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실가스 배출 감축이 한국경제와 에너지산업에 미치는 영향 : CGE 모형을 사용한 경제적 분석 An Economic Analysis Using a CGE Model

        임재규 한국환경경제학회 한국자원경제학회 2001 자원·환경경제연구 Vol.10 No.4

        This paper analyzed what kind of institutional scheme for domestic policy instruments to reduce GHG emissions are desirable for Korea in complying with the international efforts to mitigate climate change, by focusing on independent abatement (equivalent to the imposition of carbon tax) and domestic emission trading. It also examined the economic and environmental implications of recycling the government revenue created from implementation of those policies. By utilizing a dynamic CGE model, this study shows that the economic cost under independent abatement is projected to be higher than that under emission trading. It is because under independent abatement scheme each emitter in economy must meet its emission target regardless of the abatement cost. On the other hand, emission trading allows emitters to reduce the marginal cost of abatement through trading of emission permits. In designing future domestic policies and measure to address the climate change problem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he introduction of domestic emission trading scheme as the main domestic policy instrument for GHG emission abatement. In terms of double dividend, in addition, this study shows that both independent abatement and emission trading schemes under various assumption on the revenue recycling may not generate the double dividend in Korea.

      • KCI등재
      • KCI등재

        정약용 효변론의 연원에 대한 시론적 고찰

        임재규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013 다산학 Vol.- No.22

        Cheong Yagyong (땀흼?)’s theory of interpretation of Zhou yi (Book of Changes) is the so-called Yilisifa (弄잿愷랬, four methods of interpretation of Zhou yi). First is the Tuiyi (股盧, hexagram transformation) theory. Second is the Wuxiang (膠蹶, image of things) theory. Third is the Huti (빳?, interlocked body) theory. Fourth is the Yaobian (卍?) theory. This article aims to explicate the origin of the Yaobian theory. On the origin of the Yaobian theory, Cheong Yagyong had already mentioned it in his work, Yeokhak seo-eon (弄똚?喇, Collection of Critical Essays on Yi Studies). He said that Du Jie (떼폾) is a scholar who knew the Yaobian theory, and he wrote the Zhouyi bianti (鷺弄??) based on the Yaobian theory. But Cheong Yagyong did not have that book. Du Jie also found the Yaobian theory in the divinatory examples of Zuo’s Commentary on the Spring and Autumn Annals (뉴헬璘幹귰). With regard to the Yaobian theory, Cheong Yagyong and Du Jie had the same understanding. Shen Hai (?), a famous scholar of Song dynasty, also had the same idea from the divinatory examples of Zuo’s Commentary on the Spring and Autumn Annals and, hence, wrote Yixiaozhuan (弄鬼귰). Therefore, it can be inferred that Du Jie and Shen Hai are precedents of the Yaobian theory. In the late Song dynasty, Ding Yidong (丁易東) classifi ed Yi Studies into 12 branches, of which the Yaobian School was the mainstream of these 12 branches. From Ding Yidong’s classification of Yi Studies, we draw the conclusion that the Yaobian School was an important sect of Yi Studies in the Song Dynasty. In recent times, Korean scholars’ understanding of Cheong Yagyong’s Yaobian theory is that of a methodological revolution in the history of Yi Studies, but this opinion should be revised. 다산의 역해석방법론은 이른바 역리사법이다. 첫째가 추이론이고 둘째가 물상론이고 셋째가 호체론이고 넷째가 효변론이다. 다산은 이 네가지 이론 중 가장 핵심적인 이론으로 효변론을 들고 있다. 본 소고는이 효변론의 연원에 대해 새로운 고찰을 시도했다. 다산은 그의 역학 저작인 역학서언易學緖言의 「다산문답茶山問答」 편에 이미 효변론에 대한 연원을 언명한 바가 있다. 즉 문헌통고文獻通考의 「경적고經籍考」에 나오는 송나라 도결都潔이 지은 주역변체周易變體십육권十六卷이다. 하지만 다산은 안타깝게도 이 책을 구해 보지 못했다고 대답한다. 이에 필자는 다산이 이미 언급한 도결의 주역변체의 내용을 분석하여 다산의 효변론의 연원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도결의 주역변체는 다산과 마찬가지로 춘추좌씨전의 ‘모괘지모괘’라는 효변의 형식에 근거해 384효를 해석하고 있다. 이를 통해서 우리는 다산의 효변론과 도결의 효변론이 역해석방법론에 있어서는 동일하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도결과 동시대의 역학자인 심해의 역소전도 춘추좌씨전의 ‘모괘지모괘’라는 효변의 형식에 근거해 384효를해석하고 있다. 송말원초의 역학자 정역동은 그의 역학 저서인 역상의易象義중 「역통론易統論」에서 한대 이후 송대까지의 역학사를 분류하면서 효변으로주역을 해석하는 유파를 주요한 흐름 중의 하나로 제시했다. 이를 통해서도 우리는 효변론이 역해석방법론 상의 중요한 흐름 중의 하나였음을 알 수 있다. 송대의 도결과 심해는 효변을 통해 전면적으로 주역을 해석한 대표적인 인물이었으며, 이러한 전통은 중국역학사를 통해 면면히 이어져왔다. 원대의 진응윤陳應潤, 명대의 황도주黃道周, 청대의 포의包儀등이이러한 역해석 전통의 대표자라 할 수 있다.

