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인 남성의 최대하 운동시 대사반응 및 1,200 m 달리기 기록을 이용한 최대산소섭취량 추정식 개발 및 타당도

        임재형,전유정,장혁기,김효중,김기홍,이병근 한국운동생리학회(구 한국운동과학회) 2012 운동과학 Vol.21 No.2

        임재형, 전유정, 장혁기, 김효중, 김기홍, 이병근. 성인 남성의 최대하 운동시 대사반응 및 1,200 m 달리기 기록을 이용한 최대산소섭취량 추정식 개발 및 타당도. 운동과학, 제21권 제2호, 231-242, 2012. 본 연구의 목적은 운동부하검사에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Bruce protocol을 이용한 최대하 운동의 대사반응, 주요 시점의 심박수 기록 및 1,200 m 달리기 기록을 이용하여 최대산소섭취량을 추정하는 모형을 개발하고 모형간 추정의 타당도를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성인 남성 255명(1,200 m 달리기는133명)이며 Bruce protocol을 이용하여 최대운동부하검사를 실시하였고, 3분인 1단계와 6분인 2단계 종료 시점의 대사반응을 측정하였다. 측정항목은 V.O2(㎖㎖/㎏/min), V.CO2(㎖/㎏/min), V.E(L/min) 및 HR(bpm), HR가 150 bpm과 170 bpm에 도달하는 시간, Bruceprotocol 6분과 3분 심박수 차이, 1,200 m 달리기 기록 등이었다. 신체자료와 최대하 운동 중 대사반응을 이용하여 최대산소섭취량을 산출하는 모형을 개발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든 변수를 동시투입법으로 분석한 전체모형의 R은 0.642이고 (p<.01) 추정의 표준오차(SEE)는 4.38 ㎖/㎏/min, 변동계수(CV)는 10.8%이었으나(p<.01), 다중공선성이 나타났다. 단계별분석법으로 분석한 3분모형1과 모형2의 R은 0.341과 0.461이고, SEE는 6.05와 5.72 ㎖/㎏/min, CV는 14.9와 14.1%로 나타났고(p<.01), 다중공선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6분모형1과 모형2의 R은 0.350과 0.456이었고(p<.01), SEE는 6.03과 5.74 ㎖/㎏/min, 변동계수(CV)는 14.9와 14.2%로 나타났으며(p<.01), 다중공선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6분HR-3분HR 모형의 R은 0.150, HR150모형은 0.151, HR170모형은 0.154로 나소 낮게 나타났고, SEE는 6.36~6.37 ㎖/㎏/min으로 유사하게 나타났고, CV도 15.7%로 유사하게 나타났다. 1,200 m 달리기 모형의 R은 0.444이고, SEE는 4.82 ㎖/㎏/min, CV는 11.9%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Bruce protocol을 이용하여 실시한 최대산소섭취량 추정방법 중 실용적인 유용성과 간편성을 고려하면 대사반응을 이용한 6분모형과 3분모형이 적합한 모형으로 나타났고, 심박수 모형과 달리기 모형은 추정의 정확도가 다소 낮게 나타났다. Im, J. H., Jeon, Y. J., Jang, H. K., Kim, H. J., Kim, K. H., Lee, B. K. Predictions of V.O2max Using Metabolical Responses in Submaximal Exercise and 1,200 m Running for Male, and the Validity of These Prediction Models. Exercise Science, 21(2): 231-242, 201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prediction model of V.O2max using submaximal metabolic responses from the Bruce protocol, HR responses at several stages and 1,200 m running record, and to compare and analyse the validity of these prediction models. The subjects were consisted of 255 male(133 male for 1,200 m running). They were participated maximal exercise testing with Bruce protocol, and the metabolic responses were measured in the end of the first(3 minute), second stage(6 minute), and 1,200 m running record. Measurement items were V.O2(./뇋/min), V.CO2(./뇋/min), V.E(L/min), HR(bpm) of 3 and 6 minute, time to HR 150 bpm and 170 bpm, HR difference between Bruce protocol 6 and 3 minute, 1,200 m running record. Analyzing with all variables using enter method, the multiple R of total variable model was 0.642(p<.01), SEE was 4.38 ./뇋/min, CV was 10.8 %, but multicolinearity was appeared. The multiple R of 3 minutes model 1 and model 2 were 0.341 and 0.461, SEE was 6.05 and 5.72 ./뇋/min, CV was 14.9 and 14.1%, and multicolinearity did not appeared. The multiple R of 6 minutes model 1 and model 2 were 0.350 and 0.456, SEE was 6.03 and 5.74 ./뇋/min, CV was 14.9 and 14.2%, and multicolinearity did not appeared. The R of HR 170 and HR 170 model were 0.151 and 0.154, SEE were 6.36~6.37 ./뇋/min, CV were 15.7%. The R of 1,200 m running model was 0.444, SEE was 4.82 ./뇋/min, CV were 11.9%. In conclusion, with considering usefulness and convenience through the validity of these prediction models, the prediction model of V. O2max recommended 6 and 3 minute model, and the validity of HR model and 1,200 m running model were moderately low.

