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D 가치평가를 위한 다면적 접근 : KIST 방역 R&D 사례를 중심으로

        임혜진(HeaJin Lim),김찬수(Chansoo Kim),석현광(HyunKwang Seok),조한얼(Haneol Cho) 한국혁신학회 2022 한국혁신학회지 Vol.17 No.2

        본 연구에서는 최근 국가⋅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방역 R&D와 관련하여, KIST가 10여 년간 수행해온 과제들의 성과를 추적하고 가치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출연연 연구성과에 대한 단기결과(output) 중심의 분석을 보완하는 장기적인 성과(outcome)와 효과(impact)를 고려하는 다면적 R&D 가치평가 모델을 수립하고, 출연연의 주요 연구성과를 논문 수, 기술이전료 등의 정량성과만으로 판단하는 협소한 시각을 벗어나 경제⋅사회적 파급효과를 함께 발굴하고 측정하였다. 또한 방법론적으로도 기존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편익접근법, 피해비용접근법, 산업연관분석 등을 다양하게 사용하여 무형의 연구성과를 발굴하고 정량화하였다. 분석결과, KIST가 수행한 방역 R&D 과제의 Input(연구개발비 총 217.1억원) 대비 Output, Outcome 및 Impact(2,376억원)은 10.9배로 나타났다. 특히 KIST의 방역 R&D 성과항목의 파급효과 중 95.3%(2,265억원)를 감염병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절감액이 차지하여, 방역 R&D의 성격이 과학기술적 성과 및 산업계 대형기술 현안 해결보다는 국가⋅사회적 파급효과가 두드러진 것으로 해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향후 출연연 연구성과의 중장기적 효과를 더 발굴하고 구체화하기 위한 논의의 기폭제가 되기를 기대한다. In this study, in relation to quarantine R&D, which has recently become a national and social issue, the performance of the tasks KIST has been carrying out for the past 10 years was tracked and the value was analyzed. To this end, we established a multi-faceted R&D valuation model that considers long-term outcomes and impacts that complement short-term, output-oriented analysis of existing research outcomes, and the economic and social ripple effects were discovered and measured together, beyond the narrow view of judging the major research achievements of the research institute based solely on quantitative results such as the number of papers and technology transfer fees. In addition, methodologically, by synthesizing existing research results, intangible research results were discovered and quantified using various methods such as benefit approach, damage cost approach, and input-output model. As the result, the output, outcome, and impact (208.73 billion won) compared to the input (total R&D expenditure of 21.71 billion won) of the quarantine R&D task performed by KIST was 9.62 times. In particular, 94% (197.04 billion won) of the ripple effect of KISTs quarantine R&D performance items was occupied by saving social cost due to infectious diseases, so the nature of quarantine R&D was interpreted to have a more pronounced national and social ripple effect than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achievements and resolution of large-scale industrial technology issues. These research results will serve as a catalyst for discussions to further discover and materialize the mid- to long-term effects of the research results of research institute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