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일단고정-일단자유 원통 셸의 진동 해석

        임정식 한국소음진동공학회 1996 소음 진동 Vol.6 No.1

        Frequency equation for clamped-free circular cylindrical thin shell is derived by the application of Rayleigh-Ritz method using the Sanders shell equation. The cubic frequency equation is solved for each axial and circumferential mode number. Integration of the beam characteristic funcitions was performed via Mathematica which results in more accurate integration of the beam functions that affect the accuracy of the frequency. The natural frequencies from this calculation are compared with existing results. It shows that this calculation predicts natural frequencies closer to the test results than existing results.

      • KCI등재

        <설국열차>의 신화적 상상력 연구

        임정식 대중서사학회 2015 대중서사연구 Vol.21 No.3

        <설국열차>는 한국의 사회 현실보다 계급 차별이나 국가 시스템과 같은 인류 보편적인 문제를 다룬다. 결말에서는 현실과 대비되는 신화적인 미래상을 제시한다. 봉준호의 기존 영화세계와 차별화되는 지점이다. 따라서 <설국열차>에 대한 신화적인 상상력과 세계관의 구체적인 양상과 특징을 살펴보아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설국열차>에 나타난 신화적인 요소는 세 가지로 정리된다. 1)순환과 반복, 2)종말과 재생, 3)인간과 자연(동물)의 공존이다. 순환과 반복은 열차의 원형 궤도 및 빙하기의 시작과 끝으로 설명된다. 열차 궤도는 북유럽신화의 반지 모티브와 유사하다. 종말과 재생은 라그나뢰크와 비교된다. 세계는 예정대로 종말을 맞지만, 그 종말이 완전한 파국을 의미하지는 않기 때문이다. <설국열차>의 요나와 티미는 새로운 시대의 개막을 상징한다. 인간과 자연(동물)의 공존은 원시신화와의 유사성으로 설명된다. 인간과 곰이 상호존중하며 공존하는 수평적인 세계를 지향하는 것이다. 이러한 요소들은 뫼비우스의 띠처럼 연결돼 있다. 봉준호 영화에 대한 논의는 주로 현실과의 관련성에 집중돼 왔다. 그래서 정치사회적 관점이나 시대 반영성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 글은 봉준호 영화에 대한 새로운 해석 방법으로 <설국열차>의 신화분석을 시도했다. 앞으로 <마더>, <괴물> 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면 봉준호 영화의 신화적인 상상력과 세계관을 종합적으로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영화 <괴물>의 통과제의 구조와 그 의미

        임정식 대중서사학회 2016 대중서사연구 Vol.22 No.2

        통과제의의 기본 구조는 ‘분리-전이-통합’ 혹은 ‘준비-통과제의적 죽음(시련과 죽음)-재탄생’이다. 이러한 통과제의 구조는 시공간을 초월해 보편적인 유사성을 지니고 있으며, 인물의 존재론적인 변화와 재탄생의 기반이 된다. 이 글에서는 봉준호의 영화 <괴물>에 고대부터 널리 행해진 통과제의 구조가 내재돼 있다는 점을 밝히고, 또한 인물의 행적이 지닌 제의적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괴물>의 주인공인 강두와 현서의 행적은 통과제의 구조와 일치한다. 즉, 두 사람의 정신적‧사회적 변화 과정 및 그 의미는 일반적인 통과제의 신참자에게 나타난 것과 동일하다. 강두와 현서는 신참자로서 통과제의의 각 단계를 모두 경험한다. 이때 분리는 납치와 감금, 전이는 혼절-굶주림(단식)-고문-삼켜짐-모태회귀, 통합과 재탄생은 탈출 및 재생으로 구체화된다. 강두는 이 과정을 통과해 ‘새로운 인물’로 재탄생한다. 강두의 존재론적인 변화는 ‘아버지 되기’와 사회의식까지 갖춘 어른으로 거듭나는 것으로 나타난다. 현서는 자기희생을 통해 세주로 재탄생한다. 강두와 현서가 경험한 죽음과 재생의 과정은 나선형 순환구조를 이룬다. <괴물>에 나타난 괴물의 역할과 성격은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괴물은 이방인, 적대자, 죽음의 신의 성격을 지닌다. 둘째, 괴물은 결과적으로 강두와 현서의 존재론적 변화를 이끌어내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셋째, ‘괴물의 세계’는 통과제의 구조가 형상화된 존재이다. 한편 돌연변이 괴물은 괴상한 생명체인 동시에 정부, 언론, 경찰, 병원 등 불합리하고 부조리한 사회 시스템을 상징한다. 그래서 강두는 실재하는 괴물뿐만 아니라 우리 시대의 괴물 같은 사회 시스템과도 싸운다. <괴물>은 바빌로니아의 신년제이자 집단 통과제의인 아키투 축제와 비교할 수 있다. 강두와 현서는 괴물 티아마트를 물리친 영웅 마르두크이자 축제에서 마르두크의 역할을 담당한 바빌로니아 인들과 같은 존재이다. 통과제의를 거치며 시간의 폐기와 갱신, 재창조를 이뤄냈기 때문이다. 이는 <괴물>에 내재돼 있는 통과제의 구조의 보편성을 확인할 수 있는 지점이다. 이처럼 <괴물>은 통과제의 구조와 한국의 사회현실을 성공적으로 접목함으로써 보편성과 시대성을 동시에 확보한 영화가 됐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