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말기 암 환자의 마지막 24시간 동안 진통제 사용의 분석 : 내과의사와 외과의사의 비교

        최윤선,김종민,이영미,임종,이태호,홍명호,Choi, Youn-Seon,Kim, Jong-Min,Lee, Young-Mee,Lim, Jong-Kuk,Lee, Tai-Ho,Hong, Myung-Ho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1998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 No.1

        목적 : 암은 우리나라 사망원인의 첫째이며 말기암환자에서 보이는 신체증상 중 통증은 의료인이 반드시 조절을 해주어야 한다. 암환자의 90%이상에서 통증조절이 가능하며, 말기 암환자의 임종 24시간 전 $33{\sim}60%$에서는 의식이 명료하여 진통제의 경고, 투여가 가능하다. 마지막 24시간 동안의 진통제 사용실태와 내과계와 외과계 의사에따른 통증조절 방법의 차이를 조사함으로서 보다 계획적이고 적극적인 통증 조절 중요성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1994년 7월 1일부터 1995년 6월 30일까지 모대학병원에 입원하여 암으로 사망한 환자 160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지, 간호기록지를 조사하는 후향적 코호트 방법을 시행하여 인구통계학적 자료와 사망 24시간전의 의식상태, 통증여부, 암의 종류 등을 조사하였다. 대상자를 내과의사와 외과의사에 의해 치료받은 군으로 나누어 임종전 24시간 동안 투여한 진통제의 용량, 투여방법, 투여종류, 필요시 마타 투여된 진통제의 평균 횟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진통제의 용량은 경구몰핀 등가량으로 환산해서 계산하였다. 결과 : 1) 전체 160명 중 남자가 102명(63.8%)명, 여자는 58명(36.2%) 이었고 평균연령은 56.4세였다. 2) 평균입원 27.8일이었으며 원발부위에 따른 암의 종류는 위암 42명(26.3%), 폐암 29명(18.1%), 간암 29명(18.1%), 췌장암 10명(6.2%), 대장암 9명(5.6%), 자궁경부암 6명(3.7%), 유방암 5명(3.1%)의 순이었다. 3) 160명 중 125명(78.13%)이 통증을 호소했고 진통제를 투여받은 환자는 내과계 103명중 66명(64.08%), 외과계 57명 중 31명(54.39%)이었다. 97명 중 50명(51.55%)에서 경고, 투여가 가능했다. 4) 임종 24시간 전에 86명(53.75%)에서 의식이 명료했다. 5) 규칙적으로 투여된 진통제의 종류는 경구용 모핀이 34명(내과계 24명, 외과계 10명)으로 제일 많았고, 주사용 모르핀이 26명(내과계 20명, 외과계 6명), 경구용 코데인이 8명 (내과 5명, 외과 3명)의 순이었다. 비정기적으로 통증조절을 위해 투여된 약물로는 주사용 모르핀이 16회, 데메롤 근주가 12회, nubain 근주가 9회의 순이었다. 6) 규칙적으로 투여된 진통제의 평균량은 내과계에서 115.41 OME에서 외과계 52.7 OME 보다 많았으나(P<0.05), 환자 요구시마다 투여된(p.r.n.) 진통제의 양은 외과계가 66.64 OME 로서 내과계 23.49 OME 보다 유의하게 많았다(P<0.01). 7) 통증호소시에 투여한 진통제의 횟수에 있어서도 내과계 평균은 0.62회, 외과계는 1.88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8) 보조진통제의 사용은 내과계에서 57명(55.34%), 외과계에서 25명(43.86%)이 사용했다. 결론 : 임종 24시간 전에 과반수 이상이 의식이 명료했으며 내과의사가 외과의사보다 적극적으로 통증조절을 하고 있으나 많은 의사들이 규칙적인 통증조절보다는 비정기적인 투약과 진통제의 비경구투여를 선호하였다. Background : It is almost important therapy modality to control pain for the terminal cancer patients for the last 24 hours because those terminally illed patient deserved to have pain free and peaceful time before death. Physician who is deal with terminal cancer patients for their last 24 hours does not need to worry about drug addiction or other untoward side reactions of pain medic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if terminally illed cancer patient was given pain medication properly and sufficiently and if there was any different behavior to control