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Survey of Radiation Therapy Utilization in Korea from 2010 to 2016: Focusing on Use of Intensity-Modulated Radiation Therapy

        임채홍,이정심,김우철,양대식,윤원섭,금웅섭,김철용 대한의학회 2018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Vol.33 No.9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recent changes of radiation therapy (RT) modalities in Korea. In particular, we focused on intensity-modulated radiation therapy (IMRT) utilization as the main index, presenting the application status of advanced RT. Methods: We collected information from the Korean Health and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data based o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claims and reimbursements records by using treatment codes from 2010 to 2016. We classified locating region of each institution as capital vs. non-capital areas and metropolitan vs. non- metropolitan areas to assess the regional difference in IMRT utilization in Korea. Results: IMRT use has been steadily increased in Korea, with an annual increase estimate (AIE) of 37.9% from 2011 to 2016 (P < 0.001) resulting in IMRT being the second most common RT modality following three-dimensional conformal radiotherapy. In general, an increasing trend of IMRT utilization was observed, regardless of the region. The rate of AIE in the capital areas or metropolitan areas was higher than that in non-capital areas or non- metropolitan areas (40.7% vs. 31.9%; P < 0.001 and 39.7% vs. 29.4%; P < 0.001, respectively). Discussion: The result of our survey showed that IMRT has become one of the most common RT modalities. IMRT is becoming popular in both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areas, while metropolitan area has faster AIE possibly due to concentration of medical resources and movement of advanced patients.

      • KCI등재

        소비자 제품수용 분석 프로세스 연구

        임채홍,정석길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2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2 No.3

        소비자가 제품을 구매하는데 있어서 해당 제품의 가치를 수용하는 요인들은 제품의 품질과 서비스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제품의 가치를 결정하는 요인으로는 기술적 측면의 가치, 즉 하드웨어, 사용성, 가격, 기능 등이 있고 감성적 측면에서의 가치는 소프트웨어(서비스), 자부심, 브랜드, 형태 등으로 볼 수 있다. 지금까지의 제품기획과 디자인 평가의 주된 논의는 제품의 형태적, 경제적, 기술적 가치에 대한 분석을 통한 소비자 욕구의 파악 이었다. 그러나 소비자가 제품을 수용하고 선택하는 과정에는 의식의 표면상에 나타나는 객관적이고 논리적인 가치와 더불어 의식의 내면에 잠재되어 있는 주관적이고 감성적인 가치 또한 제품을 선택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디자인은 이러한 소비자 의식의 경제적, 기술적 가치와 의식의 내면에 잠재되어 있는 감성적 수용의 가치를 극대화 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의식의 표면상에 나타나는 객관적이고 논리적인 가치는 사회, 문화적인 측면에서 개인적인 차이가 크지 않지만 의식의 내면에 잠재되어 있는 감성적 수용의 가치는 개인적인 차이가 많아 정량적 평가에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사회, 문화적으로 보편적이고 공통된 감성적 수용 요인을 발견하고 제품의 기획이나 디자인의 평가에 적용할 수 있다면 제품수용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를 좀 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디자인 공감력의 분석방법을 제품요소와 시장형태의 요소까지 확장된 프로세스로 정리하여 소비자가 제품을 수용하는 의식상과 의식하의 요소들을 발견하고 이를 통해 제품의 기획과 평가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factors in customer's evaluation and acceptance of a product are not limited to the quality of the product or the service. Those factors include technical value and emotional value. Until now the main topic of discussion in designing a product and evaluation of the same has been how to accurately comprehend the desire of the customer through evaluation of the product's form, economic and technological value. However, when a customer accepts and selects a product, the subconscious mental activity, which is more subjective and emotional than the conscious activity, acts as a crucial determinant along with the objective and logical conscious thinking. The design of a product should be able to amplify such subconscious emotional and sentimental value that lies beneath the conscious, economical, and functional value that orchestrates a customer's mind. Whereas the objective and logical value that stems from the consciousness in an individual varies little across society and culture, the subconscious emotional value system varies greatly in different individuals, thus hindering quantitative evaluation. Therefore, a potent and quantitative analyze system that utilizes a universal, cross-cultural sentimental acceptance factor would allow for better analysis of understanding the desire of a consumer in accepting and selecting a product. The expansion of design acceptance analysis tool by including the elements and components of a product as well as the form of the market, utilization of the expanded design acceptance analysis tool in discovering the conscious and subconscious values of customers, and how those values can be used in the designing and evaluation of a product.

      • KCI등재
      • KCI등재

        거주지역간 차이가 소득과 삶의 질에 미치는 동태적 변화패턴 분석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 시기의 비교를 중심으로-

        임채홍,김정렬 한국거버넌스학회 2013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ynamic change pattern of difference of region(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area) and absolute disparity(income) and subjective disparity(quality of life) of family focused on comparison of Roh Moo-Hyun and Lee Myung-Bak government' times through the using of panel regression analysis(especially, fixed effect model) and Difference In Difference(DID) of family. As a results, There’ s a marked contrast between the absolute and subjective disparity and dynamic pattern in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area. And this study is to discuss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results, direction and necessity of follow-up study 본 연구에서는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 시기의 거주지역간(수도권과 비수도권) 차이가 소득(가구연간경상소득)과 삶의 질(전반적 만족도)에 미치는 동태적 변화패턴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한국복지패널데이터 1-5차년도 자료에 모두 응답한 동일한 가구를 대상으로 (패널)회귀분석을 통한 이중차분법(DID)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① 노무현 정부에 비해 이명박 정부에서의 수도권과 비수도권 거주가구의 절대적 격차(가구연간경상소득)가 더 감소하였다. ② 수도권과 비수도권 가구의 평균적인 가구연간경상소득 차이는 (+)로 나타났으며, 연도별로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였다. ③ 노무현 정부에 비해 이명박 정부에서의 수도권과 비수도권 거주가구의 전반적 만족도 격차가 약간 증가하였다. ④ 수도권과 비수도권 가구의 평균적인 전반적 만족도의 차이는 (-)로 나타났으며, 2008년을 제외하고 대체로 연도별로 약간 증가 추세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수도권과 비수도권 거주가구의 절대적, 주관적 격차는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의 시기에 따라서 차이가 존재하였으며 서로 상이한 동적패턴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함의와 한계 및 추후 보완의 필요성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 KCI우수등재

