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토마스 아퀴나스의 De Ente et Essentia 4장에 나타난 본질-존재 구별 논증의 성격과 의미

        장건익 ( Jang¸ Gun-ik ) 한국가톨릭철학회 2005 가톨릭철학 Vol.0 No.7

        이 논문의 목적은 토마스 아퀴나스의 『존재와 본질에 대하여』 4장에서 토마스가 제시하는 본질과 존재의 구별에 관한 논증의 성격과 의미를 알아보는 데 있다. ‘intellectus essentiae argument’(본질에 대한 이해로부터의 논증)라고 불리는 이 논증은 역사적으로 많은 논쟁을 불러일으켰던 논증으로서, 해석가들은 이 논증을 해석함에 있어서 논증의 타당성뿐만 아니라 논증의 성격, 즉 토마스가 이 논증을 통해 의도했던 바가 본질-존재의 실제적 구별이냐, 아니면 단지 개념적 구별만이 그 목적이었느냐에 대해서도 서로 다른 주장들을 내놓고 있다. 조셉 오웬스는 이 논증은 본질-존재의 실제적 구별을 위해 구성된 것이 아니라, 단지 개념적 구별만을 위해 구성되었으며 그것이 토마스의 본래 의도라는 주장을 하고 있다. 그는 존재의 근본 성격이 알려지기 전에는 본질-존재의 실제적 구별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것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신 존재 증명이 전제되어야만 한다는 것이 그가 제시하는 논거이다. 그러므로 IE 논증은 그 자체로만 보았을 때는 본질-존재의 실제적 구별이 아니라 논리적 또는 개념적 구별에 관한 논증이라는 것이다. 이에 대해 존 위펠은 비록 이 논증이 그 자체만으로는 실제적 구별에 관한 그 자체 완성된 논증은 아니며, 그가 말하는 2단계의 논증, 즉 만약 본질과 존재가 동일한 존재가 하나 이상 존재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다른 모든 존재들에 있어서 본질과 존재는 다르다는 논증을 위한 도입부로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보았을 때 2단계에 이르러 본질-존재의 실제적 구별이 논증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오웬스가 주장하는 것처럼 신존재 증명이 전제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이들과는 달리 맥도널드, 보빅, 드완, 패트 등은 IE 논증을 실제적 구별에 관한 논증으로 해석하고 있으며, 위펠처럼 2단계의 논증을 위한 도입부도 아니라는 것이다. 필자도 이들과 같이 이 논증은 실제적 구별에 관한 논증이라는 입장이다. 이 논증은 존재는 본질에 환원되거나 규정성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는 직관에 기초해서 구성된 것이라는 것이 필자가 제시하는 논거이다. 오웬스의 주장과는 달리 있음은 어떠한 규정성에도 포함되지 않는다는 자연적 직관 안에 한계 없음, 한정 지워지지 않는 무한성이라는 존재의 성격이 이미 드러나고 있다는 것이 필자의 견해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이 논증에서 실제적 구별은 완료되고 있다고 해야 할 것이다. 물론 존재의 성격이 보다 명확히 드러나기 위해서는 신 존재 증명이 필요하다는 것은 인정한다. 하지만 이것이 본질-존재의 실제적 구별이 철학적인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study the real distinction between essence and existence in St. Thomas Aquinas’s early work De ente et essentia, ch.4. In this chapter he offers an argument based on one’s understanding of essence(intellectus essentiae argument) in support of real distinction or real composition of essence and esse in all creatures. This argument has caused considerable controversy. The point of disagreement have to do not only with the validity of the argument considered in itself, but also with the proper understanding of Thomas’s purpose in developing it. Because there are some interpreters maintained that it was not even intended by its authors to establish such real distinction or composition. Joseph Owens who is the one of these interpreters denied that it was Thomas’s intention to such distintion or composition in the preceding sentence. According to his interpretation it is only after having established God’s existence by means of this argument that Thomas is in position to conclude to real distinction of essence and esse in creatures. In light of this he concluded that intellectus essentiae argument considered in itself establishes only logical or conceptual distinction. An interesting criticism toward Owens was raised by John Wippel. He maintained that the argument(intellectus essentiae argument) as it appears in phase one does not in fact establish any such real distinction of essence and esse. He regard it as an introduction to the next phase, and as an introduction which will not stand on its own without next phase. The argument of next phase may summarized as follows. If it is impossible for there to be more than one being whose essence is its esse, then it follow that in all beings essence and esse are not identical. Therefore the real distinction of essence and esse has been completed in this phase two. Although Wippel agree with Owens that intellectus essentiae argument do not establish the real distinction, nevertheless, he says that until phase two in argumentation, God’s existence has entered in only as an hypothesis. On my reading, Thomas’s intellectus essentiae argument based on an simple insight that esse cannot be reduced or defined by any determination. This means that esse is not finite thing. Namely considered in itself, it is infinite. This is the reason why every essence or quiddity can be understood without anything being understood about its existence. The finite and the infinite are really differ. Therefore it is clear that esse is other than essence. I granted that by this argument or explanation the entire nature of esse cannot be known. It is only after having proved God’s existence. But this does not means that the real distinction of essence and esse cannot be philosophically established. I think that intellectus essentiae argument could be the reasonable ground for the real distinction of essence and esse.

