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도권 거주 일본 결혼이주여성의 한・일 관계에 대한 역사인식 연구

        임혜정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21 디아스포라 연구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solution to the historical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by analyzing the historical perception of Japanese marriage-migrant women.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108 Japanese marriage-migrant women living in the metropolitan area to analyze the degree of Korean history perception, conflicts and responses due to differences in historical perception, and factors that affect differences in historical percep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Japanese marriage-migrant women lacked the opportunity to learn Korean history in their own country and evaluated their knowledge of Korean history low. They often experience differences in historical perception when political and diplomatic conflicts arise between Korea and Japan, but they mainly respond passively to conflicts. Factors influencing Japanese marriage- migrant women’s historical perception were age, period of residence in Korea, presence or absence of children, and religion. Women who are young, have lived in Korea for a short period of time, and have children were very concerned about their children in case of historical conflicts. Conversely, women who are older, have lived in Korea for a long time, have children, and are members of the Unification Church predicted that it would be difficult to develop bilateral relations without resolving historical issues. These findings show that Japanese marriage-migrant women’s ignorance of Korean modern history and lack of reflection on Japanese imperialism lead to excessive concerns about their children and misunderstanding of anti-Japanese sentiment. The clue to resolving historical conflicts between Korea and Japan can be found from sharing of historical perception with Japanese marriage-migrant women who have contact with Korea. 본 연구는 일본 결혼이주여성들의 역사인식을 분석함으로써 한・일 간 역사 갈등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거주하는 일본 결혼이주여성 10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 한국사 인식 정도, 역사인식 차이로 인한 갈등과 대응, 역사인식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등을 분석했다. 연구결과, 일본 결혼이주여성들은 자국에서 한국 역사를 배울 기회가 부족했고 스스로의 한국 역사 지식도 낮게 평가했다. 이들은 한・일 양국의 정치·외교적 갈등이 생겼을 때 역사인식 차이를 자주 경험하지만, 갈등에 주로 수동적 대응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결혼이주여성의 역사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연령, 한국 거주기간, 자녀 유무, 종교 등이었다. 연령이 낮고 한국 거주기간이 짧으며, 자녀가 있는 여성은 역사 갈등 시 자녀에 대한 우려가 컸다. 반대로 연령이 높고 한국 거주기간이 길며 자녀가 있고 통일교 신자인 여성은 역사 문제 해결 없이 양국 관계 발전은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일본 결혼이주여성의 한국 근현대사 몰이해와 일본 제국주의에 대한 성찰 부재가 자녀에 대한 과도한 우려와 반일 정서 오해로 이어짐을 보여준다. 한·일 양국 간 역사 갈등 해결의 실마리는 한국과 접점을 가진 일본 결혼이주여성들과의 역사인식 공유로부터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향제 삼현육각의 특징