        주행 중 운전자의 교통안전표지 및 노면표시 인식도 분석

        임채홍,신소명,김도훈,임준범,김동기 대한교통학회 2020 대한교통학회지 Vol.38 No.4

        The traffic safety signs of the city are, under the Road Traffic Act, are mostly installed on the roadside, however they have been likely to be unrecognized due to roadside trees and other facilities. The parallel installation of road markings and traffic safety signs or preferential installation of road markings may be a solution to this problem, however this cause problem because priorities in the effectiveness of road markings and traffic safety signs are legally clea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refore, to analyzes the gaze time and compliance rate for each installation method by using eye tracking for speed limit, slow speed, no-entry, and stop among regulatory signs for the two-way and four-lane roads in the city and to analyze the visual gaze rate using Visual Attention Service (VA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arallel installation of the traffic safety sign and road marking increased the gaze time and the gaze rate and level were higher in road marking than those in column- or arch-attached sig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a fundamental data in determining policies such as amendment of standard about traffic safety sign and road markings in city. 도로교통법에 의거하여 도시부의 교통안전표지는 대부분 도로변에 설치되고 있으나, 가로수 및 타 시설물에 의하여 인지가 어려운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노면표시 병설 또는 우선설치가 이에 대한 해결방안이 될 수 있으나 교통안전표지와 노면표시는 법적 효력에 대한 순위가 뚜렷하여 문제제기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부 양방향 2차로 도로 및 4차로 도로를 대상으로 규제표지 중 속도제한, 서행, 진입금지, 일시정지에 대해 Eye tracking을 활용하여 설치방법별 주시시간, 준수율 등을 분석하고, VAS(Visual Attention Service)를 활용하여 시선 주시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통안전표지와 노면표시 병설시 주시시간이 증가하며, 노면표시는 측주식과 문형식 표지판보다 주시율 및 주시도가 높게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도시부 도로에서 교통안전표지 및 노면표시의 운영기준 개정 등 정책 결정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Practical Advice for South Korean Medical Researchers Regarding Open-Access and Predatory Journals

        임채홍 대한암학회 2021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Vol.53 No.1

        In recent decades, the volume of scholarly literature worldwide has increased significantly, and open-access publishing has become commonplace. These changes are even more dominant in South Korea. Comparing the periods of 1981-2000 and 2001-2020, the number of medical articles produced in Korea increased by 16.8 times on the Web of Science platform (13,223 to 222,771 papers). Before 1990, almost no open-access articles were produced in South Korea, but in the last 10 years open-access publications came to account for almost 40% of all South Korean publications on Web of Science. Along with the expansion of literature and the development of open-access publishing, predatory journals that seek profit without conducting quality assurance have appeared and undermined the academic corpus. In this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medical researchers have begun contemplating publication standards. In this article, recent trends in academic publishing are examined from international and South Korean perspectives, and the significance of open-access publishing and recent changes are discussed. Practical methods that can be used to select legitimate publishers, including open-access journals, and identify predatory journals are also discussed.

      • 정권별 지역정책의 변화 효과 및 지역격차의 동태적 변화패턴 비교 분석 : 참여정부와 실용정부 시기의 비교를 중심으로

        임채홍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한국복지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Vol.4 No.-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데이터 1-5차년도 자료에 모두 응답한 동일한 가구를 대상으로 (패널)회귀분석 및 이중차분법(DID)를 활용하여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정권별(참여정부와 실용정부) 지역정책의 변화 효과 및 지역격차의 동태적 변화패턴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절대적 지역격차의 경우, ① 수도권 거주가구는 비수도권 거주가구의 격차는 2005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다가 2009년에는 다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② 2005년부터 2009년까지의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평균적인 가구연간경상소득의 차이는 약 8.880% 정도이며, 2005년을 기준으로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③ 가구연간경상 소득은 정권별로 노무현 정권에 비해서 이명박 정권에서 평균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정권별 지역정책의 변화에 따른 간접적인 효과는 (-)로 나타났다. 둘째, 주관적 지역격차의 경우, ① 2005년도부터 2009년까지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삶의 질 관련 문항의 격차는 비일관적인 변화패턴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② 2005년부터 2009년까지의 건강 만족도를 제외하고, 나머지 세부 만족도의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평균적인 격차는 (-)로 나타났고, 건강 만족도, 가족수입 만족도를 제외하고 2005년을 기준으로 연도별 만족수준은 대체로 (+)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③ 2005년부터 2009년까지의 주관적 지역격차 가운데, 가족관계 만족도를 제외하고 세부 만족도는 노무현 정권시기보다 이명박 정권의 시기에서의 평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권별 지역정책의 변화에 따른 간접적인 효과가 전반적 만족도, 사회적 친분관계 만족도, 여가생활 만족도에서는 (+)이고, 그 외 세부 항목에서는 (-)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함의와 한계 및 추후 보완 연구의 필요성 등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