수요: 경제발전이 이제 막 시작되고 있는 단계로서 여성의 경제적 참여가 걸음마 단계이며, 토지소유권 등 아주 기본적인 경제적 자원에 대한 여성의 권리도 보장되고 있지 못함. - 베트남 ·현지의 여성정책 수요: 사회주의적 국가의 특성 상 여성의 경제역량 강화를 위한 법제도가 잘 구축되어 있는 편이고, 여성 관리자 비율과 사회보험, 은퇴연령 등 비교적 한발 앞선 여성정책 이슈가 존재하고 있음. □ 참석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평가결과에서 본 워크숍은 타당성, 효과성, 효율성, 체계성 면에서 두루 높게 평가되었고, 특히 기관방문의 현장성에 만족감을 보여 이론과 실무 연계가 중요함을 나타냄. 또한 이를 통해 구축된 네트워크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여성정책 전문가들이 현장에서 여성정책 추진을 위한 국내외적 기반을 다지게 된 점을 높이 평가하였음.

      • KCI우수등재

        성별에 따른 개인특성 및 사회적 자본과 주관적 경력성공과의 관계

        은주(Eun Joo Chang),박경규(Kyung Kyu Park) 한국경영학회 2005 經營學硏究 Vol.34 No.1

        In the past, career success has been defined by the number of promotions, annual compen-sation or position level. So studies on career success have been focussed on finding factors affecting the objective career success. But as today’s organizations no longer offer lifelong employment, individuals put stress on psychological satisfaction with his overall career and employability in the open labor market rather than rapid promotion or high compensation in an organization. That is, shift in employment contracts from relational to transactional infers a paradigm shift in career success. Therefore, in this study subjective career success was measured in terms of two dimensions: career satisfaction and employability.Through literature review, personal characteristics(growth needs, political behavior dis-po-sition) and social capital(supervisor support, informal network) were chosen as the predictors of dependent variable, which were not given much attention before. So the first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how these affect the subjective career success. Second, seeing that highly-educated female workforce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ed, women’s career is an important issue for female themselves and the organizations that employ women; therefore, gender was chosen as the moderating variable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in 21 American and European banks acting in Korea by questionnaire. Also the sample was restricted to individuals with more than 5 year working experiences, for individuals need to look back over their career. In order to test hypotheses, actually 201 samples were analyzed wi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is that growth needs, political behavior disposition and supervisor support had positive effects on career satisfaction and that the factors affecting employability were growth needs, political behavior disposition and informal network. Furthermore it was analyzed if gender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Gender moderated the relationships; supervisor support and career satisfaction, supervisor support and employability, informal network and employability. But gender did not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The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areer success was defined by career satisfaction and employability, which reflect the change of employment contract, people’s value, etc. Second, there was difference in factors that affect male’s and female’s career success; supervisor support and informal network did affect career satisfaction and employability differently between men and women. Therefore, organizations need to support women employees so that they can make the career success.

      • 사회복지시설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장경은(Chang, Kyung-Eun),배기효(Bae, Ki-Hyo),신지연(Shin, Ji-Yeun) 한국복지행정학회 2013 복지행정논총 Vol.23 No.2

        본 연구는 일선 사회복지사와 관리직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직위에 따른 적절한 인적자원관리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일선 사회복지사와 관리직 사회복지사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들이 다르게 나타났다. 일선 사회복지사의 우울 영향요인은 조직체계, 직무요구, 직무불안정 등의 직무스트레스로 나타났고, 관리직 사회복지사의 우울 영향요인은 직무지식의 직무스트레스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직위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를 위한 실천적인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job stress as frontline social worker and managing social worker has an influence on their depression. The result shows that there were different stress factors that caused depression between frontline social workers and managing social workers. Frontline social workers tended to be depressed by organization system, job demand, and job insecurity, whereas managing social workers tended to be depressed by job knowledge. Therefore, based on the study, we suggested various discussions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effective management of job stress and depression.

      • KCI등재

        가축분뇨를 이용한 미생물연료전지의 농화배양 단계에서 미생물 군집 변화

        재경(Jae Kyung Jang),홍선화(Sun Hwa Hong),유영선(Youg Sun Ryou),이은영(Eun Young Lee),인섭(In Seop Chang),강연구(Youn Koo Kang),김종구(Jong Goo Kim) 大韓環境工學會 2013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5 No.12

