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인이 기억하는 ‘유년기 가장 즐겁게 논 경험’ 탐색: 유아교육기관 재원 경험이 있는 성인을 중심으로

        임홍남,김은주 한국유아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연구 Vol.38 No.3

        This study examined the most enjoyable experiences of childhood that adults remembered from their past. Open-ended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the study. The greatest number of adults recalled that the play itself, which was just free play in childhood, was good. On the other hand, they did not remember their experienc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e adults also recollected those specific experiences where the play was distinctively different retained memories of particular instances of play in which they had excelled or won. The participants of study did not recall the plays in detail, but were able to revive their feelings of happiness, fun, and enjoyment of that tim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importance of playing experience in childhood should be reexamined. The rol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needs to be reestablished, and reevaluation of the current ‘play-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indispensable. It is time to ponder upon the natur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o that children can experience a happy childhood to cherish throughout their lifetime, which would in turn serve as a support for an enriched life in the future.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first step toward that goal.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을 다닌 성인들의 어릴 적 가장 즐겁게 논 경험을 살펴보기 위해 개방형 설문과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대다수의 성인들은 유년기에 그저 자유롭게 뛰어 놀았던 놀이 그 자체가 좋았다고 회상한 반면,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논 경험은 기억이 잘 나지 않는다고 답하였다. 또한 성인들은 일상과 달리 특별하게 놀았던 경험이 기억에 남는다고 하였으며, 자신이 잘해서 기분 좋았던 놀이가 기억에 남았다고 하였다. 그리고 성인들은 놀이들이 구체적으로 기억나진 않지만, 그때의 행복하고 재밌었던 느낌과 감응은 그대로 느껴진다고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유년기 즐겁게 논 경험의 중요성이 재조명되어야 함을 함의하며, 이를 위해 행복한 유년기를 위한 유아교육기관의 역할이 재정립되고, 현재의 ‘놀이중심’ 유아교육에 대한 재고찰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아이들이 자신만의 행복한 유년기를 지니고 풍부한 삶을 부유해나갈 수 있도록 지지해주기 위해 유아교육의 본질에 대해 숙고해볼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가 그 단초를 제공할 것이라 생각된다.

      • KCI등재

        장자의 생성론적 생명관으로 ‘유아’ 다시 보고 새롭게 보기 : 견독見獨 개념을 중심으로

        임홍남,김은주 한국교육사상학회 2019 敎育思想硏究 Vol.3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ok(獨) and Kyoundok(見獨), which contain the Chuang-tzu’s perspective on life and to explore new ways of looking at children. Chuang-tzu thought that each life is a unique being with its own historical character and open to everywhere. And Chuang-tzu proposed it as Dok, and suggested that seeing Dok is Kyoundok. Kyoundok seeks to see the presence on the level of the event considering the entangled temporal, spatial. To do this, Chuang-tzu also suggests that viewers are Dok and that everything should be viewed as Dok. As a result, The child is a Dok with a different identity, and a flexible existence in entanglement and transformation with all things. In addition, the direction of the gaze to see the children through Kyoundok is as follows. Early childhood educators should be aware that they themselves are also Dok. and have a different perspective to see the children as a Dok who has each unique identity. Furthermore Early childhood educators should look at every moment in historical and contextual events and should intuitively meet with the child and respond to the child.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siders the ethical point of view of the child by reviewing the educational view of the existing child. 본 연구는 장자의 생성론적 생명관이 담긴 독獨과 견독見獨을 고찰해 봄으로써, 유아교육에서 유아를 바라보는 시선에 대해 숙고해보고자 하였다. 장자는 일원론적 생명관에 토대하여 생명은, 생기가 유행하는 과정에서 타생명과 만나 얽히며 순간 드러난다고 봄으로써 그만의 역사성을 지닌 고유한 존재이며, 어디에도 치우치지 않고 열린 존재라고 보았다. 그리고 이를 독獨으로 제시하였으며, 이러한 독獨인 존재를 보는 것을 견독이라 하였다. 견독은 얽혀진 시・공간을 고려하여 사건층위로 드러난 존재를 보기를 지향하며, 이를 위해 목자 역시 모든 것을 열어두고 독獨인 존재로써 보라고 제안하였다. 이러한 장자의 생명론적 관점으로 살펴본 유아는 모두 다른 고유성을 지닌 독獨인 존재이자, 만물과의 얽힘과 변용에 유연한 존재로 볼 수 있다. 아울러 견독을 통해 생명적 존재인 유아를 보는 시선의 방향을 고찰하면, 유아교육자는, 유아를 보는 자신 역시 단독적 주체임을 자각하고, 각각의 고유성을 지닌 독獨인 존재로서의 유아를 보기 위해 차이를 담는 시선을 갖추어야 하며, 모든 순간을 역사적・맥락적으로 얽힌 사건층위로 보고, 마주한 유아와 얽히며 직관적 시선으로 감응하여 이해하기를 요청해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아를 보는 기존의 교육적 시선에 대해 재숙고해 봄으로써, 생명적 존재인 유아를 보는 윤리적 시선을 고찰해보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영아들의 초기적응기간 바깥활동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임홍남,김은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1 No.5