      • Cr-Mo鋼 熔接熱影響部 의 破壞靭性 에 미치는 熔接後 熱處理 의 影響 II

        임재규,정세희 대한기계학회 1985 대한기계학회논문집 Vol.9 No.1

        본 연구에서는 제 1보에 밝힌 바 있는 용접 HAZ조직의 파괴인성에 영향을 주 는 PWHT 유지시간과 가열속도에 이어, 용접 HAZ의 불안정포성파괴에 미치는 용접잔유 응력의 영향을 상세히 밝히기 위하여 일층 용접을 실시하고, 이 용접재의 용접HAZ에 단축상태의 일정한 응력을 작용시켜 주면서 소정의 열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용접후 열 처리시 용접HAZ에 작용된 응력의 크기가 파괴인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COD파 괴인성시험, 미소경도시험, 파면관찰을 통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Some problems such as toughness decrement and stess relief cracking (SRC), many occur when post weld heat treatment (PWHT) is applied to remove residual stress adn hydrogen. In this paper PWHT was carried out under the stress of 0, 98, 196 and 294 MPa (0, 10, 20 and 30kgf/mm$^{2}$ each) to simulate residual stress in HAZ of Cr-Mo steel. The effect of applied stress during PWHT on fracture toughness was evaluated by COD fracture toughness test, micro-hardnes test and observation of SEM. The experimental results are as follows; (1) Fracture toughness of weld HAZ was improved by PWHT, but it decreased as heat treated under the stress. (2)Hardness ratio under the stress of 294MPa (30kg/mm$^{2}$) was lower and fracture toughness was decreased than that of the no stress. (3) Applied stress in weld HAZ during PWHT assisted precipitation of over saturated alloying elements in the structure, so fracture surface at the stress of 294MPa (30kg/mm$_{2}$) appeared the grain boundary failure possibly one of the reasons for PWHT embrittlenment.