        이 연구는 전기화학적 활성을 갖는 미생물들을 알아내기 위하여 농화배양 단계에서 시간에 따라 미생물연료전지의 미생물 군집 변화를 알아본 것이다. 접종원으로 하수처리장 혐기 소화액와 가축분뇨를 1 : 1로 혼합한 액을 사용하였다. 농화 배양 과정에서 미생물 생장곡선에 따라 지체기, 대수성장기 그리고 정지기로 전류발생 패턴을 보면서 구분하였다. 전류가 안 정적으로 발생되는 시점을 농화배양이 끝난 시점으로 판단하였으며, 이때 전류는 0.84 ± 0.06 mA가 발생되었다. 농화배양이 되어 가는 과정에서 미생물군집 변화를 전기영동(DGGE)에서 확인하여 시간에 따라 새롭게 나타나는 band나 농도가 높아지는 band 17개를 잘라내어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이 결과 지체기와 대수성장 단계에서는 Clostridium, Rhodocyclaceae, Bacteriodete 그리고 Uncultured bacterium 등이 검출되었고, 정지기에서는 Geobacter sp., Rhodocyclaceae, Candidatus, Nitrospira, Flavobactriaceae, 그리고 Uncultured bacterium 등이 검출되었다. Geobactor의 경우는 이미 전기활성 미생물로 알려져 있는 미생물 종으로 이를 포함하여 이 연구에서 검출된 다른 미생물들 중에도 전기활성이 있는 미생물을 포함하고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se studies were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microbial community of anode of microbial fuel cell using swine wastewater in the enrichment step with the lapse of time. Microbial fuel cells enriched by a 1 : 1 mixture of anaerobic digestive juices of the sewage treatment plant and livestock wastewater. Enrichment culture step was divided into three stages to indentify the microorganisms. It was separated by each lag phase, exponential phase, and stationary phase. These steps were determined by the change of the current value. The current after enrichment was generated about 0.84 ± 0.06 mA. We were cut out the different 17 bands in the DGGE fingerprint gel to do sequencing. The bands which the concentration was increasing or newly appearing with the lapse of time were included for this study. In the lag and exponential phase, Clostridium, Rhodocyclaceae, Bacteriodetes, and Uncultured bacterium etc. were detected. There were in the stationary phase Geobacter sp., Rhodocyclaceae, Candidatus, Nitrospira, Flavobactriaceae and uncultured bacterium etc. Geobactor among microorganisms detected in this study is known as the Electrochemically active microorganisms. It may include electrochemically active microorganisms to be considered as electrical activity microorganisms.

      • 아태지역 양성평등 정책 인프라 강화 사업(Ⅶ)

        은하(Eun Ha Chang),김은경(Eun Kyung Kim),조혜승(Hye Seung Cho),김정수(Jung Soo Kim),김신아(Shin Ah Kim),박윤정(Yoon Jung Park),이지현(Ji Hyun Lee),최소담(So Dam Choi),김경량(Kyung Ryang Kim),지순(Ji Soon Chang)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7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7 No.-

