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기업근로자의 집체교육훈련 성과인식과 영향요인 분석

        임정연,이영민 한국산업교육학회 2015 산업교육연구 Vol.30 No.-

        본 연구의 목적은 인적자본기업패널(HCCP) 5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기업 근로자의 집체교육훈련 성과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집체교육훈련에 참여한 435개 기업 2,875명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위계적 선형모형(Hierarchical Linear Model)을 활용하여 개인수준(1수준)과 기업수준(2수준)에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개인수준의 변인은 성별, 결혼여부, 학력, 정규직 여부, 근무기간, 근로시간, 평균월급, 직무만족도 및 교육훈련 참여 동기를 적용하였으며, 기업수준의 변인으로는 업종, 규모, HR 전담 조직 여부, 1인당 매출액(log), 각종 HR 지원정책 및 인건비 대비 교육훈련 직접경비(log) 등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수준(1수준)의 변인을 투입한 결과, 학력이 높고, 직무만족도가 높으며, 내적 동기에 의한 훈련참여가 근로자의 집체교육훈련의 성과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 업종과 HR 지원정책(교육훈련 유급시간 인정, 인건비 대비 교육훈련 직접비용) 역시 근로자의 집체교육훈련 성과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개인수준의 변인은 기업 변인과 상호작용하여 집체교육훈련 성과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교육훈련과 인력관리 정책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ived performance of off job education and training and identify the influential variables, using 5th Human Capital and Corporates' Panel (HCCP) data. We examined 435 corporations and 2875 employees and applied Hierarchical Linear Model in terms of individual level and corporate's level. We used SPSS 21.0 and HLM 7.0 software packages. Individual level variables were the gender, marriage status, academic degree level, employment types, the types of job, employment period, working hours, wage, job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motivation of off job education and training etc. Corporation variables were the corporate sector, size of corporations, the existence of human resource department, and HR policies of corporations.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the factors that improved off job education and training’s performance were impacted by the individual level variables as well as corporations level variables. Second, when we only input the individual level variables, highly degree level, job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by intrinsic motivation showed positive impacts on off job education and training’s performance. Third, the corporate sector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policies had positive impacts on Job performance. Finally, the interaction effects occurred and impacted the off job education and training’s performance.

      • 이정호 신부의 삶을 통해 본 교육소외계층을 위한 지역평생교육 실천에 관한 연구

        임정연 한국커리어·학습코칭연구소 2018 커리어·학습코칭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도시철거민, 한센인, 외국인이주노동자 등 소외계층의 인권보호와 교육복지실현을 위해 헌신해 온 이정호신부의 삶을 통해 지역평생교육의 실천이념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생애사’ 내러티브 연구방법으로 2016년 9월부터 2018년 2월까지 총 18회에 걸쳐 수집한 이정호신부의 심층 인터뷰자료를 전사하여 분석하였다. 이정호신부의 삶에는 격동적인 한국 현대사의 그늘에 가려진 소외계층의 불평등한 차별과 억눌림, 고립된 삶이 투영되었다. 연구 참여자가 소외계층을 위해 지역평생교육실천가로 투신하게 된 생애 전환기의 주요 사건들은 유년기의 ‘가난’과, 군복무중 직면한 광주 5.18민주화운동의 ‘억압’, 신학생기의 상계동 철거민의 ‘불평등’ 현장의 경험들이었다. 이정호 신부의 삶 속에서 녹여있는 평생교육은 상계동 철거민들이 사회구조적 모순들을 주체적으로 의식하면서 억눌린 삶의 빗장을 열게 하였고, 성생마을 한센인과 외국인이주노동자들이 고립된 삶에서 벗어나 정체성과 자신감을 회복시켜 주었다. 연구결과, 이정호신부의 생애사에 나타난 지역평생교육의 실천이념은 교육소외계층의 ‘평등권 보장’, ‘공공성 실현’, ‘실존적 영성’ 등 세 가지로 도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the idealogical practice of the local community lifelong education through the life of priest Jung-ho Lee who has been dedicated to the realization of the educational welfare and the protection of the human rights for the underprivileged such as the relocated residents who’s city was demolished, the Hansen people, and the foreign migrant workers. The study was done by the ‘life history’ narrative research method. The in-depth interview data of priest Jung-ho Lee which was collected 18 times total from September, 2016 till February, 2018 was transcribed and then analyzed. In the life of priest Jung-ho Lee was the projection of the inequal discrimination, repression, and isolated life of the underprivileged that was hidden under the shadow of the upheave Korean modern history. The life transitional major event that made the research participant devoted as a local community lifelong educational practitioner for the underprivileged was the experience of ‘poverty’ in his childhood, the ‘repression’ of the May 18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he faced while in military service, and the ‘inequal’ experiences of the Sanggye-dong relocated residents in order for demolition while he was a theology student. The lifelong education melted in the life of Jung-ho Lee let the Sanggye-dong relocated residents to realize the irony of the social structure autonomously and break away from the repressed life. He also let the Hansen people from Sung-sang village and the foreign migrant workers to free from the isolated life and recover their confidence and identity. As the result of the study, the local community lifelong education idealogical practice shown from the life history of priest Jung-ho Lee concluded as the three, such as ‘assurance of equal rights’, ‘publicness realization’, and ‘existential spirituality.’