pain of terminal cancer patients between medical physicians and surgeons in terms of type, amount and administration route and frequency. Methods : A retrospective chart audit of analgesic type, amount and administration route was performed on the medical recorders of 160 hospitalized terminal cancer patients who had died in the Korea University Medical Center Anam Hospital during the period of July 1, 1994 to June 30, 1995.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103 patients were cared for by medical physicians and 57 patients were cared for by surgeons. After then, we analysed the difference of pain control pattern between them. Different types and amount of analgesics were converted to a common standard, an oral morphine equivalents(OME) relative to 1mg of oral morphine. Results : 1) The total number of patients was 160, male 102 cases(63.8%), and the female was 58 cases(36.2%) respectively. 2) The mean age was 56.4(${\pm}14.62$) years old and mean admission period was 27.8 days(${\pm}34.85$). 3) The frequent cancer site was stomach 42 cases(26.315), lung and liver 29 cases(18.1%) each, pancreas 10 cases(6.2%) in order 4) 125 out of 160 subjects (78.13%) complained pain, and 66 out of 103(64.08%) and 31 out of 57(54.39%) were treated with analgesics to relieve pain. 50 out of 97(51.55%) were able to continue on oral medication. 5) 86 cases(53.75%) were well oriented 24 hours prior to death. 6) The frequent analgesics for regular basis were long acting form of oral morphine 34 cases(Medical phsicians 24, Surgeons 10), intravenous morphine 26 cases(Medical physicians 20, Surgeons 6) in order, and the most common p.r.n.(pro re nata) analgesics used was intravenous morphine. 7) The mean amount of analgesics on regular basis was 115.41 OME by medical physicians and 52.7 OME by surseons(P<0.05). The mean amount of p.r.n. analgesics was significantly larger in patients are for by surgeons(66.64 OME) than medical physicians 23.49 OME(P<0.01). 8) The mean frequency of administrated number of p.r.n. analgesics was 0.62 times/day on medical part and 1.88 times/day on surgical part (P<0.001). Conclusion : Of the 97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51.55% were able to take oral medications in the last day of life. The parenteral analgesics were more frequently used in the patients cared for by surgeons than medical physicians. Over the half of terminal cancer patients were well oriented in the last day of life. Doctor's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s pain is very important to mange the pain, effectively.