        임혜정 한국공연문화학회 2019 공연문화연구 Vol.0 No.39

        In the situation where the interest of the academics related to the Hyangje Samhyunyukgak is increasing, the task of identifying the identity of the Hyangje Samhyunyukgak should precede. In this paper, we will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the Hyangje Samhyunyukgak distinguished from the court style Samhyunyukgak. First, we will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instrument organization. In the form of the Hyangje Samhyunyukgak, the composition of the musical instrument is flexible. Depending on circumstances such as the geographic region or the composition of the player, the set of instruments were added or reduced. The second part relates to composition of music. Among the various pieces of music, a piece of music to be selected in a specific situation is music pieces related to the use of the piece of music in depth. In this phenomenon, the music with the greatest change is Geosangak(거상악). The music played as Geosangak repertoire showed various musical pieces that are related to various situations in different regions. Finally, I would like to discuss the problems related to the origins of Hyangje Samhyunyukgak music. Compared to the songs of Ginyeombul(긴염불), Gutgeori(굿거리), and Taryeong(타령), it is difficult to totally exclude the relationship from the local music genre. And I could guess that such a common denominator was closely related to the Jangdan. 향제 삼현육각을 발굴하고, 복원하려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그 필요조건으로서의 향제 삼현육각의 정체성 규명 작업이 요구되는 바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궁중에서 전승되었던 삼현육각과 구분되는 향제 삼현육각의 특징에 관해서 논의해 보고자 했다. 우선 악기편성과 관련된 향제 삼현육각의 특징이라고 한다면, “유동성”을 꼽아볼 수 있겠다. 각 지역의 연주자 및 연주 환경에 따라서 가변적인 형태로 연주되고, 변화되어 온 것이 향제 삼현육각 악곡편성의 특징인 것이다. 피리 둘, 해금, 대금, 장구, 북의 삼현육각 기본 악기편성이 그대로 유지되어 나타났던 것은 주로 궁중에서 연주된 삼현육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와는 다르게 향제 삼현육각에서는 상황에 따라서, 또는 연주되는 장르에 따라서 이들 악기 중 일부가 생략되기도 했으며 지역에 따라서는 가야금, 아쟁, 단소, 퉁소 등이 편성되기도 했다. 다음으로 악곡구성과 관련해서 향제 삼현육각의 음악들은 용도가 같으면 주로 같은 악곡명의 음악이 연주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중에서 두드러지는 특징은 거상악의 가변성을 들 수 있다. 향제 삼현육각 중 거상악의 용도로 연주된 음악은 주로 대풍류였지만, 자진한잎이나 염불, 그리고 대풍류 중에서도 앞의 느린 악곡들을 생략한 염불도드리 이후 곡, 상령산을 본 딴 자유리듬의 곡 등으로 대체가 가능한 음악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상황은 각 지역별로도 달랐겠지만, 각 지역 안에서도 무속음악, 사가의 연향, 향교의 제사 등 어떤 상황 속의 거상인지에 따라서도 음악이 달라졌던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긴염불>, <굿거리>, <타령> 등의 경우에 비추어서 살펴본 바에 의하면, 향제 삼현육각 음악의 연원과 관련해서는 궁중에서 연주되던 삼현육각 음악 외에 각 지역에서 연주되고 있는 무속 음악이나 민요 등과의 관련성이 특징 중 하나로 고려되어야 한다. 물론 이는 향제 삼현육각의 개별 악곡별로 구분해서 더 논의를 진행시킨 후 결론을 내릴 수 있는 부분이다. 또한 각 지역 간의 향제 삼현육각의 교류와 관련해서는, 주로 장단에 대한 공유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닐까 추측해 보는 바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취업모 가정 초등학생 자녀의 방과후 돌봄공백이 학습활동적응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 교육수준별 교사-학생 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임혜정,김경근 안암교육학회 2018 한국교육학연구 Vol.2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fter-school self-care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dual-income family on students’ adaptation in learning. Drawing on first to sixth wave data from the Korea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KCYPS), authors examined how the effect differs according to mother's education level and how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mediate the effect using panel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children of mothers with a high school education or less experienced more after-school self-care than children of mothers with a junior college degree or more. In addition, until the third grad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of children of mothers with a high school education or less were found to be better than children of mothers with a higher level of education. However, from the fourth grade, children of mothers with a high level of education had friendlier relationships with their teachers. After-school self-car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learning adaptation amongst both groups, even when all other variables were controlled for. Results also showed that favorable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greatly promoted learning adaption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dual-income families and that these favorable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mitigated the adverse effect of after-school self-care on learning adaptation. In particular, the degree of mitigation was found to be greater for children of mothers with a high school education or less. 본 연구는 취업모의 교육수준에 따라 초등학생 자녀의 방과후 돌봄공백이 학습활동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고, 교사-학생 관계가 그 영향을 어떻게 매개하는지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초1 패널 1-6차 자료를 사용하여 패널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어머니 교육수준이 초대졸 이상인 집단에 비해 고졸 이하인 집단이 초등학교 6년 내내 방과후 돌봄공백에 더 많이 노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등학교 3학년까지는 어머니 교육수준이 초대졸 이상인 아동에 비해 고졸 이하 교육수준의 어머니를 둔 아동의 교사-학생 관계가 더 양호했지만, 4학년 이후에는 오히려 어머니 교육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아동이 교사와 더 우호적인 관계를 맺는 것으로 드러났다. 방과후 돌봄공백은 여타 변수들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어머니 교육수준이 고졸 이하인 집단과 초대졸 이상인 집단 모두에서 학습활동적응에 유의미하게 부정적 영향을 끼쳤다. 반면 우호적인 교사-학생 관계는 취업모 가정 초등학생의 학습활동적응을 크게 촉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아울러 우호적인 교사-학생 관계는 방과후 돌봄공백이 학습활동적응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완화하는데, 완화 정도는 상대적으로 어머니 교육수준이 낮은 집단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 그릿이 아동의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임혜정,유백산 어린이재단 2021 어린이재단 연구논문 모음집 Vol.2021 No.-

        본고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2018) 초4패널 1, 2차 자료를 사용하여 아동들의 그릿 수준와 주관적 웰빙관계를 분석하였다. 다수의 국내 선행연구들이 아동의 웰빙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해왔으나 그릿의 개념을 아동의 웰빙 증진 가능성과 연계시킨 실증연구는 매우 제한적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 수준에서 수집된 대표성 있는 자료를 이용하여 학교고정효과 모형을 적용, 주관적 웰빙 지표를 국제적 척도 기준에 맞춰 다각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아동의 그릿-흥미유지와 삶의 만족도 그리고 그릿-노력지속과 학교만족도와의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분석된 결과는 누락변수 편의에도 일정 부분 강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생의 그릿 수준을 높이기 위한 교육적 개입이 적기에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연계한 학교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그릿 증진방안을 제안하고 가정 및 지역사회지원의 필요성도 제기하였다. Despite the growing concerns about child well-being and mental health in many developed nations,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how grit influences child subjective well-being. Moreover, most previous studies have relied on a single measure of child well-being such as life satisfaction or happiness based on cross-sectional analyses. To address these issues, we rely cm the nationally representative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2018-2019). We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subjective well-being in a multi-level school fixed-effects model framework employing various measures of well-being. We show that there a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child grit-interest and life satisfaction, and grit-effort and school satisfaction. Moreover, tile observed findings are robust to unobserved confounding. We discuss the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for interventions promoting child grit in the contexts of classroom instruction, family, and local distri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