      • KCI등재

        여중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에서 자기제시동기와 분노억제의 매개효과

        임정연,유금란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21 청소년상담연구 Vol.2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and anger-i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relational aggression among middle school girls. For this, a total of 330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completed the Child and Adolescent Perfectionism Scale,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Scal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Korean Version, and Relational Aggression Scale. Data were analyzed with various analyses including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anger-in, and relational aggression. Second,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and anger-in had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relational aggression.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여중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에서 자기제시동기와 분노억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 소재의 여자 중학생 330명을 대상으로 사회부과 완벽주의 및 자기제시동기, 분노억제, 관계적 공격성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자기제시동기, 분노억제, 관계적 공격성의 정적인 상관이 확인되었다. 또한 자기제시동기와 분노억제, 분노억제와 관계적 공격성도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에서 자기제시동기와 분노억제의 순차적인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후속연구에 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4년제 대학 이공계 전공 여학생의 직업 준비과정이 이행결과에 미치는 영향

        임정연,이영민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8 직업능력개발연구 Vol.11 No.2

        본 연구에서는 4년제 대학에서 이공계열 학과를 졸업한 여학생이 직업세계로 이행하는 과정과 성과에 관해 탐색하였다. 특히 이공계열을 자연계와 공학계로 분류하여 각 세부 계열별로 직업세계 이행을 위한 준비과정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이공계 전공 여학생은 졸업 후 순수취업, 미취업 및 실업, 학교진학 등 세 가지 진로이행 과정을 보였다. 이들은 노동시장에서 자신의 전공분야로 진입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공학계열보다 자연계열이 보다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당수의 이공계 여학생들은 졸업 후 대학원에 진학하고 있었으며, 이들의 재학시절 진로준비는 직업세계로의 이행을 선택한 집단에 비하여 다소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cess and outcomes of transition of women college students in science and technology majors in 4-year universities. Especiall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career transition preparations on outcomes in labor markets and industries when women students graduated. In the result, the women graduate students chose one of three career paths: employment, unemployment or job-seeking, and graduate study. Many of women graduate students have difficulties in getting into workplaces where their majors have been playing a leading role in labor market major, In addition, many of them go into graduate schools although they have lack of career preparation.