      • KCI등재

        조호익(曺好益) 『역상설(易象說)』의 상수학적 연원

        임재규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21 대순사상논총 Vol.38 No.-

        조호익(曺好益) 『역상설(易象說)』의 상수학적 연원을 검토하기 위해서는 호일계의 『주역본의부록찬주(周易本義附録纂注)』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호일계는 주자의 『주역본의』를 기본으로 하고, 주자의 문집과 어록 등의 관련 내용을 찾아 부록이라 하였고, 그리고 제유의 역설 중 『주역본의』의 뜻에 부합하는 주석을 모아서 찬주로 하였다. 여기에다 호일계 자신의 의견을 덧붙이는 형식의 ‘우위(愚謂)’나 ‘우안(愚案)’ 등이 있다. 이러한 호일계의 『주역본의부록찬주』 체제는 사실상 조호익의 역학 저서 체제와 거의 일치한다. 즉 조호익은 호일계의 『주역본의부록찬주』의 부록, 찬주의 내용에 해당하는 저서로 『역전변해(易傳辨解)』, 『주역석해(周易釋解)』를 지은 듯하다. 이러한 저서는 주자의 『주역본의』의 단상을 정밀하게 밝힌 것이라고 이미 밝힌 바 있다. 그리고 『주역본의부록찬주』 ‘우위’나 ‘우안’에 해당하는 저서로 『역상설』이 있다. 『역상설』은 원래 독립적인 역학 저서가 아니라 『주역』의 두주 형태로 기록된 것을 후인들이 모아 편찬한 것이다. 따라서 『역상설』은 『주역본의부록찬주』의 ‘우위’나 ‘우안’과 거의 같은 형식이다. 그리고 조호익의 『역상설』은 내용적인 측면에서도 『주역본의부록찬주』의 ‘우위’나 ‘우안’의 역설을 많이 인용하고 있다. 한편, 조호익 『역상설』의 상수학적 연원을 검토하기 위해서 주진의 역학을 간과할 수 없다. 『역상설』이 주진을 인용하고 있는 점 때문만이 아니다. 보다 큰 이유는 『역상설』과 주진 역학의 골간적 측면 때문이다. 본론에서도 증명했지만, 『역상설』의 상수학적 『주역』 해석 방법론과 『한상역전(漢上易傳)』의 상수학적 『주역』 해석 방법론이 거의 일치한다. 결론적으로, 조호익 『역상설』의 상수학적 연원은 호일계의 『주역본의부록찬주』와 주진의 『한상역전』에서 모두 찾을 수 있을 것 같다. 특히 『주역본의부록찬주』의 ‘우위’나 ‘우안’ 부분, 그리고 『한상역전』의 한대(漢代) 상수학적 체례에 그 연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In order to examine the origin of Image-Number Theory in Cho Hoik (曺好益)’s Yixiangshuo (易象說), it is necessary to review Hu Yigui (胡一桂)’s Zhouyi Benyi Fulu Zuanzhu (周易本義附録纂注). Hu Yigui based his work on Zhu Xi’s Zhouyi Benyi, he took related contents such as the Zhu Xi’s writings and phrases and organized them into a fulu (附録), and he collected commentaries that matched the meaning of Zhouyi Benyi among the theories of many Confucian scholars and produced a zuanzhu (纂注). In addition to these, there are ‘Yuwei (愚謂)’ and ‘Yuan (愚案)’ which allowed him to add his own opinion. The system of Hu Yigui’s Zhouyi Benyi Fulu Zuanzhu almost coincides with Cho Hoik’s Yi-ological writing system. In other words, Cho Hoik appears to have written Yizhuan Bianjie (易傳辨解) and Zhouyi Shijie (周易釋解) as a fulu and zuanzhu of Zhouyi Benyi Fulu Zuanzhu. And there is Yixiangshuo which corresponds to ‘Yuwei’ and ‘Yuan’ of Zhouyi Benyi Fulu Zuanzhu. Yixiangshuo was not originally an independent Yi-ological book, but was compiled by later generations from what was recorded in the form of the head notes of Zhouyi (周易). Thus, Yixiangshuo takes almost the same form as the ‘Yuwei’ and ‘Yuan’ of Zhouyi Benyi Fulu Zuanzhu. In addition, Cho Hoik’s Yixiangshuo cites many contents from ‘Yuwei’ and ‘Yuan’ of Zhouyi Benyi Fulu Zuanzhu.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examine the origin of Image-Number Theory in Cho Hoik’s Yixiangshuo, the Yi-ology of Zhu Zhen (朱震) cannot be overlooked. This is true not only due to the fact that Yixiangshuo is quoting Zhu Zhen. The more significant reason is Yixiangshuo is a fundamental aspect of Zhu Zhen’s Yi-ology. As demonstrated in the main body of this article, the methodology of Image-Number Theory in Yixiangshuo and its counterpart in Hanshang Yizhuan (漢上易傳) are almost identical. In conclusion, the origin of Image-Number Theory in Cho Hoik’s Yixiangshuo can be found in both the Hu Yigui’s Zhouyi Benyi Fulu Zuanzhu and Zhu Zhen’s Hanshang Yizhuan. In particular, it can be said that its origin can be found in both the ‘Yuwei’ and ‘Yuan’ of Zhouyi Benyi Fulu Zuanzhu and the methodlogy of Image-Number Theory in Hanshang Yizhuan.

