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NS 이모티콘 시장의 동등한 소비자로서 시각장애인 : 사운드콘과 대체텍스트를 중심으로

        임현우(Lim Hyun Woo),강은교(Kang Eun Gyo),김도현(Kim Do Hyun),유우연(Yoo Woo Yeon) 한국장애인재단 2021 장애의 재해석 Vol.2021 No.-

        본 연구는 그동안 시각장애인이 각종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이모티콘을 사용하는 데 소외됐다는 점에 주목하고, 이에 대한 방안으로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 이모티콘을 제시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더 나아가,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을 비장애인과 다르게 보고 그들을 위해 특별한 이모티콘 시장을 조성해야 한다는 기존의 관점에서 탈피하여, 시각장애인이 기존의 이모티콘 시장에서 차별받지 않고 비장애인과 동등한 소비자 주체로서 이를 사용할 권리를 지닌다는 관점으로의 전환을 이끄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을 크게 시각장애인과 비장애인으로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고,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로, 시각장애인의 SNS 및 이모티콘 사용현황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그 결과 대표적인 메신저 플랫폼 ‘카카오톡’에서 제공하는 이모티콘의 대체 텍스트와 사운드콘의 유용성을 인식하였다. 둘째로, 화면음성 해설 및 자막 제작 회사 ‘사운드플렉스 스튜디오’, 한글을 점자로 변환하는 소프트웨어 개발자와의 인터뷰를 통해, 배리어프리한 이모티콘 제작을 위한 유니버설 디자인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에 더하여, 경영학적 비용 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 제시한 아이디어의 실현 가능성을 증명하였다. 마지막으로 20대 비장애인 6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받은 결과, 시각장애인을 위한 사운드콘 및 대체 텍스트가 적용된 이모티콘에 대한 수요가 적지 않으며, 이들이 보다 배리어프리한 SNS 환경을 구축하는 것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시 말해, 본 연구는 이모티콘에 사운드콘과 대체 텍스트를 적용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이 기존 이모티콘 시장에 동등한 소비자로서 활발하게 참가하는 데, 더 나아가 장애인의 권리와 자유를 더욱 높은 수준으로 보장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는 시각장애인뿐만 아니라 고령층 등 이모티콘 사용에 있어 제한받았던 이들에게도 도움이 될 수 있는 유니버설 디자인의 일종으로 발전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 및 시사점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의 이모티콘 사용에 관한 추가 연구의 도화선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Focusing on the fact that visually impaired people have been alienated from using emoticons from various social network services (SN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sent emoticons with universal design as a solution on this problems. Furthermore, this study aims to change from the existing point of view that the visually impaired need a special emoticon market for them into that visually impaired have the right to use emocions as an equal consumer to the non-disable without discrimination in the existing emoticon market.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dividing visually impaired and non-disabled in to group and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were derived. First,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visually impaired to find out the current status of SNS and emoticons usage, and as a result, we"ve found the usefulness of alternative text and Soundcon provided by the representative messenger platform "Kakao Talk". Second, through interview with "Sound Flex Studio", company which creates on-screen voice commentary and subtitles, and developer who created software that can translate Korean into braille, we‘ve found the possibility of implementing the universal design for barrier-free emoticon. Finally, as a result of a survey of 68 non-disabled people in their 20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high demand for emoticons with Soundcon and alternative text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that they had a positive perception of establishing a barrier-free SNS environment. In other words, this study confirmed that applying soundcon and alternative text to emoticons can help visually impaired a ctively participate in the existing emoticon market as equal consumers, further ensuring higher level of the rights and freedoms of the disabled. In addition, it proved that it can develop into a kind of universal design that can be helpful not only for the visually impaired but also for those who have been restricted in using emoticons such as the elderly. Based on these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a trigger for further research on the usage of emoticons by the visually impaired.

