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미술치료가 발달장애아동의 자기표현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임지향,조기연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05 지적장애연구 Vol.7집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effects of art therapy for development handicapped child with self expression and relationship. The concrete study subject is as follows:1. To clarify the effect that art therapy influences self expression of development handicapped child.2. To clarify the effect that art therapy influences relationship of development handicapped child.The subjects were selected as children who was development handicapped one consulted by low self expression and relationship. The program was composed of 16 times of experiments and has run for 16 weeks (1 days a week). The instrument of measurement used in the study was: SMS and CARS test used to clinically examine development handicapped child and self expression observation checklist, E-CLAC, parents observation checklist used to verify the effect of psychological therapy. In the material treatment to verify the result of the study, a pretest was done before the test about self expression and relationship. The results were analyzed comparatively through change score in each se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ch as the following.First, the art therapy appeared to affect the increase of self expression of development handicapped child.Second, the art therapy appeared to affect the increase of relationship of development handicapped child.Therefore, art therapy appeared to be helpful for the increase of self expression and relationship of development handicapped child. >미술치료가 발달장애 아동의 자기표현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P시 S동에 위치한 자폐 아동치료 센터에 심리검사 후 미술치료를 의뢰 받아 접수된 발달장애 2급 아동에게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회기별 활동 중의 아동행동관찰과 치료 후 부모상담을 통해서 아동의 변화를 살펴보고 자기표현성장에 관한 관찰지와 E-CLAC검사 및 부모 관찰 평가지를 사전·사후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는 첫째, 자기표현에서는 지적표현에 있어서 초기와 중기에는 같았으나 말기에 배가 되었고, 정서적 표현은 초기에 비해 중기부터 두드러지게 증가되었다. 또, 사회적 표현에 있어서 초기와 중기에 변화가 없었으나 말기에는 큰 변화를 가져왔다. 신체적 표현에 있어도 중기부터 많은 변화가 있었고, 창조적 표현에 있어서는 말기부터 변화가 일어났으며, 둘째, 부모와 형제·자매의 대인관계에서는 기초선보다 2단계 향상을 보여 주었다. 다른 어른들과의 대인관계에서는 기초선보다 3단계 향상되었다. 따라서 미술치료는 발달장애아동의 자기표현과 대인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침을 알 수 있었다.

      • 미술치료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아동의 주의집중과 충동성에 미치는 효과

        임지향,김민정 한국발달장애학회 2004 발달장애연구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hat the art therapy has influence upon attention concentration & instigation, as the first syndrome,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making an object, and the concrete purposes are as mentioned below. First, study the attention concentration and the instigation appeared on the sessional activities of ADHD by the art therapy. Second, study what the art therapy has influence upon the attention concentration of Children with ADHD. Third, study what the art therapy has influence upon the instigation of ADHD. This study was enforced making 3 children an object who the facilities responsible doctor diagnosed as ADHD on the basis of DSM-IV among children resided in a facility owing to the dismantlement of their family, and judged as Psychotherapy would be more effective than Medicinal Therapy because they diagnosed as over-behavior children with deficient attention by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matters than temperamental matters. The analysis of the study consequence compared before the fact & after the fact with qualitative analysis and an estimation measure of Yale children's Inventory, and compared and analyzed the lasting time of attention concentration and the observation of each children's impulsive activities. As a result of the study purpose, first, when investigate what the art therapy has influence upon the attention concentration of ADHD, the attention concentration has been improved as the marks of all 3 children were changed and showed the improvement of attention concentration since the art therapy as the lasting time 1 ~ 2 minutes in initial step increased to over 5 minutes in final step. Second, when investigate what the art therapy has influence upon the instigation of ADHD, it reduced since the art therapy as the marks of all 3 children were changed, and also showed it to be reduced in behavior observation of a nursery teacher as the main fosterer. Therefore, according to this study, it has been brought to light that the art therapy would be effective for improving the attention concentration and reducing the instigation of ADHD with deficient attention. 본 연구는 미술치료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아동의 주의집중과 충동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아동을 대상으로 아동들의 흥미를 유발시키고, 아동들이 에너지를 발산할 수 있는 꼴라쥬와 모자이크 중심의 구조적인 미술치료 프로그램으로 아동들의 주의집중 향상과 충동성 감소에 중점을 두어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을 적용시킨 결과를 살펴보기 위해 주의집중과 충동성 측정도구, 행동관찰을 비교 분석하여 첫째, 미술치료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아동의 주의집중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술치료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아동의 충동성 감소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Statins 사용에 따른 High Sensitivity C-Reactive Protein의 혈중 농도 변화

        임지향,김영주,이상엽,김윤진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08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8 No.3

