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국내 집단 진로지도 및 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임은미,임찬오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03 청소년상담연구 Vol.1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effect size effects of career programs which were developed and have been operating in Korea.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alculated over the 680 effect sizes from 93 studies. The selected studies were conducted in Korea from 1993 to 2002 and applied pre-post between group design. From each article,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method, results, and the appendix were closely reviewed. The effect sizes were analyzed in overall, and compared in the aspects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sex, regional area, grade, the style of high school), the specific factors in managing the program (the number of sessions, the duration per session, whether or not using multi-media system), the type of operating program, and the style of distributing the participants to the control or experimental group.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The overall of mean effect size in target theses was found to be 0.68. The result showed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career counseling and program in Korea was highly effective. The program is most effective when it was performed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g=.81), the frequencies of the program were 6-10 times (g=0.71), the duration of a session is composed 76-105 minutes (g=0.87), and the activities were balanced between guidance and counseling. These results will contribute for the development of career counseling and guidance research and practice by showing that career counseling or guidance programs are considerably effective and what is the most effective factors and types of career counseling or guidance programs. 현대 직업세계의 급격한 변화와 다양화는 실효성있는 진로지도 및 상담 프로그램을 요구한다. 효과적인 진로지도 및 상담 프로그램을 구안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서 기존의 진로지도 및 상담 프로그램들의 성과를 종합하여, 효과적인 진로지도 및 상담 프로그램의 특징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에서 개발․운영된 바 있는 집단 진로지도 및 상담 프로그램 성과의 크기들을 메타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정리하였다. 이를 위하여 1993년부터 2002년까지 10년 동안 이루어진 석․박사 학위논문 및 학술잡지에 게재된 논문 중 사전-사후 실험-통제 집단간 설계를 적용하면서 국회도서관과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원문을 제공하는 93편을 대상으로 총 680건의 효과크기를 계산하였다. 먼저 국내 진로지도 및 상담 프로그램의 전체 평균효과 크기를 측정한 후, 집단 구성원의 특성 (성, 학교급, 지역, 고등학교 형태), 프로그램 운영상의 특성 (실시장소, 멀티미디어 사용 유무, 집단배정방식, 회기수, 시간), 성격을 기준으로 프로그램의 특성에 따른 효과크기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 대상 논문들의 전체 평균효과 크기는 0.68로 국내에서 실시되는 진로지도 및 상담 프로그램의 효과는 상당히 큰 편으로 나타났다. 진로지도 및 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크기의 차이가 의미있게 달라지게 하는 변인으로는 프로그램 회기당 소요시간 (p<.001)과 프로그램의 회기수 (p<.05)로서 회기당 소요시간이 76분~105분 (g=.87), 회기수 6회~10회인 경우 (g=.77)에 효과 크기가 높았다.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경우 (g=.81)와 인문고 학생을 대상으로 한 경우 (g=.97), 상담활동과 지도활동을 혼합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한 경우 (g=.73)에 효과 크기가 높은 경향이 있으며, 참가자를 중․고생으로 혼합하여 구성하거나 프로그램이 지도중심의 내용으로 편중될 경우 프로그램 효과 크기가 낮은 경향이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