      • KCI등재

        Korean Graduate Students’ Negotiations of Identities within U.S. Academe

        Hyun-Woo Lim(임현우)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006 Foreign languages education Vol.13 No.3

          This study investigated how adult second language learners negotiate their social, relational identities in real-life communicative interactions within professional, institutional social settings. Based on the sociocultural approach to identity formation (e.g., Lantolf & Pavlenko, 2001; Penuel & Wertsch, 1995), this study examined five Korean graduate students’ experiences with and perspectives regarding their real-life communicative interactions within U.S. academe. The study findings suggested the importance of English learners’ enactment of positive, relational identities in enhancing their agency in order to actively participate in English communicative practices and continue to improve their English proficiency.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enhancing Korean students’ agency in learning English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반소(半燒)된 공신초상화의 주인공 검토

        임현우(Lim Hyun woo) 국립고궁박물관 2010 古宮文化 Vol.- No.3

        An anonymous portrait in a subject’s attire has survived on a large, half-burnt hanging scroll. The large scale of the portrait and its provenance from the Royal Portrait Hall (Seonwon-Jeon, 璿源殿) of Changdeok Palace imply that the depicted person should be an important figure next to the king or one with some significant background. Such particularity and anonymity inspired the author to research about who he is. Through a comparative studies of material, similar features and formats were found in the to 17th Century portraiture of Joseon merit subjects. It was also found in records that among all Joseon kings including those who were posthumously enthroned, honorary King Wonjong (1580~1619) had been entitled a merit subject in early 17th century before his enthronement. King Wonjong, who was Prince Jeongwon (定遠君) then, had been invested twice as merit subject, first in 1604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jo and second in 1613 during the reign of Prince Gwanghae (光海君), and it was customary in Joseon government to hand down the images of merit subjects for generations by producing portraits upon their investment. The stylistic analysis of the large anonymous portrait infers its production period to be around the merit subject investiture of 1613, because the portrait’s short official’s hat, hidden white cuffs and carpet patterns showed similarities to the surviving portraits merit subjects during the Prince Gwanghae’s reign. Records such as the Diaries of the Royal Secretariat (Seungjeong-Won Ilgi, 承政院日記) also confirms that the royal portrait of King Wonjong in the royal portrait halls depicted an image of Prince Jeongwon as a merit subject, and that his official’s hat was designed short. There are two reproduction cases of King Wonjong’s portrait specifically mentioned in records. The Royal Protocols on 1872 renewal process of King Wonjong’s portrait records dimensions of the portrait that corresponds with the half-burnt hanging-scroll, thus proving them to be the same portrait. In another record, which is the transcript of documents regarding duplication of the portrait in 1935, a court painter Kim Eun-Ho (金殷鎬) suggested to revise of awkward depictions such as the drape of the robe and side of the chair. Since the half-burnt portrait bears the revised features suggested by Kim, it must be the very portrait of King Wonjong by Kim Eun-Ho in 1935. The portrait of Prince Jeongwon was enshrined to Yeonghui-Jeon following his posthumous enthronement, and later moved to Seonwon-Jeon of Changdeok Palace in late Korean Imperial period. It was kept there through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n, just like all other royal portraits from Seonwon-Jeon, it was evacuated to Busan during the Korean War where it caught fire. Although this portrait survived by luck, its upper-right corner with a cartouche bearing inscriptions was lost so that the person depicted has remained unidentified. Although this royal portrait depicts an image of a prince in merit subject’s attire, its re-identification makes a valuable addition to surviving examples of royal portraiture, of which only a minute portion survives. It also made the portrait of Prince Yeoning (later King Yeongjo) no longer the solely surviving example of a Joseon Prince’s portrait. There is no doubt this portrait has become a key reference to understand the early 17th Century attire of a Joseon prince. 신하의 복장을 한 거대한 초상화 족자 한 점이 반쯤 소실되고 주인공을 모르는 채로 전해져왔다. 분명히 창덕궁 선원전에서 소장하고 있던 초상화이고 그 규모로 봤을 때 王에 버금가는 중요한 인물이거나 어떤 사연이 있는 영정이라 생각했다. 그래서 과연 주인공이 누구인가에 대한 호기심이 들었으며, 이를 시작으로 여러 자료를 찾아본 결과 17세기에 제작된 공신상들과 유사함을 볼 수 있었고 추존된 임금을 포함한 조선의 왕 중에서 17세기에는 원종(元宗)이 잠저(潛邸) 시절에 공신에 책봉되었던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신으로 책봉되면 나라에서는 초상화를 그려주어서 그 모습이 후세에 전해지도록 하였는데 원종은 정원군(定遠君) 시절에 선조 때의 호성공신(扈聖功臣)과 광해군 때의 익사공신(翼社功臣)에 책봉되었기 때문에 반소된 영정은 둘 중의 하나이다. 그 중 양식적으로 보았을 때 사모(紗帽)의 모정(帽頂)이 낮고 하얀 소매가 드러나지 않는 점과 채전(彩氈)의 문양 등이 광해군 때의 공신상들과 유사하여 익사공신상으로 보았다. 과연 『승정원일기』 등의 사료를 통해서 진전(眞殿)에 모셔진 원종의 어진은 원래 정원군 시절의 공신상이었음을 알 수 있었고 사모의 높이가 상당히 낮았음이 증명되었다. 元宗 御眞의 제작과 관련된 구체적 기록은 1872년의 이모(移摹)와 1935년의 모사(模寫)와 관련된 기록이 남아 있는데 1872년 이모 과정을 기록한 의궤에서 드러난 치수와 반소된 영정의 크기가 거의 일치하여 원종의 어진임을 증명하였으며 1935년의 모사 과정을 기록한 등록을 통해서 당시 화사였던 김은호(金殷鎬)가 의복이 드리워진 형태와 의자의 측면이 불합리하여 수정을 건의한 내용이 반소된 영정에서 드러나고 있는 점으로 보아 이는 1935년에 김은호가 그린 원종의 어진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정원군의 공신상은 사후에 왕으로 추존된 이후 영희전을 거쳐서 대한제국 말기에 창덕궁 선원전으로 이안되었는데 일제강점기를 거쳐서 한국전쟁 때 여러 어진과 마찬가지로 부산으로 피난을 갔다가 화재를 당하였고 요행히 그 일부가 남았던 것이다. 그러나 우측 상단에 있었을 표제가 불타버려서 주인공을 모르는 상태로 남아있었다. 새롭게 밝혀진 원종의 어진은 비록 범본이 잠저 시절의 공신상이지만 극소수에 불과한 어진 자료가 늘어난 것이어서 그 가치가 매우 크며 영조의 잠저 시절 초상화인 연잉군 영정 외에는 왕자의 초상화가 전혀 없는 실정에서 17세기 초반 왕자의 차림새를 알려주는 중요한 자료라고 생각한다.