      • KCI등재

        탁구 훈련이 초등학생들의 성장 호르몬과 성장 매개체에 미치는 영향

        임종만(JongManLeem),안길영(GilYoungAn),엄현섭(HyunSeoubEum),김철현(ChulHyunKim),조인호(InHooCho),조준용(JoonYongCho) 한국체육학회 2009 한국체육학회지 Vol.48 No.6

        이 연구는 탁구 선수 경력이 3년 이상인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자 초등학생 9명(12.00±0.71yr)과 특별한 신체활동 경험이 없는 남자 초등학생 7명(11.82±0.65yr) 총 16명을 대상으로 12주간 탁구 훈련이 골 밀도, 최대산소섭취량, 혈청 지질성분과 글루코스, 성장 호르몬, IGF-1과 성장매개체인 IGFBP-1, IGFBP-2, IGFBP-3 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비교?분석하였다. 탁구 훈련은 집단에 관계없이 골 밀도와 최대산소섭취량과 골 밀도를 증가시킨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혈청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도 집단에 관계없이 훈련 전과 후를 통해 감소하였고 특히 선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활용된 탁구 훈련은 심장, 폐와 근육의 산소활용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적절하게 신체활동이라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혈청 중성지방의 변화를 볼 때 어느 정도 지방 산화를 촉진시키는 신체활동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탁구 훈련을 통해 성장호르몬과 성장매개체인 IGF-1과 IGFBP-3 수준은 집단에 관계없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성장호르몬 자극에 의한 IGF-1과 IGFBP-3의 매개 역할이 성장호르몬과 상호 작용하여 조직대사의 항 이화 혹은 동화작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설을 뒷받침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demonstrate changes in circulating levels of GH, IGF-I, IGFBP-1, 2 and 3 after 12 wk of table tennis training program in prepubertal adolescent boys. We hypothesized that the increase in GH with IGF-I would be accompanied by a training-associated stimulation. 11-12 years old pre-pubertal healthy children (n=7) and pre-pubertal table tennis players(n=9) wa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fter the training intervention, significant increase in fitness was observed in the both group, but fitness of pre-pubertal table tennis players i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there was significant increase in IGF-1, and IGFBP-3 in the pre-pubertal table tennis players because IGF-1 was correlated at baseline peak oxygen consumption in all subjects. In contrast, IGF binding protein-2, known to inhibit anabolic effects of IGF-1, decreased in the both subjects with triglyceride, respectively. Finally, we also found that GH, IGF-1 and IGFBP-3 were strongly related with fitness, suggesting altered GH function in more-pre-pubertal table tennis players. Thus, these data support the hypothesis that a sustained training in physical activities may contribute to promote of the GH-IGF-I axis. Therefore, physical activity can influence growth and development through its influence on anabolic mediators.

      • KCI등재
      • CFD를 이용한 DMFC 유로설계의 성능 평가

        임종,( Danilov A. Valery ),조용훈,문일 한국화학공학회 2007 화학공학의이론과응용 Vol.10 No.2

        최근 고유가로 인해 신에너지 개발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해지고 있다. 신에너지 중 연료전지에 대한 연구도 많이 진행되었고 일부분의 경우 상용화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실험에 의존하는 부분이 많아서 연구에 많은 시간과 연구비가 필요하다. 특히 연료가 흘러가는 유로의 경우 형상에 따라 연료전지의 성능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에도 불구하고 실험적으로 유로 내에서의 현상을 볼 수 없기 때문에 간과되어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동해석 기법 중 유한 체적법을 기본으로 하고 있는 범용 CFD인 FLUENT(ver. 6.1)를 이용하여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의 구성요소인 산화극과 환원극의 유로 내에서의 연료의 질량, 운동량, 에너지의 계산을 통해 속도, 압력, 농도 구배를 계산하였다. 사용된 모델은 전극면적 40cm2 전지로서 유로의 깊이와 넓이는 1mm로 설정하였다. 또한 FLUENT에서 제공하는 기본 지배방정식에 몇 가지 source term과 sink term을 추가, 수정하고 UDF를 이용하여 전기화학식을 적용한 새로운 subroutine 을 만들어 전류밀도의 분포와 과전압을 계산하였다. 개발된 모델을 다양한 유로 디자인에 적용하여 이에 따른 연료전지의 성능 변화를 평가하였다. 화학공학의 이론과 응용 제10권 제2호 2004년

      • KCI등재

        주차장 지역의 강우에 의한 Pb와 Zn의 유출 특성

        임종권 ( Jong Kwon Im ),손현석 ( Hyun Seok Son ),김성근 ( Sung Keun Kim ),조경덕 ( Kyung Duk Zoh ) 한국물환경학회 2010 한국물환경학회지 Vol.26 No.6

        Runoff from a parking lot can be highly contaminated nonpoint source due to the impermeability of rainwater. This study presented runoff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s especially Zn and Pb from a parking lot during total 17 rain events. Monitoring results showed the first flush phenomenon within 30 min was observed in all rain events, but the event mean concentration (EMC) did not clearly show the characteristics of runoff. The ranges of Pb and Zn was 4~20l μg/L and l3l~672 μg/L, respectively, and the runoff mass of Zn and Pb was highly to related with the flow rate, and runoff coefficient of rain. The runoff mass of Zn was greater than that of Pb in all events. The runoff mass of Pb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 amount of TSS, and TSS and DOC were was related with the mass of Zn. This result implies that Pb and Zn are mainly existed in the particulate form. The results can be used to as meaningful data in the management of nonpoint source, and in the management in the runoff catchment in the parking lo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