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판 어머니․아버지 역할 신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조윤진(Cho, Yoon Jin),임인혜(Lim, In Hye)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6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부모를 대상으로 자녀양육에 있어 부모의 역할에 대한 보수적이거나 진보적인 가치관을 반영하는 개인의 생각이나 믿음을 확인하기 위한 어머니·아버지 역할신념 척도를 한국의 실정에 맞게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Bonney와 Kelley가 1996년에 개발한 Beliefs Concerning the Parental Role Scale(BCPR)를 번안한 뒤, 11쌍의 부모를 대상으로 실시한 인터뷰 자료와 전문가 논의를 바탕으로 한국의 문화에 적합하도록 문항을 수정 및 보완하여 한국판 어머니·아버지 역할 신념 척도의 예비문항을 완성하였다. 학령전기 자녀를 둔 부모 20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문항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최종 문항을 도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한국판 어머니·아버지 역할 신념 척도는 ‘남녀역할의 구분’, ‘양육자-어머니 신념’, ‘아버지 양육의 중요성’, ‘생계부양자-아버지 신념’의 4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검사는 학령전기 자녀를 둔 부모 302명(남자 157명, 여자 14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신뢰도 분석과 구인타당도 및 공인타당도 검증을 통하여 개발된 척도가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판 어머니·아버지 역할 신념 척도 개발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Maternal․Paternal Role Belief Scale which means personal thoughts and beliefs that reflect the conservative or liberal values about the parental role. To develop and modify the Korean version of the Maternal․Paternal Role Belief Scale, Beliefs Concerning the Parental Role Scale(BCPR) developed by Bonney and Kelly(1996) was translated, and 11 married couples with children under age 6 were interviewed in depth.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and in-depth interview, preliminary items were identified. Through the preliminary test, the 15 items of the scale were selected and 302 parents samples(male 157, female 145) were administered and collected data were used to analysis. The result of this study as follow: The internal reliability consistency between items were resonable. To confirm criterion-related validity and construct validity of the final scale,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Through the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scale shown that consists of four sub factors. As the result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goodness of the Korean model which consisted of four sub factors was proved as favorable.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es were discussed