        This study examined outdoor activities of infants during the initial adaptive period and found their significance, using ethnographic research.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outdoor activities during the initial adaptive period contributed to the natural separation of infants and their fosterer. Second, outdoor activities during the initial adaptive period helped create intimacy between infants and their teachers. Third, outdoor activities during the initial adaptive period promoted the creation of positive peer relationship. Forth, outdoor activities during the initial adaptive period helped convert the sad feelings coming from the separation with their fosterer. Fifth, outdoor activities during the initial adaptive period encouraged infants’ positive awareness of their daycare center.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s can be discussed. First, outdoor activities during the initial adaptive period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provide an initial means of adaption considering infants’ holistic development. Second, outdoor activities during the initial adaptive period have significance in that they lay the foundation of sociality through the creation of positive peer relationship. Third, outdoor activities during the initial adaptive period should be reviewed positively because they reduce the difficulties of infants and help them make a pleasant adaptation. Therefore, outdoor activities during the initial adaptive period are valuable as a way of instruction for initial adaptation and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본 연구는 영아의 초기적응기간 바깥활동을 살펴봄으로써 그 의미를 찾고자 문화기술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연구 대상은 만 1세 영아 10명이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적응기간 바깥활동은 영아와 양육자의 자연스런 분리에 기여하였다. 둘째, 초기적응기간 바깥활동은 영아와 교사의 친밀감 형성에 기여하였다. 셋째, 초기적응기간 바깥활동은 긍정적인 또래관계 형성에 기여하였다. 넷째, 초기적응기간 바깥활동은 영아가 양육자와 헤어져 슬픈 감정을 전환하는데 기여하였다. 다섯째, 초기적응기간 바깥활동은 영아가 어린이집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데 기여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초기적응기간 바깥활동이 영아의 전인적 발달을 고려한 초기적응 방안으로써 긍정적인 또래관계와 사회성을 형성하고 보육기관에 즐겁게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검토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초기적응기간 바깥활동은 초기적응지도의 한 방향으로써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

        만 2세반 ‘장난감 없는 교실’에 나타난 또래관계 탐색

        임홍남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7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6 No.2

        This study examined how toddlers build peer relationships with others in the “No-Toy Classroom” of the 2-year old clas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P” Daycare Center implementing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B” City, and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14 2-year old toddlers belonging to “A” Class in “P” Daycare Center. In the “No-Toy Classroom,” 2-year old toddlers were shown to build peer relationships as follows. First, toddlers paid closer attention to people than to toys, and actively formed relationships with others. Second, toddlers helped peers and played with them. Third, toddlers engaged in physical interaction during play and communicated with peers, thus creating a closer relationship. This study’s results, contrary to the existing theory that toddlers need more toys for their development, shows that toddlers are sufficiently able to “play” without a concrete or specific object. Moreover, it provides a new perspective concerning the existing underestimation of the aspect of toddlers’ peer relationships in early childhood’s education, and implies that toddlers do not need toys but the formation of relationships with people. Thus, this study is deemed meaningful because it explored, in toddler education, how to overcome the problems of rampant materialism and individualism in the present age. 본 연구는 만 2세반의 ‘장난감 없는 교실’에서 영아들이 또래와 관계 맺는 모습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B시에서 생태유아교육을 실천하는 P어린이집에서 실시되었으며, 연구 참여자는 P어린이집 A반에 소속된 만 2세 영아 14명이다. ‘장난감 없는 교실’에서 만 2세 영아들이 또래와 관계 맺는 모습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영아들은 장난감보다 사람에게 관심을 기울이며, 또래와 적극적으로 관계를 맺어 나갔다. 둘째, 영아들은 장난감에 의해 나뉘기보다, 모든 놀이가 서로 얽히고, 또래끼리 서로 도우며, 다 함께 놀았다. 셋째, 영아들은 장난감을 매개하지 않고, 직접 몸을 부대끼고, 소통하며 더욱 친밀한 관계를 이어나갔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기존에 유아교육에서 도외시되었던 영아의 또래관계 측면 및 영아용 장난감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며, 영아기에 장난감을 제공해주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사람과의 관계이자, 친밀한 정서를 함께 공유하는 또래임을 시사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물질주의 및 개인주의가 만연한 현 시대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영아교육에서부터 모색해보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KCI등재