      • KCI등재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에 대한 앎

        장건익 ( Jang¸ Gun-ik ) 한국가톨릭철학회 2007 가톨릭철학 Vol.0 No.9

        본 논문의 목적은 토마스 아퀴나스가 말하는 신에 대한 앎을 검토하는 데 있다. 토마스 아퀴나스는 신이 존재한다는 것은 이성적으로 알 수 있지만 신의 본성에 대해서 우리는 어떠한 표상이나 개념, 범주에 의해서도 알 수 없다고 말하고 있다. 즉 그는 신의 존재에 대한 앎은 가능하지만 신의 본성 즉 그의 존재방식은 우리에게 감추어져 있다는 것이다.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은 오로지 부정의 방법에 의해서 ‘신이 무엇이 아닌지’만을 알 수 있다는 것이다. 토마스는 이것을 두 가지로 구분한다. 첫 번째 방식은 부정에 의해 부정되는 것과 다른 새로운 의미가 도출되는 방법이다. 토마스는 이것을 적극적 의미 또는 차이(positive difference)를 생산하는 부정의 방식이라고 한다. 이 방식은 토마스가 신에게 적용하고 있는 부정의 방법이 아니다. 신에게 적용하는 부정의 방법은 어떤 적극적 내용이나 새로운 의미가 생산되지 않는 방법(negative difference)이다. 말하자면 언어의 의미나 관념의 내용을 지우는 것이며, 의미화나 관념화하는 작용 자체를 포기하는 방식을 말하고 있다. 그래서 그는 부정의 방법과 제거의 방법이라는 말을 동일한 의미로 사용한다. 이러한 부정의 방법에 의해 도달되는 최종 결론은 신에 대한 ‘무지(無知)의 지(智)’이다. 즉 인간의 “신에 대한 최고의 앎은 신에 대해서 알 수 없다는 것을 아는 것”이라는 것이다. 이것은 신에 대한 앎에 대한 단순한 부정이나 불가지론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토마스는 신에 대한 무지의 지는 인간에게 허용된 한에서 신에 대한 앎이자 지혜라고 말한다. 또한 그럼에도 불구하고 토마스는 우리가 신에 대해 전혀 말을 할 수 없는 것은 아니라고 한다. 그에 의하면 우리가 신에 대해서 말을 할 수는 있지만 그것은 매우 부적절하고 제한적이며, 그때 사용된 말의 의미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과 완전히 다른 것도 아니며 동시에 동일한 것으로 받아들여서도 안 된다는 것이다. 이것이 그의 유비이론이다. 그는 의미하는 바(what the name signify)와 의미하는 방식(mode of signification)의 구분을 통해, 비록 불완전하지만 인간의 언어로 신에 대해 말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knowledge of God in St. Thomas Aquinas. He argues that although human intellect has the capacity to arrive at the knowledge that God exists by reasoning from effect to cause, it can’t never reach the nature of God in this life by any means of sensory images, concepts, and categories. We can know only ‘what He is not’ by the method of negation. But Aquinas distinguishes between the ‘positive difference’ and the ‘negative difference’. Human knowledge based on a series of affirmations may indeed deliver knowledge of what something is along with an understanding of how it positively differs from all else. But knowledge of a thing that is grasped through succeeding negations will not yield conceptual knowledge of that thing; it will only show us that it negatively differs from others. It is only this second kind of knowledge of God, which we can attain in this life by means of demonstration. By this method of negation, we finally reach God who remains completely unknown to us. But this ignorance of God means neither a simple negation of God nor agnostic attitude towards God. Thomas Aquinas insists that it represents the wisdom of God. Thomas also defends that God can be named by us from creatures. This is his theory of analogy. He maintains that these names do not signify the divine essence as it is in itself; however, according to him, certain names can be predicated of God substantially, albeit, imperfectly and properly. He appeals to the distinction between what the names of pure perfections are intended to signify(res significata) and the way in which they signify( modus significandi). As regards that which they signify, such names are properly applied to God, but not as regards the way in which they signify.