      • KCI등재

        한국판 어머니 문지기역할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조윤진(Cho Yoon Jin),임인혜(Lim In Hye) 한국육아지원학회 2016 육아지원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아버지의 양육 참여를 제한하거나 격려하는 어머니의 태도 및 행동을 의미하는 어머니 문지 기역할의 한국형 척도를 개발 및 타당화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Van Egeren(2000)이 개발 하고 Schoppe-Sullivan과 동료들(2015)이 수정한 어머니 문지기역할 척도를 번안한 뒤, 영유아기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부부 11쌍을 인터뷰한 내용을 바탕으로 문항을 수정 및 보완하여 한국판 어머니 문지기역 할 척도의 예비문항을 완성하였다. 예비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판 어머니 문지기역할 척도 17문항(문 닫기 8문항, 문열기 9문항)의 최종 문항을 도출하였으며, 6세 이하의 자녀를 둔 부모 301명을 대상으로 본 검사를 실시하였다. 개발된 척도의 내적 합치도는 우수한 수준이었으며, 개발된 척도와 관련된 변인들과 의 상관분석을 통하여 공인타당도를 확인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한국판 어머니 문지기 역할 척도는 선행 연구에서 제시되었던 것과 같이 아버지의 양육 참여를 제한하거나 통제하려는 ‘문닫기’ 와 아버지의 양육 참여를 지지하고 격려하는 어머니의 행동이나 태도를 의미하는 ‘문열기’의 2 요인 구조 가 추출되었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 설정한 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 로 한국판 어머니 문지기역할 척도 개발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maternal gate-keeping scale which measures the attitude or behavior limiting or encouraging the paternal parenting. To develop and modify the maternal gate-keeping scale originally developed by Van Egeren(2000) and modified by Schoppe-Sullivan (2015) was translated into Korean. Eleven married couples with young children age under 6 were interviewed in depth to design pre-questions.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and in-depth interviews, preliminary items were identified. Through the pilot study, the final 17 items (8 items related to maternal gate closing, and 9 items related to opening) of maternal gate-keeping scale were select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maternal gate-keeping scale was examined with 301 Korean parents with one child under the age of six at least. The result was as follows:The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among items was proficient. Since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scale and marital satisfaction, parenting alliance, and paternal parenting, the scale demonstrated clear concurrent validity, convergent and discrimi nant validity. As the result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goodness of the Korean model which consisted of a two-factor model was proved as favorable. One of the two sub factors was the maternal gate-closing which means maternal attitude or behavior limiting and controlling paternal parenting. The other was the maternal gate-opening, which means maternal attitude or behavior supporting and encouraging paternal parenting.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goodness of fit of the Korean model consisted of two sub factors was proved as favorabl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한국판 어머니·아버지 역할 신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조윤진(Cho Yoon Jin),임인혜(Lim In Hye)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6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부모를 대상으로 자녀양육에 있어 부모의 역할에 대한 보수적이거나 진보적인 가치관을 반영하는 개인의 생각이나 믿음을 확인하기 위한 어머니·아버지 역할신념 척도를 한국의 실정에 맞게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Bonney와 Kelley가 1996년에 개발한 Beliefs Concerning the Parental Role Scale(BCPR)를 번안한 뒤, 11쌍의 부모를 대상으로 실시한 인터뷰 자료와 전문가 논의를 바탕으로 한국의 문화에 적합하도록 문항을 수정 및 보완하여 한국판 어머니·아버지 역할 신념 척도의 예비문항을 완성하였다. 학령전기 자녀를 둔 부모 20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문항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최종 문항을 도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한국판 어머니·아버지 역할 신념 척도는 남녀역할의 구분 , 양육자-어머니 신념 , 아버지 양육의 중요성 , 생계부양자-아버지 신념 의 4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검사는 학령전기 자녀를 둔 부모 302명(남자 157명, 여자 14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신뢰도 분석과 구인타당도 및 공인타당도 검증을 통하여 개발된 척도가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판 어머니·아버지 역할 신념 척도 개발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Maternal·Paternal Role Belief Scale which means personal thoughts and beliefs that reflect the conservative or liberal values about the parental role. To develop and modify the Korean version of the Maternal·Paternal Role Belief Scale, Beliefs Concerning the Parental Role Scale(BCPR) developed by Bonney and Kelly(1996) was translated, and 11 married couples with children under age 6 were interviewed in depth.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and in-depth interview, preliminary items were identified. Through the preliminary test, the 15 items of the scale were selected and 302 parents samples(male 157, female 145) were administered and collected data were used to analysis. The result of this study as follow: The internal reliability consistency between items were resonable. To confirm criterion-related validity and construct validity of the final scale,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Through the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scale shown that consists of four sub factors. As the result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goodness of the Korean model which consisted of four sub factors was proved as favorable.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es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韓國 靑少年의 老人扶養意識에 關한 硏究

        林仁惠,朴明潤 대한보건협회 1987 대한보건연구 Vol.13 No.1

        The study aims to provide materials for planning school and social education for the aged and to devise the welfare policy for the aged by grasping the Korean youths' attitude toward the aged and the degree of their awareness of supporting the aged and by analyzing factors related with it. Questionaires were developed for this purpose, the subject of study being 596 students (296 high school students and 300 college students) in Seoul. S·P·S·S was used for data analysis, data were verified by X_2-test according to each variable, and t-test and Analysis of Variance (ANOVA) was used to verify the hypotheses. The main findings obtained were as follows as a result of hypothesis verification about the awareness of supporting the aged.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p<0.01) according to schooling, the degree of awareness of supporting the aged of high school students being higher than that of college students.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p<0.01) according to sex, the degree of awareness of supporting the aged of female students being higher than that of male students.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p<0.05) according to the birth order. But the eldest had the highest degree of awareness of supporting the aged and the ones without any brother or sister had the lowest degree of it as compared to the ones with brothers or sisters more than tw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