      • KCI등재

        현장실습 교육 프로그램 운영 거버넌스 연구: 네덜란드의 사례를 중심으로

        임정연,이영민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ase of Netherlands‘s Governance for Co-op Education systems. The Netherlands started Co-op Education programs earlier than Korea. The Netherlands has been striving to establish measures for the success of Co-op Education with the cooperative of Ministry of Education, Department of Education, Vocational schools, and local businesses. More specific information as follows. First, the Netherlands is constantly making out of policies to connect with the related organizations. Second, It certificates the Co-op Education companies and manage those. Third, they should promote periodic balance between supply and demand through the surveys. Finally, they make a guideline of role and duty for companies and the school that participated Co-op education across the country. It helps participants to understand more easily and apply Co-op education systems. Based on these results, There are proposed sever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Co-op education systems of Korea.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장실습 교육프로그램의 강화를 위해 우리나라보다 일찍 현장실습 교육 프로그램을 도입한 네덜란드의 현장실습 지원 거버넌스 구축사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한국 현장실습 교육 프로그램의 관리 및 시스템 운영에 시사점을 얻는데 있다. 네덜란드는 일찍부터 교육과정에 현장실습이 도입되면서 교육부, 교육청 및 각 학교와 지역 내 기업이 함께 협력하여 양질의 현장실습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제고하기 위한 방안마련에 힘써왔다. 네덜란드의 현장실습 운영사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장실습 관련 유관기관과의 유기적인 연계와 거버넌스의 구축을 통해 끊임없이 발전적인 정책을 개발하고 있다. 둘째, 양질의 현장실습 교육 운영을 위해 관련기업을 인증하고 관리한다. 셋째, 정기적인 지역별 산업 인력 수요조사를 통한 인력공급과 수요의 연계와 학과개편에 조언을 제공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직접적인 참여주체인 기업과 학교의 책임과 역할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여 관련자들이 보다 쉽게 현장실습을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러한 사례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의 효율적인 현장실습 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중소기업 대졸 초기 경력자의 자발적 이직의도, 교육-직무 일치도, 일자리 특성의 관계에서 근무환경, 인간관계, 자기개발 가능성의 조절효과: 기업교육에 대한 시사점

        임정연,이영민 한국기업교육학회 2013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15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a series of factors that influence the early careers’ voluntary turnover intention in small and medium-sized corporations. First, we explored the influential factors for job and workplace-related variables and their effects. Next, we investigated the organizational culture and environmental factors that affected the careers’ turnover as the mediating variables. Subjects are the early careers who were 2-3 and 4 years graduates and had worked in small and medium-sized corporations under 300 employes. Finally, 807 subjects were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educational mismatch, job satisfactions, work type, and wage level of early careers in small and medium-sized corporations have affected their turnover. The level of turnover of early careers became lower when their job satisfaction was high and wage level was higher. Second, organizational culture and environmental variables, including communication, human relationship, work environment, and personal development mediated the turnover subjectively. Although the job satisfaction was lower and organizational culture and environment variable was high, their turnover intention became lower. Finally, other mediating variables have no effects on turnover intention, including job type and wage level. We suggested the necessity of education and training for early careers in small and medium-sized corporations and it’s expected to decrease their rates of turnover.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직무 일치도와 일자리 특성이 중소기업 대졸 초기 경력자의 자발적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먼저 1차적으로 선행연구를 통해 중소기업에 재직 중인 초기 경력자들의 교육-직무 일치 및 일자리 특성 변인 중 이직의도에 미치는 변인들을 탐색하고, 이러한 변인들의 영향정도를 파악하였다. 다음으로 2차 분석을 통해 중소기업의 직장만족, 인간관계, 자기개발가능성에 관한 인식이 초기 경력자의 이직의도에 어떠한 조절적 역할을 하는지 파악하였다. 연구대상은 2-3년제 또는 4년제 대학을 졸업하고 300인 미만의 중소기업에 재직 중인 임금근로자이고 결측치를 제외하고 총 807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직무 일치도 변인의 하위변인인 교육수준 불일치와 일자리 특성의 하위변인인 직무만족도, 정규직여부와 임금 수준은 중소기업 대졸 초기 경력자들의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특히, 직무만족도가 높고, 임금이 높을수록 중소기업 대졸 초기 경력자들의 이직의도는 낮았다. 둘째, 조절변인(근무환경, 인간관계, 자기개발 가능성)은 초기 경력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업무 만족도를 간접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직무만족도가 낮을지라도 일부 조절변인 값이 높으면, 중소기업 대졸 초기 경력자가 이직을 고려하는 비율이 낮아졌다. 마지막으로 조절변인은 중소기업 대졸 초기 경력자들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정규직 여부와 임금의 이직효과를 조절하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중소기업 대졸 초기 경력자의 이직과 관련하여 기업교육 맥락에서 조기적응프로그램 운영, 멘토링 실시, 자기개발을 위한 경력관리 프로그램 운영 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여성의 이국 체험과 감성의 지리학 - 1950-70년대 해외기행문을 중심으로 -