      • KCI등재후보

        소뇌의 운동학습 모델에 관한 연구

        임재형 한국운동과학회 2002 운동과학 Vol.11 No.2

        임재형. 소뇌의 운동학습 모델에 관한 연구. 운동과학, 제11권 제2호, 525-534. 2002. 소뇌는 불수의적인 운동, 특히 부드럽고 느린 동작의 에러 탐지기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자동화된 운동학습에 대한 소뇌의 역할에 대해서는 검증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장차 쥐를 대상으로 자동화된 운동학습 집단과 비운동학습 집단의 소뇌 퍼킨지 세포의 신경연접 효율성을 비교함으로써 이 문제에 접근하려 한다. 이 문제에 접근하기에 앞서 반드시 소뇌 퍼킨지 세포에 자동화된 운동학습이 보다 잘 생체부호화할 수 있는 운동학습 모델 개발이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소뇌의 자동화된 운동학습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피험동물은 태어난 지 4주가 되는 Sprague-Dawley계 흰쥐를 대상으로 했다. 운동학습(고전적 조건화로 유발된 점프 운동학습)은 1일 50시행으로 25일간 시행했다. 매 시행은 5초간의 조건자극(7.5W)에 이어 5초간의 무조건자극(0.1mA의 발바닥 전기자극)이 주어지며 자극간 간격은 30초이다. 조건자극이 제시되는 5초 이내에 반대편으로 넘어가면 성공으로 기록되고 5초 이내에 반대편으로 넘어가지 못하면 실패로 기록된다. 연구결과, 운동학습 성공률은 하루가 지난 후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일주일 동안 그 수준으로 계속 유지되는 안정된 학습률을 보였으며, 이 성적은 그 이후로도 운동학습 기간의 마지막 날인 25일째와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고 유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운동학습 집단에서 약 7일간에 습득한 점프 운동학습이 장기간 유지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고전적 조건화에 의한 7일간의 점프운동학습 모델이 소뇌의 자동화된 운동학습 연구에 유용한 모델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Im, J. H. A new experimental model for automated motor learning of the cerebellum. Exercise Science, 11(2): 525-534, 2002. The cerebellum is known to operate as an error detector in voluntary movement, particularly in smooth and slow movement. But the possible role of the cerebellum in learning the skills for automated movement has not been tested. I will address this issue by comparing trained and untrained rats for automated movement in the efficacy of the parallel fiber-Purkinje cell synapse. Prior to any study of i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otor learning protocol that help the Purkinje cells of cerebellum engram automated movement better. The subjects were 4-week-old male Sprague-Dawley rats. Training {jump induced by classical conditioning) consisted of 50-trail sessions a day for 25 days. Each trail was composed of a 5s CS(7.5W), followed by a 5s US(scrambled electric foot shock of 0.1mA) and an inter-trial interval of 30s. Task success percentage began to increase in a day and remained stable to the 7th day. Thereafter it was little changed until the end of the 25th day. It was also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the 25th da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rained rats can show long-term retention of the jump motor learning achieved during about 7 days training, and the jump training model may be useful for studying automated motor learning of the cerebellum.

      • KCI등재

        한국사회 ‘남남갈등’의 발생원인: 김일성 조문단 파견 갈등 사례를 중심으로

        임재형 국방대학교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2012 국방연구 Vol.55 No.4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auses of South-South conflict in South Korea through a case study of sending condolences over Kim Il Sung's death. As a result, South-South conflict is aggravated by a transition from anti-communism to pluralism, government policy toward North Korea, ideological bias, political motivation on North Korea's issue,and media bias.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or resolve South-South conflict, freedom of thought,assembly, association, and expression need to secured. Second, government should establish North Korea policy beyond individual partisan interest. Third, media should provide non-partisan and fact-based information, which can help people to have a good sense of judgement. Lastly, civil society organizations should not follow blindly or disapprove governmental policies just because of emotional reasoning or differing viewpoints. 본 연구는 ‘김일성 조문단 파견 갈등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 남남갈등의 발생 원인이 무엇인가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남남갈등의 발생을 예방하고 갈등이 발생했을 경우이를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데 있어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사례를 분석한 결과 갈등의 발생은 첫째, 한국사회가 반공일원주의 사회에서 다원주의 사회로 이행했으며, 둘째, 김영삼 정부의 대북정책, 셋째, 한국사회의 이념적 편향성,넷째, 북한 문제를 정략적으로 활용하려는 정치적 요인, 다섯째, 언론 보도의 편향성이직접적인 원인으로 작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북한문제나 대북정책을 둘러싼 남남갈등을 예방하고 합리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첫째, 국민들과 정부는 사상, 집회, 결사, 표현의 자유가 보장되는 민주주의적 가치를 공유해야 할 것이며, 둘째, 정부와 정치권은 당리당략과 정파적 이해를 떠난대북정책을 실시해야 하고, 셋째, 언론들도 사실에 입각한 보도를 통하여 국민들이 정확한 판단을 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시민단체들은 자신들이 지지하지 않거나시각이 다르다는 이유로 감정적인 반대와 시위 및 폭력을 행사하거나, 반대로 맹목적인추종을 해서는 안 될 것이다.