      • KCI등재

        Ni-Mn-B 삼원합금도금 가속수명 및 신뢰성 평가에 대한 연구

        마승환(Ma, Seung-Hwan),노영태(Noh, Young-Tai),장건익(Jang, Gun-I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5

        강 제조 회사들은 연속주조금형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 Ni-B 또는 Ni-Co 합금 도금을 적용하고 있으며, 도금 층에 균열이 생기게 하는 황을 함유한 사카린 윤활제를 사용하고 있다. 균열 및 인장 응력을 유발하는 것은 Ni-S 화합물로 여겨진 다. Ni-Mn-B 삼원합금은 Ni-S 화합물이 형성되기 이전에 Mn-S 화합물을 형성하여 균열을 억제하기 위해서 개발되었으나, Ni-Mn-B 합금 도금에 관한 국내나 해외 기준이 없다. 그리하여 새로이 개발된 Ni-Mn-B 도금을 평가하기 위한 신뢰성 평가 기준을 개정하려한다. 가속수명시험을 개발하기 위해 FMEA(고장형태 영향분석)가 사용되어 도금의 주요 파괴 원인을 분석 하였다. Ni-Mn-B 신뢰성 기준은 가속수명시험 방법을 포함하였고, 기본 성능 시험과 환경시험, 가속수명시험으로 분류되었 으며, 80% 신뢰수준으로 B10수명 1 000시간을 보장하도록 고안되었다. Steel companies are applying Ni-B or Ni-Co alloy plating to protect the surface of Continuous casting mold, and they are using saccharin polish which causes crack on plating layer due to sulfur in saccharin. It is considered that the Ni-S compound causes the cracking and additional tensile stresses. The Ni-Mn-B ternary alloy plating was developed for suppression of crack by forming Mn-S compound before Ni-S compound is formed, but there were no domestic or international standard on the Ni-Mn-B alloy plating. Therefore, reliability evaluation standard was established to evaluate the newly developed Ni-Mn-B plating. To develop accelerating life testing method, FMEA(Failure Mode & Effective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cause of the main failure in plating. The Ni-Mn-B reliability standard included accelerating life test method, and it was categorized by the fundamental performance test, environment test, and accelerated life test, and was designed to guarantee 1 000 hours of B10 life with 80 % reliable level.

      • KCI등재

        무도장 내후성 강 교량의 밀폐형 박스거더 내부의 부식에 대한 고찰

        마승환(Ma, Seung-Hwan),노영태(Noh, Young-Tai),장건익(Jang, Gun-I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4

        내후성 강재는 대기환경에서 내식성이 우수하여 강교량의 재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내후성 강은 해수와 가까운 지역, 음지 및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는 안정된 녹층이 형성되지 않고, 일반녹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열악한 대기 환경을 가지는 일본에서는 무도장으로 사용하지 않고, 녹안정화 처리를 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국내에서 건설된 내후성 강은 대부분 무도장으로 건설되었고, 건습의 주기적인 반복이 일어나기 어려운 밀폐형 박스거더형으로 건설되었다. 특히, 한강수변위에 건설된 강교량의 경우, 수분의 증발, 온도차에 의한 결로 및 우수에 의한 체수 등으로 내후성강의 부동태 피막 형성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상수도 보호구역에 무도장 내후성 강으로 건설된 교량의 밀폐 형 박스거더 내부의 부식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육안에 의한 관찰, 셀로판 테이프 시험, 강재 두께 측정, 표면 부식 전위 측정, 채취한 녹의 전자현미경 분석 및 X선 회절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을 통하여, 밀폐형 박스거더 내부에서 불안정녹층 이 관찰되었으며, 특히, 상부 및 하부 플랜지의 경우 우수에 의한 체수, 결로 및 제설제에 의한 영향 등으로 부식 정도가 심하게 관찰되었다. Weather proof steels are used for steel bridges due to its high corrosion resistance under atmospheric conditions. However, instead of forming stabilized rust layers, general rust occurs on weather proof steels under high humidity condition close to seawater or shady places. In Japan, therefore, they perform rust stabilization treatment instead of unpainted treatment due to severe atmospheric conditions. However, most of domestic weather proof steels were constructed unpainted in the form of closed box-girder, which makes the periodical repetition of dry and wet hard to occur. For the steel bridges constructed on the Han river, the evaporation of water, dew condensation due to temperature change, and stagnant water due to rain affect harmfully on the formation of passive film on weather proof steels. Thus, in this research, in order to analyze corrosion properties inside the closed box-girder for the unpainted weather proof steel bridge in the waterworks safety zone, multiple ways of analysis such as observation with eyes, cellophane-tape test, steel thickness measurement, surface corrosion potential measurement, electron microscope analysis, and X-ray diffraction analysis of the rust were performed. As a result, unstable rust layer was observed inside the closed box-girder, and severe corrosion was observed on the top and bottom of the flanges due to the effects of stagnant water caused by rain, dew condensation, and de-icing materi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