        임정연 이화어문학회 2014 이화어문논집 Vol.33 No.-

        이 글은 1950-70년대 여성 해외 기행문을 대상으로 여성의 이국체험 방식을 규 명하고 이를 통해 여성의 세계 지리적 상상력이 어떻게 구현되는지를 탐색하였다. 젠더지리학의 입장에서 여성이 타문화를 이해하고 번역하는 시각과 방식에 주목 함으로써 여성 기행문이 윤리적인 문화번역 텍스트로 읽힐 수 있는 가능성을 탐 색하고자 한 것이다. 해방 후 모윤숙과 김말봉은 서구 세계에 대한 견문과 답습이라는 목적에 종속 된 관제 여행에서 ‘여성 외교관’으로서 특화된 임무를 수행했다. 그럼에도 불구하 고 이들의 기행문에서는 민족 집단을 대변하는 공적 글쓰기 틈새로 불연속적이고 비균질적인 젠더 글쓰기의 단서들이 포착된다. 이들은 여성 고유의 체험과 전방위 적인 감각으로 수집한 증거들을 통해 ‘상상된’ 미국이 아니라 ‘경험된’ 미국을 서 술한다. 이들의 여행기는 외부성의 사유에 기반해 미국이라는 고정되고 보편적인 상(像)으로 환원되지 않은 모습들을 포착하고 있다. 이 같은 접근법은 지정학적 역 학관계에 얽매이지 않고 민족적 위계나 대결의식에서 벗어나 세계를 보는 눈(seeing eye)을 가질 수 있다는 점에서 탈-로컬적 가능성을 보여준다. 1960-70년대 손소희와 손장순의 여행은 주유(周遊, journey) 혹은 만유(漫遊) 형태 의 여행을 표방한다. 이들의 여행기는 각 나라의 대중적 정체성을 복제하는 대신 장소 ‘내부’의 ‘풍경’과 친밀한 접촉을 맺고 교감함으로써 구체적인 ‘생활’을 발견 하고자 한다. 여러 나라 사람들을 만나 관찰하고 교유한 덕분에 각 나라와 도시는 고정된 표상에 갇히지 않고 생생하고 역동적인 의미로 재구성될 수 있었다. 이들 의 글쓰기는 파편화된 감성과 지식으로 권위를 해체하는 여성 여행기의 특징을 보여준다. 이런 의미에서 여성 기행문은 관계의 상호성에 기반해 세계-지식을 재구성하고 ‘감성의 지리학’을 구현하는 텍스트라 할 수 있다. This research aimed at searching for the women's experience method of foreign country, displayed in 1950-70s' woman foreign country travel essay, through this, investigating how women's world geographical imagination was realized. After liberation, Mo, Yunsook and Kim, Malbong performed a specialized duty as 'woman diplomats' in 'governmental travel', which aimed at traveling and experiencing. Nevertheless, their travel essays were remarkable in respect of its characteristic of discontinuous and irregular gender writing, rather than official writing. Their travel essays describe 'experienced' America, not 'imagined' America. Here, America reveals its poly-layered appearance, which was not reverted to a fixed and universal reflection(像). This approach method shows de-local possibility, in respect that it can have a seeing eye to observe the world by escaping from national consciousness of confrontation. Son, Sohee and Son, Jangsoon's travel in 1960-70s has the characteristic of 'journey'. These travel essays tried to seek a concrete life through closely contacting the landscape of 'inner' place and communing with it. Due to this reason, each place could be restructured as the dynamic meaning, instead of being shut up in a fixed symbol. Their writing shows ethical character of woman travel essay, which deconstructs authority with fragmented sensitivity and knowledge. Woman travel essay realizes an emotional geography which newly composes the world based on reciprocality of relationship.