        잔소리에 대한 유아와 유아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임홍남,김은주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6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5 No.4

        To find out children’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tion of nagging, this study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with 16 children aged five (born in 2011) and seven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result showed that the nagging that children recognize are, at first, words that seem to come out of anger when the teacher does not look angry. Second, nagging is associated with words that forces the children to do an act when they are already going to do it anyway. Third, nagging is connected with words that adults say to hope that things will go well. As for the nagging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 first, these are words of restrictions without explanation. Second, these are emotional words of hope for children to change their behavior. Third, these are words that are not supposed to say but they end up being uttered. This study reviewed nagging that is used unconsciously in the educational setting for children, attempted to understand the nature of children, and searched for desirable direc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that acknowledges children’s autonomy. 본 연구는 잔소리에 대한 유아와 유아교사의 인식에 대해 살펴보기 위해 만 5세 유아 16명(2011년생)과 유아교사 7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유아가 인식하는 잔소리는 첫째, 화는 안 내는데 왠지 화내는 것 같은 말, 둘째, 말 안 해도 내가 하려고 하는데, 먼저하라고 하는 듣기 싫은 말, 셋째, 우리가 잘 되라는 마음에 어른들이 하는 말로 나타났다. 그리고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잔소리는 첫째, 설명 없이 제재만 하는 말, 둘째, 유아의 즉각적인 행동변화를 바라는 감정이 앞서는 말, 셋째, 안 하는 게 맞지만, 하게 되는 말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본 연구가 유아교육현장에서 무의식적으로 자주 사용되는 잔소리에 대해 재고해봄으로써유아의 본성을 이해하고, 자율성을 인정해주는 바람직한 유아교육의 방향에 대해 모색해보았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

        장자 읽기 소모임에 참여한 유아교사들의 이야기

        임홍남,김은주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9 교사교육연구 Vol.5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rec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listening to the stori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participate in a small group reading of Chuang-tzu. As a result of this study, early childhood teachers told the following story. First, the same education is not suitable for all children. Second, children know their own way. Third, nothing for a teacher can be a big event for a child. Fourth, think about for whom is education and discipline made. Fifth, teachers and children need tim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was discussed. Early childhood teachers need to make up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through consideration of agnosticism; children should be able to live in such a nature. In addition, teachers said that it was necessary to do the core and to work and operate according to the amount of time that the teacher and the children can directly think about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These findings imply that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should be preceded by the philosophy of early childhood teacher before focusing on methodology.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ores the future direc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re-deliberating the missing part of the exist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Especially,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who pract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I think it is important to point out the direction from that. 본 연구는 『장자』읽기 소모임에 참여하는 유아교사들의 이야기를 들어봄으로써 유아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해 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들과 2017년 4월부터 5월까지 2개월간 5회의 장자 읽기 소모임을 실시하였으며, 소모임에서 나온 유아교사들의 이야기를 녹음하고 전사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유아교사들은 아이들이 모두 다른데 똑같이 적용하려니 막힌다고 하였으며, 아이들은 자기만의 방법으로 알아가고 있다고 하였다. 그리고 유아교사들은 교사에겐 별일 아닌 일이 아이에겐 큰 사건일 수 있었음을 느꼈으며, 교사가 원하는 방향으로 훈육을 하게 된다고 반성하였다. 또 유아교사들은 교사도 아이도 소요(逍遙)할 시간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이와 같은 유아교사들의 이야기는 유아교육과정이 불가지론(不可知論)에 대한 고려에 토대하여 구성할 필요가 있으며, 유아는 스스로 그러한 모습으로 알아갈 수 있어야 한다고 하였다. 또 이를 위해 유아교사는 심재(心齋) 할 필요가 있으며, 유아교육과정에 교사와 아이들이 직접 사유할 수 있는 소요유(逍遙遊)의 시간에 따른 일과운영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유아교사교육이 방법론에 치중하기에 앞서 유아교사의 철학하기가 선행될 필요가 있음을 함의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유아교육이 정형화되어 간과하고 있었던 부분에 대해 재숙고하게 함으로써 앞으로의 유아교육의 방향을 탐색해 보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특히 유아교육을 실천하는 유아교육현장의 유아교사들로부터 그 방향을 모색해보았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