      • KCI등재

        코드섬유-고무 복합재료의 물성치에 대한 계면의 영향

        임현우(Hyun-Woo Lim),김종국(Jong-Kuk Kim),염영진(Young-Jin Yum) 대한기계학회 2010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34 No.5

        고무의 비선형성과 대변형으로 인해 코드-고무 복합재료의 정확한 거동을 파악하기는 어렵다. 코드와 고무 사이에 제 3 의 상을 가정해서 세 가지 상에 대한 모델링을 하기도 하지만 코드-고무 복합재료 계면의 두께와 물성을 결정하기 힘들다. 본 연구에서는 2 차원 일반화된 평면변형률요소와 평면변형률요소를 사용한 유한요소법을 적용하여 여러 가지 계면 두께를 갖는 코드-고무 복합재료의 유효탄성계수와 무차원 탄성계수를 구하였다. 고무물성은 네오-후크 모델을 적용하였고 여러 가지 하중상태와 몇 가지 계면 물성치에 대한 고찰을 하였다. 그 결과 계면 물성치와 계면 두께는 코드-고무 복합재료의 비선형성과 유효탄성계수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The nonlinearity and high deformability of rubber make accurate analysis of the behavior of cord-rubber composites a challenging task. Some researchers have adopted the third phase between cord and rubber and have carried out three-phase modeling. However,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thickness and properties of the interface in cord-rubber composites. In this study, a two-dimensional finite-element method (2D FEM) is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 and normalized moduli of cordrubber composites having interfaces of various thicknesses; this model takes into account the 2D generalized plane strain and a plane strain element. The neo-Hookean model is used for the properties of rubber, several interface properties are assumed and three loading directions are selected. It is found that the properties and thickness of the interface can affect the nonlinearity and the effective modulus of cord-rubber composites.

      • 연돌효과 저감을 위한 E/V샤프트 냉각장치의 적용에 대한 연구

        임현우(Hyun-woo Lim),이준호(June-ho Lee),서정민(Jung-min Seo),송두삼(Doo-sam Song),이중훈(Jung-hun Lee) 대한설비공학회 2009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09 No.-

        The stack-effect in high-rise buildings in winter causes many problems such as difficulties in opening or closing doors, infiltration, energy loss, noise and fire protection. Stack effect is influenced by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terior and exterior of building and the height of building. As an attenuation method for stack effect, the architectural methods are generally used. However, as though architectural methods were fully adopted, the problems are reported as ever in tall building. In this study, a new method to reduce stack effect will be suggested. As an active control method against the stack effect, E/V shaft natural cooling method is suggested. In this paper, the concept of E/V shaft natural cooling system and its reduction performance of stack effect by simulation and field measurement will be reported.