      • KCI등재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국내 융합기술 연구동향 분석

        임정연,Lim, Jung-Yeon 한국사물인터넷학회 2018 한국사물인터넷학회 논문지 Vol.4 No.1

        본 연구는 국내 융합기술 관련 연구물의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연구특성과 구조, 현황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지난 13년(2005년~2018년)동안 연구명에 '융합기술' 단어를 사용한 학술지 177편의 저자키워드 653개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융합기술 연구는 지난 13년 동안 꾸준히 수행되어 왔으며 주로 융합, 디지털, 기술, 예술디자인 분야에서 활발히 이루어졌다. 둘째, 검색어 빈도분석 결과, '융합기술', '기술융합', '융합', '디자인', '융합교육', 'STEAM', '융합연구', '4차 산업혁명', '특허분석' 등이 융합기술의 주요 키워드로 사용되었다. 셋째, 커뮤니티 분석결과, 5개의 커뮤니티가 분류되었고, 검색어의 특성을 반영해 '나홀로 IT', '융합콘텐츠를 활용한 문화산업', '기술혁신과 연구분석', '융합교육', '기술융합과 특허개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미래사회 융합기술교육 연구의 과제와 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s of 2005 to 2018 revised 'convergence technology research' through text network analysis using NetMiner4.0 program.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using keyword analysis, centrality analysis of 653 authors' keyword from 177 journal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on Converging Technology has been studied steadily over the past 13 years in Department of Industry Convergence. Second, the results of the search term frequency analysis show that the 'convergence technology', 'technology convergence', 'convergence', 'design', 'convergence education', 'STEAM', 'convergence research' were used as the main keywords of convergence technology research. Third, Community analysis results show that five communities have been classified five categori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arch terms 'only IT', 'Cultural industry utilizing Convergence contents', 'Technology innovation and research analysis' And patent development'. Based on these results, we proposed the future directions of convergence technology research.