      • KCI등재

        《周易》新解–解释《周易》的3个原则

        임재규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7 泰東古典硏究 Vol.39 No.-

        This paper starts from the question of what causes the different output of interpretation according to each scholar in the long history of Yi-ology. The reason for the existence of various spectra of interpretation is that the interpretation theory of each work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refore, what is important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Zhouyi is to find the unquestionable principle of interpretation. Based on this perspective, I examined the unquestionable principle of interpretation. As a result, I saw the silk manuscript of Mawangdui(马王堆) in 1973 and the Xiping Stone Classics(熹平石经) as unearthed literatures containing historical facts that can not be denied. Therefore, interpretation based on these two documents can be seen as a clear foundation to reveal the original meaning of the Zhouyi. In particular, I have paid attention to the contents shared by the silk manuscript of Mawangdui(马王堆) and the Xiping Stone Classics(熹平石经). On the basis of this, the first, the principle of Intuition(直观), the second, the principle of Huti(互体), the third, the principle of Yaobian(爻变) are the main principles of interpretation shared by both the silk manuscript of Mawangdui(马王堆) and the Xiping Stone Classics(熹平石经). Of course, these three principles of interpretation are utilized by many scholars in the history of Yi-ology. However, there seems to be no writing of Yi-ology which interprets the Zhouyi by only these three methods. In this respect, this paper presents new possibilities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Zhouyi. 본 논문은 약 3,000년의 유구한 역사를 가지고 있는 주역 해석사에서 각 시대와 각 인물에 따라 주역 해석의 편차가 적지 않은 결과물이 끊임없이 생성되어 나오는 원인이 무엇인지에 대한 물음에서 출발하였다. 필자가 판단하기에 이러한 역학의 다양한 스펙트럼이 존재하는 이유는 무엇보다 각 역학 저작의 해석이 의거하고 있는 이론이 천차만별이라는 점에서 찾았다. 즉 각 주역 해석이 근거하고 있는 이론이 다르기 때문에 그 해석의 결과도 다를 수밖에 없는 것이다. 따라서 주역 해석에 있어서 중요한 점은 의심할 수 없는 주역 해석의 확실한 근거를 찾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필자는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의심할 수 없는 주역 해석의 근거가 무엇인지에 대해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 1973년 중국 장사 마왕퇴에서 출토된 백서(帛书) 주역과 한대 영제 4년에 형성된 ‘희평석경(熹平石经)’은 약 2,000여년의 역사를 가진 출토 문헌이고 석경(石經)이라는 점에서 부정할 수 없는 역사적 진실을 담고 있는 문헌으로 보았다. 따라서 이 두 문헌에 근거한 해석은 주역의 원래 모습을 밝혀줄 수 있는 확실한 토대로 볼 수 있는 것이다. 필자는 특히 백서본 주역과 ‘희평석경(熹平石经)’이 공유하고 있는 내용에 주목하였으며, 그 결과 《계사전(系辞传)》과 《설괘전(说卦传)》의 일부분이 백서본 주역과 ‘희평석경(熹平石经)’에 모두 들어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기반하여 첫째, 직관(直观)의 원칙, 둘째, 호체(互体)의 원칙, 셋째 효변(爻变)의 원칙이 백서본 주역과 ‘희평석경(熹平石经)’이 모두 가지고 있는 주역 해석의 중요한 원칙임을 제시하였다. 물론 이 세 가지 주역 해석 방법은 각각 역학사에서 많은 역학가들이 주역 해석의 방법으로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세 가지 방법만으로 주역을 해석하고 있는 역학 저작은 아직 없는 것 같다. 이러한 점에서 본 논문은 주역 해석에 있어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 KCI등재
      • KCI등재

        이종재료 접착제 접합부의 환경 피로강도 평가

        임재규,이중삼,윤호철,유성철 대한용접접합학회 2002 대한용접·접합학회지 Vol.20 No.5

        One of the important advantage of adhesive bonded joint can combine the different materials. The joint that bonded by structural adhesive bond must keep a large force and its strength is affected by some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emperature and submergence time in water. In order to advance the fatigue strength of adhesive bonded joint, mostly put a surface treatment on the surface. This study was researched the effect of air temperature, submergence time, submergence temperature and surface treatment on the fatigue strength. We found that submergence temperature has the most effect and low plasma treatment specimens have the most fatigue streng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