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용왁싱 종사자의 직무특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창의성과 직무열의의 매개효과

        임주이,황혜주 한국화장품미용학회 2023 한국화장품미용학회지 Vol.13 No.2

        본 연구는 미용왁싱 종사자의 직무특성, 창의성, 직무열의, 직무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여 미용왁싱 종사자의 직무특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특성이 창의성과 직무열의를 매개로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으로써, 미용왁싱에 대한 학문적 개념 정립과 더불어 미용왁싱 종사자의 개인역량 강화 및 직무성과 향상을 위한 실무적 방안을 마련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서울 및 수도권 지역의 미용왁싱 서비스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실시 최종 600부의 설문지를 수집한 후 SPSS 24.0과 AMOS 25.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다음과 같이 본 연구의 자료분석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별은 여성, 연령은 20대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최종학력은 고등학교 졸업, 경력은 3~5년, 주요 업무 분야는 토탈왁싱이, 사업장 유형은 왁싱전문샵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월 소득은 200만원 이상 ~ 350만원 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직급은 스텝(사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가설검증에 앞서 직무특성, 창의성, 직무열의, 직무성과의 측정변수에 대한 단변량 정규성 검증을 위해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왜도 및 첨도를 산출하였으며, 설문 문항의 신뢰도 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모든 설문 문항에 대한 신뢰 수준을 확인하였다. 셋째, 측정도구의 타당성과 신뢰도 검증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과 피어슨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 각 변수 간에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확인하였고, 측정변수의 구성개념 타당도에 대한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넷째, 구조모형에 대한 타당성과 신뢰도 분석을 통해 적합도 지수는 모두 수용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어 가설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모델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구조방정식 결과에 대한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해 부트스트랩 검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가 확인되었다. 미용왁싱 종사자의 직무특성은 창의성에 정(+)적 영향을, 직무특성은 직무열의에 정(+)적 영향을, 직무특성은 직무성과에 정(+)적 영향을, 창의성은 직무성과에 부(-)적 영향을, 직무열의는 직무성과에 정(+)적 영향 관계가 나타났다. 미용왁싱 종사자의 직무특성과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창의성은 부(-)적인, 직무열의는 정(+)적인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미용왁싱 종사자의 높은 창의성이 요구되는 “디자인 왁싱” 분야가 활성화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며, 각 미용 서비스 분야별 종사자에 따라 창의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한 계기가 되었다. 반면, 미용왁싱 종사자의 직무열의는 일에 대한 가치와 의미를 부여하고 열정과 집중을 통해 직무성과를 높이는데 긍정적으로 매개하는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미용왁싱 종사자들의 창의성이 요구되는 “디자인 왁싱”에 대한 동기부여가 가능하도록 인식 개선, 보상제도 도입 등 직무환경 분위기 조성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the practical measures for establishing the academic concept of beauty waxing, strengthening individual competencies, and improving job performance of beauty waxing workers, by understanding the structural relations of job characteristics, creativity, job engagement, and job performance of beauty waxing workers, and then verifying the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on job performance and the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on job performance with the mediation of creativity and job engagement of beauty waxing workers. For this study, a self-administered off-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the beauty waxing service workers in Seoul and capital area. After collecting total 600 questionnaires,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were drawn as follows by utilizing the SPSS 24.0., AMOS 25.0. In the results of conducting the frequency analysis for understanding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research subjects. before verifying the hypotheses, the mean, standard deviation, skewness, and kurtosis were calculated by conducting th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By conducting the bootstrap for verifying the significance of structural equation result,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There were influence relations such as positive(+)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on creativity, positive(+)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on job engagement, positive(+)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on job performance, negative(-) effects of creativity on job performance, and positive(+) effects of job engagement on job performance of beauty waxing work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