      • 대용량 공조 적용에 대한 빙축열 시스템과 흡수식 냉온수기의 경제성 분석

        임현우(Hyun-Woo Lim),김영일(Young Il Kim),정광섭(Kwang-Seop Chung) 대한설비공학회 2011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1 No.7

        Cost related to building equipment accounts for about 85% of the life cycle cost of buildings. Therefore proper selection of air-conditioning system is important for reducing the overall cost of buildings. In this study, large capacity ice thermal storage and absorption chiller-heater for air-conditioning a building with a floor area of 18,300 ㎡ are compared economically. For easy input and analysis, a MS Excel VBA program has been developed. To consider all the factors of initial and operation costs effectively, an annual equal payment method is proposed. Under the assumptions made in this study, overall cost of an absorption chiller-heater is less than that of an ice thermal storage, but this is not absolute and different outcome may result if different assumptions are made. This study is useful for those who are interested in choosing an economical air-conditioning system for large-size buildings with simple calculations.

      • KCI등재

        지역분할기법을 이용한 택배 영업소 배송권역 설정에 관한 연구

        임현우 ( Hyun Woo Lim ) 한국로지스틱스학회 2013 로지스틱스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택배 네트워크상에서 고객의 최접점에 위치하면서 고객에게 직접 배송을 담당하는 영업소의 권역을 설정하는 체계적인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기존의 대다수 관련연구들은 택배 터미널이나 영업소 및 수요의 위치를 네트워크상의 노드로 보고 수요량 및 노드간의 거리 및 운송비용에 따라 수요지를 인접한 영업소로, 그리고 영업소를 상위 터미널로 할당하는 네트워크 최적화 기법을 사용해 왔다. 그러나 실제로 영업소나 터미널의 권역이 행정구역 단위별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택배 서비스의 권역도 수요량뿐 만 아니라 행정구역의 공간적 형태나 면적, 그리고 인접 행정구역간의 위상관계 (topological structure)도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선 국내 모 택배업체의 사례를 바탕으로 서울시 행정동별 배송수량의 공간적 분포를 지도화하고 공간통계기법을 사용하여 배송수요의 핫스팟 및 콜드스팟을 탐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지역분할기법(regional partitioning)을 적용하여 서울시내 각 터미널 권역별로 영업소의 배송권역을 재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택배업체 본사 입장에서 배송권역 면적당 배송량인 배송밀도가 너무 적어 통폐합이 필요한 권역과 반대로 배송밀도가 너무 높아 분할이 필요한 권역을 찾아내는 등 영업소 운영 관리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Situated at the forefront of customer service, last-mile parcel delivery operation plays a critical role in the entire parcel delivery network. However, parcel delivery service companies in Korea often outsource local delivery activities to local small businesses while focusing on line-haul transportations between terminals. Unbalanced delivery loads among local delivery centers have caused diminishing profits for certain delivery centers eventually leading to customer service deterioration. This study aims at delimitating service areas providing relatively balanced share of delivery loads to local parcel delivery centers. Based on the spatial pattern of parcel delivery demand in Seoul, Korea, numbers and locations of delivery centers are determined for each terminal districts. Then service areas of local delivery centers are delimitated based on Dong-level administrative districts in Seoul using regional partitioning method to ensure each service area is contiguous, compact, and balanced in parcel delivery loads.

      • 공조가 연돌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임현우(Lim Hyun-Woo),박동률(Park Dong-Ryul),이중훈(Lee Joong-Hoon),송두삼(Song Doo-Sam)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2008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 No.-

        In this study, the effect of HVAC system on stack-effect in high-rise building is analyzed. As an attenuation method for stack-effect, the architectural measures are generally used. However, the architectural measures have limits to settle down the problems coming from stack-effect. Therefore, the architectural measures should be considered side by side with HVAC system operation. In this paper, the influence of HVAC system operation on stack-effect will be analyzed with field measurement and network simu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