      • KCI등재

        여성의 해외 거주 경험과 탈경계적 공간 인식 - 손장순과 김지원의 유학·이민 서사를 중심으로

        임정연 한국여성문학학회 2014 여성문학연구 Vol.33 No.-

        This thesis aims to understand how women perceive spaces as investigating the women’s overseas dwelling experience in the 1970s and the 1980s. The study focused on novels written by Jang-sun Son and Ji-won Kim and analyzed how placeness of these cities, Paris and New York, and residential types such as studying abroad and immigration would get combined with each other. The novel by Jang-sun Son breaks these images of Paris, freedom and generosity, into pieces and re-produces Paris as a city of illusion. Son’s going to Paris to study gave her a chance to enter the inside of Paris and dig into the hidden and deep side of the city. As making use of her being a ‘woman student from South Korea’, not only does she deal with contradictions and repressions of the Korean society but also describes paternalistic violence internalized in the women. The women are considered an in-between with a ‘Parisian’ body but ‘Korean’ thinking, and they do not belong to any of France or South Korea but dispart. Paris is understood as ‘space of drift’ and there, the women realize these differences from the West and fragmentize the core. The background of the novel by Ji-won Kim is New York, and the novel talks about identities and self-awareness of female immigrants. Troubles that the women in Kim’s novel go through are basically caused by their failures with ‘building-up relationships’. Men are considered selfish and paternalistic while the women dream of stable lives through intimate relationships with the men. The women confirm otherness through their failures with building-up relationships and there, New York, the signifier, becomes a symbol of everyday insignificance. As far as the women understand, New York is ‘space of absence’ filled with silence, deportation, deficiency and loss. 이 논문은 여성의 해외 거주 경험을 통해 여성의 공간 인식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손장순과 김지원의 소설에 나타난 유학과 이민 체험이 파리와 뉴욕의 장소 정체성과 상호 결합하는 방식 및 양상을 분석한 것이다. 손장순과 김지원 소설의 여성들은 배타적 남성 공간의 안과 밖, 중심과 주변을 동시에 점유함으로써 경계 너머를 상상하게 만드는 ‘역설적 공간’을 탐색해간다. 이렇게 유학과 이민은 여성의 젠더 정체성을 확인하는 계기로 작용하고, 파리와 뉴욕은 거주와 이주 사이의 경계 공간으로 재표상된다. 손장순은 자유와 관용, 예술과 문학, 낭만과 매혹이라는 프랑스 파리의 장소 표상을 해체한 지점에서 유학 모티프와 ‘유학생 세대’의 초상을 구체적으로 형상화한다. 손장순 소설은 ‘한국인’ ‘여성’ ‘유학생’이라는 세 가지 범주가 중첩되는 지점에서 성과 연애의 문제를 통해 인종, 민족, 젠더 간의 잠재되었던 충돌과 차이를 드러낸다. 그리고 이 ‘차이’를 또 다른 이주의 동력으로 타진하면서 파리를 탈중심적 ‘표류공간’으로 형상화한다. 김지원 소설에서 여성인물들의 존재 탐색과정은 ‘뉴욕’이라는 장소가 제공하는 삶의 양식과 밀접하게 결부되어 있다. 김지원은 남성들과 친밀한 관계 맺기에 실패한 여성들을 통해 뉴욕이라는 기표를 일상적인 무의미의 기호로 환치시킴으로써 뉴욕을 침묵과 추방, 결핍과 상실의 ‘부재 공간’으로 제시한다. 이처럼 모국과 이국, 그 어느 공간에도 정착하지 못하는 여성의 모습은 새로운 이주, 혹은 경계 넘나듦의 삶의 모델로서 유목민적 주체의 탄생을 시사한다. 이렇게 손장순과 김지원은 경계 공간에서 젠더적 삶의 양식을 형상화함으로써 여성이 모든 장소에서 실존적 외부성을 체험하고 탈장소성을 실천하는 존재란 사실을 확인시켜 준다.

      • 조선 후기 고지도에 묘사된 북한강 유로

        임정연,김기혁 한국고지도연구학회 2015 한국고지도연구 Vol.7 No.2

        The water courses of the rivers and place names recorded in old maps and historic materials were mainly about large rivers and major sites for ancestral rites. With the development of old maps and geography books in late Joseon period, the names of small and medium rivers and detailed water courses could be described on the maps. The old maps were classified by type and representative maps were selected for analysis to identify the change in the names of rivers and description on water courses in the old maps in late Joseon period. In accordance with the analysis, the names of places and description on water courses were increased in 『Joseon-Jido』 as compared to 『Haedong-Jido』, but a number of place names was also omitted. 『Joseon-Jido』 and 『Cheonggudo』 showed the similarity in place names and description on water courses of rivers. In the process of change from 『Cheonggudo』 to 『Dongyeodo』, the number of river names was increased nearly twice and the description on river branches was also increased. In particular, a number of place names marked only on 『Dongyeodo』 was found in the existing geography books. It is considered that 『Dongyeodo』 described the river system in details by combining existing old maps and geography books. 『Daedongyeojido』 characterized as the wood-block printing omitted a number of place names as compared to 『Dongyeodo』, bu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escribing water cour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