        연구배경 스타틴계 약물 치료는 hsCRP와 같은 염증 지표를 유의하게 감소시킨다고 보고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스타틴계 약물 사 용 기간과 혈중 hsCRP의 농도의 변화에 대한 장기간 연구가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장기간의 스타틴계 약물 치료에 따른 hsCRP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2년 5월부터 2005년 5월까지 한 대학병원 가정의학과를 방문하여 고지혈증으로 진단된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의무기록 지 검토를 하였다. hsCRP 농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경우를 배제하고, 최종 156명의 연구 대상자들 중 식이 처방, 운동 요 법 및 스타틴계 약물 치료를 한 군(스타틴 치료군)이 69명이었고 식이 처방과 운동 요법만 시행한 군(대조군)이 87명이었다. 대상자들은 고지혈증 진단 당시와 평균 40일 후, 180일 후, 360일 후의 3번의 추적 방문을 통해 hsCRP 농도와 총 콜레스테 롤 농도를 측정하였다. 고지혈증 진단 당시의 hsCRP 및 총 콜레스테롤 농도와 각 추적 방문 시 hsCRP 및 총 콜레스테롤 농 도의 변화량을 분석하였고, hsCRP 농도 변화와 총 콜레스테롤 농도 변화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두 비교군 사이의 각 시기별 hsCRP와 총 콜레스테롤 변화량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 과 스타틴 치료군에서 기저 loghsCRP 평균값은 평균 -1.115±0.509 mg/dL이었고 두 번째 추적방문(평균 180일 후)과 세 번째 추 적방문(평균 360일 후)의 loghsCRP 평균값은 각각 -1.337±0.318 mg/dL, -1.359±0.383 mg/dL 로써 기저 loghsCRP 평균값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이러한 loghsCRP의 감소와 총 콜레스테롤 농도의 감소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대조군에서는 각 시기별 loghsCRP 평균값의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각 시기별 loghsCRP 평균값은 스타틴 치료군과 대조군 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장기간의 스타틴 약물치료는 총 콜레스테롤 감소와 무관하게 hsCRP 농도를 감소시켜, 심혈관 질환의 발생 감소에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Background Statins lowers the hsCRP, a marker of inflammation. There are few study of change in plasma concentration of hsCRP after statin therapy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change in plasma hsCRP concentration after statin therapy. Methods We studied 156 patients who were visited a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at a university hospital and diagnosed with dyslipidemia between May 2002 and May 2005. We reviewed chart retrospectively. The statin group is participated of 69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diet/exercise and statin. The control group is 87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only diet/exercise. The hsCRP and total cholesterol concentration was measured in serum on each visit that days 0, 40, 180, 360. We analyzed correlation between change of hsCRP concentration and change of total cholesterol. we analyzed difference of change of hsCRP and total cholesterol at each visit in two groups. Results In statin group, mean baseline loghsCRP was -1.115±0.509mg/dL. The differences loghsCRP between baseline and second(after 180 days) and third visit(after 360 days) were respectively -1.337±0.318mg/dL and -1.359±0.383mg/dL(P<0.05). Correlation between reduction of hsCRP concentration and reduction of total cholesterol was not significantly. In control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ans of loghsCRP at the each visit. Conclusions Longtime statin therapy lowered serum hsCRP concentration without correlated reduction of total cholesterol then can play the role of reduc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 KCI등재
      • KCI등재

        ADHD 아동의 애착과 문제행동을 위한 치료놀이를 활용한 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

        임지향,김은정,신지현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5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4 No.2

        본 연구 목적은 치료놀이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ADHD 아동의 애착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소아정신과에서 ADHD 진단을 받은 초등학교 1학년 남자아동으로 부모가 함께 참여하였으며, 주 1회, 60~90분간, 총 25회기 치료놀이를 활용한 미술치료를 진행하였다. 측정 도구는 구조화된 부모-아동 상호작용 평가, 동적가족화(KFD), 아동ㆍ청소년 행동평가척도(K-CBCL), 학교생활화(KSD)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조화된 부모-아동 상호작용 평가에서 점수가 증가한 것으로 보아 ADHD 아동의 애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동적가족화(KFD)에서 가족간의 정서적 상호작용에 대한 모습을 보이고 수치가 증가하여, ADHD 아동의 애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아동ㆍ청소년 행동평가척도(K-CBCL)의 공격성 척도, 주의집중문제 척도에서 모두 70점 이하의 정상범위에 해당하여 ADHD 아동의 문제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학교생활화(KSD)에서 ADHD 아동의 문제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단계별 활동내용 분석에서도 양육과 돌봄, 감정의 표현과 수용, 지지와 격려를 통해 안정애착을 경험함으로써 문제행동이 완화된 모습을 보였다.

      • 정신지체아 어머니의 오케이 그램과 가족체계의 관계분석

        임지향,여광응 한국교육학회 대구·경북지회 2000 교육학논총 Vol.2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K-Gram and family systems of mother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survey tools used in this study were OK-Gram and FACESⅢ(Family Cohesion & Adaptability Evaluation ScaleⅢ). This study employed a total of 126 mother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subject in this study included mothers of children in kindergarten students(30), elementary school students(53),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43). The conclusion was drawn as follows: Among the OK-Gram variables such as I-positive(positive self esteem), I-negative(negative self esteem), You-positive, You-negativ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ly reveled I-positive(positive self esteem) and systemicity in family systems. However when selected high score on I-positive(positive self esteem), I-negative(negative self esteem), those scor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systemicity in family systems. There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cohesion and adaptability. In conclusion, it reveals that the mother's self esteem and attitude toward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had impact on the systemicity in family syst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