      • 프리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에서 비 부착 긴장재의 극한응력 평가에 관한 연구(II)

        임재형,문정호,음성우,이리형 한국콘크리트학회 1997 콘크리트학회지 Vol.9 No.5

        본 연구는 비부착 긴장재를 갖는 부재에 대한 일련의 연구중 두 번째에 해당한다. 첫 번째 연구(1)에서는 기존연구의 제안식과 현행의 ACI 규준의 문제점을 고찰하고 기존의 총 167개 실험결과와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소성힌지 길이 개념과 변형도 적합조건에 의해서 비부착 긴장재의 응력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검토를 통하여, 새로운 설계식을 제안하였다. 이는 이론적인 분석에 의한 변수설정과 기존 실험결과를 이용한 중회귀분석법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제안된 설계식을 기존의 식들과 비교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으며, 제안된 설계식의 특성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1)비부착 긴장재의 응력산정시 유효프리스트레스, 일반철근의 양, 작용하중의 형태 등은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설계식에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비부착 긴장재의 응력산정식은 현행 ACI 규준식과는 다르게 fc'/ p항의 제곱근과 비례하는 함수관계에 있다. (3)스팬-춤비가 비부착 긴장재의 응력에 미치는 영향은 소성힌지 길이의 개념에 의해서 역학적으로 타당하게 설명할 수 ldT다.

      • KCI등재

        동적 자세측정기를 이용한 성인 남자들의 평형성 연구

        임재형 한국운동과학회 1999 운동과학 Vol.8 No.2

        동적 자세측정기를 이용한 성인 남자들의 평형성 연구. 운동과학, 제8권 제2호, 263-272, 1999. 평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인체는 전정, 시각, 체성감각 유입 정보를 이용하는데, 동적자세측정기는 발판과 시각환경을 변형시킬때 반응하는 전단응력의 크기와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피험자가 전정, 시각, 체성감각을 이용하여 외부 조건에 적합한 협응 반응을 보이는가를 측정하는 기자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동적자세측정기틀 이용하여 30∼70대에 이르는 활동군(n=82)과 대조군(n=94) 총 176명을 대상으로 평형전략점수, 적응력 등을 측정했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이 발견되었다. 1) 평형전략점수에서, 눈을 뜨고 발판을 움직이는 조건에서는 신체활동 효과가 나타났고, 시각 환경과 발판을 움직이는 조건에서는 연령에 따른 효과가 나타났다. 2) 적응력 검사에서, 발판을 위, 아래로 돌리는 조건 모두 연령에 따른 효과가 나타났고, 발판을 아래로 돌리는 조건에서는 신체활동의 효과도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시각정보가 부재한 상태보다는 시각정보가 부적절할 때 평형성 전략 점수가 더 감소한다. 2) 신체활동은 뒤쪽보다는 앞쪽으로의 적응력에 이점이 있다. 3) 노령자와 젊은층이 평형을 유지하기 위해 서로 다른 평형전략을 이용한다면, 평형손상이 있는 노령자를 대상으로 하는 트레이닝은 각 연령대별로 세분화되어야 한다. A dynamic posturography study of balance in the elderly man. Exercise Science 8(2); 263-272, 1999. Balance uses sensory information in the form of vestibular, visual, and somatosensory inputs. Computerized dynamic posturography measures the timing and magnitude of surface forces produced in response to perturbations of the support surface and visual surround. This allows measurement of a subject's ability to utilize vestibular, visual, and somatosensory inputs in the coordination of motor responses that are appropriate to external conditions. In the present study, one hundred and seventy six healthy subjects between the ages of 30 to 70 years volunteered(82 regular exercised and 94 sedentary man). The balance strategy score and adaptation test were performed using the dynamic posturography. I have observed the following results : 1) On condition 4 in the strategy, acivity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control group; on condition 6, young subjects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elderly subjects. 2) Significant trends with age were noted across age groups during both the toes-up and toes-down rotation, During the toes-down rotation, Difference between activity subjects and controls was significant. On the basis of the present results, I have drawn the following contusions: 1) Balance strategy decreased during sway-referenced vision more than during absent visual input. 2) During the toes-down rotation, there was an excellent adaptive response in the physical activity group. 3) If older and younger adults use different strategies to maintain their balance successfully, then training paradigms for balance-impaired adults would specified by age group.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