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CF에 기반한 장애인의 환경요인과 사회참여의 관계

        임혜경 ( Hyegyeoung Lim ),박재국 ( Jae Kook Park ),김은라 ( Eun Ra Kim ),장진순 ( Jin Soon Jang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5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6 No.1

        본 연구는 장애인의 환경요인과 사회참여의 관계를 분석하여 장애인 정책의 흐름과 방향을 수립하는데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부산, 울산, 경남지역 장애인 종합복지관, 장애인 자립생활지원센터, 한국장애인고용공단 부산지부의 협조를 구해 본 연구목적을 이해하고 자가 응답이 가능한 성인장애인 250명을 대상으로 ICF에 기반하여 구성된 환경요인과 사회참여 척도를 수정 ·보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221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을 제외한 214부가 최종 분석자료로 사용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주된 결과를 얻었다. 첫째, 장애인은 그들의 환경요인에 대해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가족의 태도에 대한 인식 수준이 가장 높고, 서비스ㆍ시스템ㆍ정책에 대한 인식 수준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배경변인별 환경요인에 대한 인식은 장애유형, 월평균 수입, 자격증 유무에 따른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인의 사회참여 수준은 높게 나타났으며, 영역별로 이동에 대한참여 수준이 가장 높고, 대인관계에 대한 참여 수준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넷째, 배경변인별 사회참여 수준은 일상생활 수행 정도, 월평균 수입, 장애등급, 자격증 유무에 따른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장애인의 환경요인과 사회참여의 관계는 지지적 관계와 의사소통, 사회적 태도와 시민생활, 서비스ㆍ시스템ㆍ정책과 의사소통 순으로 높은 정적 상관을 보여주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장애인을 위한 정책 구안, 장애학생의 전환교육 프로그램 구 안 시 중요한 정보를 실증적 결과로써 제시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vironmental factors and social participation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 ICF to propose the direction to establish the policies for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o this end, 250 subjects were asked to complete two questionnaires; one was on the recognition on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he other was on the status of the social participation. A total of 214 responses were used to analyze data, and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recognition on the environmental factors was positive. In particular, the level of recognition on the family’s attitude was the highest, on the other hand, the level of recognition on the service·system·policy was lowest. As well,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everal socio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type of disability, income level, license status, etc. Second, the level of the social participation was more or less high, in detail, the level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was the highest.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ubjects’ the degree of daily activities, income level, rate of disability, and the license status. Third, there were statistically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ll of the subdomains of environmental factors and those of social participation.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possible to establish the practical policies and transition programs for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성인기 발달장애 자녀 어머니가 경험하는 돌봄 부담감에 따른 가족지원 방안 탐색

        임혜경 ( Hyegyeoung Lim ),황순영 ( Soonyoung Hwang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8 한국가족복지학 Vol.59 No.-

        이 연구의 목적은 거듭 강조되고 있으나 여전히 어려움이 내재되어 있는 성인기 발달장애 자녀 어머니의 돌봄 부담감을 탐색하고, 이를 경감시키거나 완충할 수 있는 가족지원 방안을 논의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B광역시에 소재하는 장애인복지관 2곳과 종합사회복지관 3곳의 장애인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는 성인기 발달장애 자녀 어머니 5명을 목적표집법으로 선정하여 개별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자료 분석을 통하여 참여자가 경험하는 돌봄 부담감으로 자녀의 ‘제자리걸음을 맴도는 도전적 행동’, ‘산 넘어 산과 같은 일상생활 관리의 어려움’, ‘가족기능 유지의 복병’이라는 3가지 대주제와 이에 따른 소주제 9개, 의미주제 19개를 유형화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성인기 발달장애 자녀와 그들 가족의 돌봄 부담감을 경감시킬 수 있는 정책적·실천적 가족지원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family support pla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order to reduce or buffer the caregiving burden experienced by mothers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is study conducted in-dept interview targeting 5 mothers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using daycare center operated by 2 rehabilitation center for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3 social welfare center in B metropolitan city. The caregiving burden experienced by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3 categories, 9 sub-categories and 19 subjects. The family support plan for reducing the caregiving burden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were discussed and political and practical plan were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 KCI등재

        중도 지적장애인의 다면적 평가를 위한 ICF Core Set 개발: 현장전문가 면담을 통한 항목 추출을 중심으로

        이연재(Lee, Yeonjae),임혜경(Lim Hyegyeoung)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9 교육혁신연구 Vol.29 No.1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중도 지적장애인의 다면적 평가를 위한 ICF Core Set을 개발하는 것으로 현장전문가와의 면담을 통해 4개 영역의 항목을 추출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연구 참여자는 중도 지적장애인을 5년 이상 지도한 경험이 있는 현장전문가 10명이다. 면담 기간은 2017년 9월에서 11월까지 약 2개월이 소요되었다. 면담 질문지는 WHO(2001)가 공표한 ICF 분류체계의 신체기능 및 신체구조, 활동과 참여, 환경요인의 4개 영역에 대한 중도 지적장애인의 특성, 능력과 수행 정도, 지원의 정도를 알아보는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면담자료는 연구 참여자의 동의를 구해 모두 녹음한 후 필사본으로 전사한 다음 4개 영역으로 유형화하였다. 연구결과: 중도 지적장애인의 다면적 평가를 위한 ICF Core Set 개발에 포함되어야 할 항목으로 총 149개가 추출되었다. 영역별로는 신체기능이 57개 항목, 신체구조는 11개 항목, 활동과 참여는 51개 항목, 환경요인은 30개 항목이 각각 추출되었다. 논의 및 결론: 향후 본 연구에서 추출한 항목의 중요도를 평정하기 위하여 2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중도 지적장애인의 다면적 평가를 위한 포괄형 및 단축형 ICF Core Set을 개발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evaluation items through interviews with field experts in order to develop ICF Core Set for multidisciplinary evaluation of persons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Method: The study participants were 10 field experts with more than five years of experience instructing persons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interview period took about two months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17. The interview questionnaire was designed to understand the abilities and performance of persons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4 areas(body function and structure,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environmental factors, contextual factors) of the ICF system suggested by WHO(2001). The interview data were recorded and transferred to the transcripts with the consent of study participants, and the data were categorized into 4 areas under triangulation method. Results: A total of 149 items were extracted to be included in the development of the ICF Core Set for the multidisciplinary evaluation of persons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re were 57 items on body functions, 11 items on body structures, 51 items on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30 items on environmental factors. Conclusion: Hereafter, a two-phase Delphi survey will be conducted to assess the importance of items extracted from this study, while developing a comprehensive and shortened version of ICF Core Set for multidisciplinary evaluation of persons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