        Ⅰ. 서론 1. 연구목적 및 필요성 ○ 젠더이슈는 하나로서 국제사회의 개발협력 논의에 있어서 끊임없이 강조되어오고 있음. 2000년 이후 UN 중심의 국제사회의 개발을 향한 의지를 담은 새천년개발목표(Millennium Development Goals, 이하 MDGs)와 지속가능발전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이하 SDGs)와, OECD 개발원조위원회(DAC)에서도 개발효과성 제고를 위한 성평등 이슈의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음. ○ 한국은 2010년도 OECD 개발원조위원회(DAC)에 가입하여 개도국에 대한 지원 및 국제사회에서의 기여를 증대시키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오고 있으나, 성평등 및 여성역량강화를 위한 원조의 비율은 12% 수준으로 전체 DAC 회원국의 평균에 크게 못 미치는 등 성평등 원조에 있어서는 여전히 많은 개선이 필요한 실정임. ○ 이러한 대내외적 필요성에 부응하여 2011년도부터 시작된 본 ODA 연구과제는 다차년도 연구로서 해마다 그 주제를 확장해오면서 아태지역 한국의 중점협력국 4개국(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미얀마, 베트남)의 양성평등 정책의 발전과 이를 지원하기 위한 한국의 ODA 정책방향을 고민해옴. ○ 특별히, 금년도 연구의 경우, 2015년 발표된 ‘소녀들의 보다 나은 삶(Better Life for Girls, 이하 BLG)’ 구상에 발맞추어 아태지역의 중점협력국 4개국(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미얀마, 베트남)의 소녀 관련 현지 수요를 파악하고, 소녀 관련 향후 한국 ODA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함. 2. 연구방법 및 내용 ○ 본 연구보고서는 본원의 ODA 사업의 다양한 활동에 따른 산출물 중 하나로서, 사업의 주요 프로그램들을 반영하여 구성한 보고서임. 따라서 학술적 연구에서 요구되는 방법론을 엄격히 적용하기는 어려운 구조적인 한계가 있으며, 이로 인해 보다 현장성을 반영한 연구로 진행함. ○ 본 연구사업은 2011년도부터 아태지역 4개 중점협력국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미얀마, 베트남)을 대상으로 양성평등 정책 인프라 변화와 한국의 성평등 원조사업 증가라는 두 가지 목표를 가지고 진행되어 왔음. ○ 세부내용은 1) 초청연수, 2) 공동 연구, 3) 한국 여성정책 발전경험 공유, 4) 기타 연구활동으로 구성됨. ○ 초청연수 - 금년도 초청연수는 ‘소녀 및 청년여성의 역량강화(Empowerment of Girls and Young Women)’을 주제로 개최되었으며(2017. 9. 4. ~ 2017. 9. 8.), 4개 협력국(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미얀마, 베트남)의 소녀 관련 정책을 담당하는 공무원 및 NGO, 학계 전문가 29인이 초청되었음. ○ 협력국 공동연구 - 협력국 공동연구의 경우, 4개국(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미얀마, 베트남)의 여성 및 여아에 대한 현황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통해 향후 관련 개발협력 수요발굴 및 현지의 정책 형성에 기여하고자 하였음. ○ 한국 여성정책 발전경험 공유 - 금년도의 경우, 한국이 비교우위를 갖는 여아 및 청소녀 관련 정책 및 사업 경험(아동성매매 신상공개, 남아 선호 사상 감소, 젠더 관점의 교과서 개정)을 사례연구화하여 협력국 정책전문가들과 공유함. ○ 기타 연구활동으로 문헌조사, 협력국 출장을 통한 모범사례 발굴, BLG 중점 협력국의 개발협력사례 분석, 젠더와 ODA 포럼, 성과평가 등의 활동을 진행함. ○ 보고서의 구성은 다음과 같음. - 제 1장 서론에서는 연구 목적 및 필요성, 내용과 방법, 그리고 기여도에 대해서 설명함. - 제 2장에서는 개발협력 분야에서의 소녀관련 선행연구를 BLG의 세 영역인 교육, 보건, 미래역량을 중심으로 검토하며, 소녀들의 보다 나은 삶을 위한 핵심요소인 젠더폭력에 대해서도 고찰함. - 제 3장에서는 본원 ODA 사업의 4개 협력국(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미얀마, 베트남)의 소녀현황을 교육, 보건, 미래역량, 젠더폭력의 네 개 분야로 나누어 분석하고 수요분야를 도출함. - 제 4장에서는 협력국의 소녀관련 정책수립에 참고할 수 있는 국내외 소녀 관련 모범 정책 및 사례를 소개하며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문헌연구, 협력국 현지의 소녀현황, 모범사례를 바탕으로 국별, 분야별 종합적인 제언을 제시함. KWDI has been conducting a multi-year ODA research project since 2011 with an objective of establishing political and social infrastructure for gender equality policy in the Asia-Pacific region. During the year 2011 ? 2012, KWDI partnered with Cambodia and Indonesia and carried out various programs including baseline surveys, policy dialogues, and capacity building training. From 2013, KWDI expanded the project to include Myanmar and Vietnam as additional partners. Now KWDI is working with these four countries, sharing each other’s experiences and deepening mutual learning. This year’s research report was initiated to identify local demands for women and girls in developing countries on the basis of the ‘Better Life for Girls (BLG)’ initiative announced b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in 2016, and to propose future direction of Korean ODA policy. The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local demands of girls for project planning and implementation to realize the BLG initiative in the Asia-Pacific partner countries of Cambodia, Indonesia, Myanmar, and Vietnam, and to suggest future policy implications for Korean ODA. Chapter 2 examines the preliminary research on girls in the field of development and cooperation by conducting literature review on three areas of the BGL initiative: education, health, and profession. In addition to the focus areas of the BGL, the chapter also conducts survey on literature of gender-based violence (GBV) against girls in terms of sexual violence, and harmful customs and practices. It then explores existing global framework on girls research and project and identifies the role of KWDI ODA in macro-discourse level. Chapter 3 analyzes the current situation of girls in KWDI’s four partner countries (Cambodia, Indonesia, Myanmar, and Vietnam) centering on the aforementioned four focus areas: education, health, profession, and gender-based violence. Then, the chapter identifies core priority areas to realize a better life for girls by country and sector. Chapter 4 looks into domestic and international girls-related best policies and projects in three sections. The first section of the chapter summarizes one of the programs of this ODA project, that is, ‘Knowledge Sharing on Korea’s Development in Women’s Policies.’ It analyzed three topics: decline of son preference, law and policy on the public disclosure of child sex traffickers information, and gender-sensitive textbook revision in South Korea. The second section introduces South Korea’s best policy practices related with girls. They are: Center for Teen Women’s Human Rights (Teens-Up), Tacteen Naeil, and Mirim Girls’ Information Science High School, for which cases were introduced as a field trip sites during the 2017 KWDI SSAGE Workshop. The third section introduces three international best projects in regards to girls: UNICEF Nepal’s ‘Rupantaran,’ the World Bank’s Adolescent Girls Initiative(AGI) in Lao PDR and ‘Supporting Talent, Entrepreneurial Potential and Success (STEPS)’ project, and the Child Fund’s ‘Pass It Back’ program. By analyzing of best policies and projects, the Chapter concludes with an exploration of key factors for girls’ empowerment in four countries and the applicability of such factors. Chapter 5 presents political implications for girls empowerment in four countrie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e girls situation analysis of each partner country, and best practices review conducted in previous chapters. The report concludes with sectoral policy recommendations for Korea as well as donor nations and examines future research and project directions. The sectoral policy recommendations are based on the particular areas presented by the BGL and SDGs and are proposed by taking specific cases and applicability into account.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내 성평등 독자 목표의 국내이행을 위한 지표 연구

