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The Passion and Hope of College Students in Sports Activity Classes :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임종호,최보나 대전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16 自然科學 Vol.27 No.-

        이 연구는 대학체육수업에서 신체활동에 참여하는 대학생들의 ‘열정’이 학교생활 및 미래의 삶에 대한 기대감인 ‘희망’과의 관계에서 각각의 하위변인들 간에 어떠한 긍정적 영향들을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D도시에 위치한 대학에서 체육관련 교양 및 전공수업에 참여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 하였다. 최종분석에는 325명(남자 N=219, 여자 N=106)의 자료가 사용되었고, 연령에 따른 평균과 표준편차는 각각 M=22.84, SD=3.33 이었다. 자료수집은 희망(Snyder et al., 1991)과 열정(Vallerand et al., 2003)척도를 바탕으로 한 한국판 번안 척도지를 사용하였다. 질문지의 신뢰도 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행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적용하였다. 또한 모형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기술통계와 상관분석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열정의 하위변인 중 조화열정은 희망의 하위변인인 주도사고와 경로사고에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강박열정은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직접적인 인과관계를 가졌다. 또한 열정의 두 하위변인인 조화열정과 강박열정모두 희망의 하위변인인 주도사고와 경로사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 KCI등재후보

        뇌성마비인의 고용과 임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연구(pilot-test)

        임종호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05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46 No.-

        본 연구는 뇌성마비인의 고용여부와 고용된 뇌성마비인의 임금 수준이 어떠한 요인에 의해 결정되는지에 대한 예비조사(pilot-test) 분석을 통하여, 이론적으로 우리나라 뇌성마비인과 노동시장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정책적으로 뇌성마비인들의 고용여부와 그들의 임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함으로써 본조사시에 뇌성마비인의 낮은 고용률과 저임금구조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 모색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가설이 지지된 것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뇌성마비인이 가구주인 경우 취업할 가능성이 높으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임금수준이 높다. 일상생활능력이 높을수록 고용가능성이 높다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직무형태와 관련하여 직무형태가 비전문생산직일수록 임금 수준이 높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가 예비조사이므로 구체적인 함의는 제시하기 어렵지만 예견되는 함의는, 첫째, 뇌성마비인의 고용이 결정되는 메커니즘과 고용된 뇌성마비인의 임금수준이 결정되는 메커니즘이 매우 상이하기 때문에 고용증진을 위한 정책과 임금수준 향상을 위한 정책은 분리되어 정립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둘째, 뇌성마비인의 생산성 고양을 위한 뇌성마비인의 손상유형에 따른 적합한 직무의 개발과 작업시설의 확충이 요구된다. This paper, by analyzing with a pilot-test on employment status and determinants of wages for employees with cerebral palsy, examining the relations of employees with cerebral palsy in Korea and the labor market, and analyzing the employment feasibility of people with cerebral palsy and factors influencing their wages, searches for a general plan to resolve the low employment rate and wage system of the cerebral palsy employees.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supported hypotheses were: first, the person with cerebral palsy was likely to be hired when he/she was the head of his/her household, and the wage levels were found to be higher in older age groups. Greater capability in carrying out everyday lives led to higher employment chances. In job types, the nonprofessional manufacturing jobs provided higher wage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is study as a pilot-test, it is difficult to suggest a definite conclusion; however,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anticipated. First, the mechanisms of employment decisions and wage level determinants of people with cerebral palsy differ to a great degree. The policies of employment promotion and wage promotion must be seperated from each other. Second, in order to enhance the productivity of cerebral palsy employees, developments of appropriate job tasks and expansion of operating facilities are required.

      • KCI등재

        시각장애노인의 노후준비 영향 요인

        임종호,권미자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6 시각장애연구 Vol.32 No.4

        Using the eighth Panel Survey of the Employment of Disabled People(2015), this study targeted 234 visually impaired people aged 60 or more and examined the factors that affect preparations for senior years. Only 19.2%(45 people) of the respondents said they were preparing for senior years. The result of cross analyzing the visually impaired by gender showed that the male elderly had higher ratio of preparation for senior years, employment, education, and having a spouse. On the other hand, they had higher ratio of having chronic diseases, and needing other’s assistance in their daily life while their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was lower than that of the female elderly. Their health status was similar to that of the female elderly, but such difference ha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As for religion, elderly women showed higher ratio for having a religion. As for the factors affecting preparations for senior years, factors tha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were ‘education’, ‘whether one is economically active’, and ‘the level of needing assistance in daily life’. Based on the findings the following suggestions can be made. First, based on the result related to economic activities, those who have a job are better prepared for senior years, there should be sustainability for jobs such as masseurs and acupuncturists, which were at the center of controversy. Second, based on the result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education, the higher the ratio of preparing well for senior years, the visually impaired should at least have the education level of graduates of high school for the blind or higher. This is partly the reason why the accessibility to Iryoeducation through high school course is high. Third, based on the result that showed that the lower the necessity for assistance in daily life, the better people were for preparing for senior years, there should be ways to actively utilize the activity assistance system, which is the official provider of assistance for those with severe visual impair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