        은하(Eun Ha Chang),문유경(You Kyung Moon),조혜승(Hye Seung Cho),김정수(Jung Soo Kim),김지현(Ji Hyun Kim)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8 여성연구 Vol.98 No.3

        2015년 국제사회는 새천년개발목표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이하 MDGs)를 대체 할 새로운 국제개발목표로 지속가능발전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이하 SDGs)를 채택하였다. SDGs는 17개 목표(goals)와 169개의 세부목표(targets), 그리고 244개의 지표로 구성되었으며 2030년까지 달성을 목표로 한다. MDGs에서와 마찬가지로, SDGs에서는 성평등을 위한 독자 목표(Goal 5)로 “양성평등 및 여성과 여아의 권한강화”가 채택되었다. 독자 목표인 5번의 경우 MDGs와는 달리 구조적 변화를 촉구하는 항목들이 대거 포진되어 성평등 달성에 있어서 전환적(transformative)인 변화를 추구하고 있다. 본고는 SDGs의 국내이행의 착수를 앞두고, SDGs 성평등 목표의 이행 점검을 위한 국내 가용통계를 점검하고, 향후 SDGs 성평등 목표의 국내이행점검을 위한 기초 매핑을 제시함으로써, 국내이행을 위한 지표 수립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론적 배경으로 SDGs 내 지표 수립과정을 소개하고 특히 성평등 목표의 범위와 지표 수립 과정을 보다 자세히 서술한다. 이어서 SDGs 국내이행을 위한 거버넌스 체계를 소개하고 현재까지 수행된 연구들을 개괄한다.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해서는 SDGs 글로벌 지표의 정의의 완성도와 현재 국내통계의 가용상태를 고려하여 4가지의 범주로 구성된 분석틀을 고안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국내・외 관련 문헌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SDGs의 효과적인 국내이행을 위해서는 정의가 불확실한 지표에 대해 조작적 정의가 선행될 필요가 있으며, 국내 가용통계가 부재하거나 미흡한 지표의 경우 이에 대한 추가개발의 필요함이 드러났다. 결론에서는 분석내용을 토대로 국내 SDGs 이행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여 논의하였다. This research explores the status and future tasks of national implementa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Goal (SDG) 5 in South Korea by especially focusing on indicators. Among its 17 goals and 169 targets, SDGs sets forth gender equality and empowerment of women and girls as a stand-alone goal 5, and gender issues are also cross cut in other goals as well. The independent as well as cross cutting nature of gender related issues imply the quintessential nature of gender in attaining the overall SDG targets. In particular, SDG goal 5, unlike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MDGs), pursues transformative changes in achieving gender equality with a number of indicators urging structural changes. Given this context,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and the availability of national data corresponding to SDG 5’global indicators, and provides implications for South Korea’s establishment of SDG 5 indicators for national implementation. As a theoretical background, we first outline the process of setting up the indicators of SDGs with particular focus of Goal 5, and then we introduce the governance system for SDGs implementation in South Korea and analyze the existing literature for this study. For methods, this study employs document reviews. We created an analytical matrix, using two pillars ; indicators’ definitions and availability of national data. Based on this matrix, this research categories each indicators into four groups. As results, this study reveals that several indicators require operational definition for domestic implementation and development of gender-sensitive domestic data for future implementation in South Korea. In conclusion, we present practical implications for future implementation of SDG goal 5 and its indicators in South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research for establishing national indicators for the implementation of gender-related SDG targets in South Korea, and ultimately to achieve the goal of gender equity in SDGs.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