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트겐슈타인의 "대상" -『논고』를 중심으로

        임윤정 ( Yoon Jeong Im ) 한국동서철학회 2015 동서철학연구 Vol.77 No.-

        전기 비트겐슈타인은 “그림이론”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세계의 구조와 언어의 구조가 대응 관계에 있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원자론적 존재론”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세계와 언어를 분석한다. 그 분석의 최종 한계, 즉 논리적인 최종 단순체들은 각각 대상과 이름이다. 이 양자는 언어나 세계의 최종적인 분석의 한계치가 된다. 실제로 세계의 사태가 언어의 요소명제로 그림관계를 형성하게 된다. 그림이론에서 사태는 논리적 독립성을 획득하게 되는데, 그것은 그 구성요소가 ‘대상’이기 때문이다. 대상은 세계의 실체를 형성하고, 단순하며, 고정적이고 불변한다. 대상들은 사태 속에서 일정한 방식으로 얽혀 있다. 대상이 사태의 구성 요소가 되기 때문에 대상은 본질적이라고 할수 있다. 『논고』의 그림이론으로써 제시할 수 있는 언어 의미의 특성들 가운데 하나는 언어의 의미는 하나로 확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낱말 혹은 이름에 이르는 언어의 원자론적 분석과 그리고 최종적 단순체인 낱말이 지시하는 대상이 있을 때에만 의미를 갖는 다는 사실은 곧 전기 비트겐슈타인이 지시론자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런데 『논고』에서의 ‘대상’에 대한 기술들은 대상을 선험적인 것으로 파악하고 있기 때문에, 그 대상이 과연 지시의 대상이 될 수 있는지를 의심스럽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고에서는 비트겐슈타인의 ‘대상’에 대한 고찰의 첫 걸음을 내딛고자 한다. 본고를 통한 이번 논의로부터 시작하여 이후의 논문들은 요소명제와 사태에 대한 논의로 확장될 것이다. The early Wittgenstein proved that the structure of the world and that of language are in a corresponding relation by introducing the “picture theory of language.” He also analyzed the world and language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atomic ontology.” The final point of the analysis, namely, final logical simple forms are the object and name. They set limitation of an analysis of language or the world. Substantially, the point where a picture relation forms between language and the world is in the relation between states of affairs and elementary propositions. Elementary propositions are a linguistic representation of states of affairs, functioning directly as a picture of states of affairs. However, he attempted one more analysis, the one about the object and name. In picture theory, states of affairs obtain logical independence, because its component is a ‘object.’ A object constitutes the reality of the world, is simple, therefore cannot be analyzed any more, and is fixed and not changing. Meanwhile, states of affairs, which are an array of objects, evolve. objects maintain relationships in a uniform way in states of affairs. For this very reason, however, namely, as they constitute states of affairs, objects are essential. The early Wittgenstein seems to have believed that atomic notions can help clarify meaning of language. To do this, he first of all understood the nature of language as a picture of the world on the basis of the similarity of logical forms of the world and language. In a picture theory of the Tractatus Logico-Philosophicus, semantics shows what the ultimate link between language and the world is, and meaning is in a name referring to a object. The biggest profit from this process is that the meaning of language can be determined as one. In this way, atomic analysis of language from words and names and the fact that words as the final simple forms are significant only when there are the objects that they refer to assume that the early Wittgenstein might have been a reference theorist. But can it be that the object is referred? In this sense, I consider the ``object`` carefully. Further more, I consider ``State of affairs`` and ``elementary proposition`` in next thesis.

      • KCI등재

        연군논문 : 철학상담, 왜 철학하기인가?

        임윤정 ( Yoon Jeong Im ) 한국동서철학회 2014 동서철학연구 Vol.71 No.-

        본고는 20여 년의 역사를 지닌 철학상담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그러나 단순히 그 역사적 의의나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아닌, 철학상담의 훈련 방법에 대한 논의가 주된 목적이다. 현재 철학상담 전문가가 존재하며, 다양한 양성 프로그램들도 존재하기는 하지만 표준화된 훈련 프로그램이라고 불릴 만한 프로그램은 전무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복잡한 사회에서 마음의 병을 앓고 있는 현대인들이 그 문제들을 해결하고, 잘 살고자하는 의지가 강해지는 만큼 철학상담에 대한 요청은 많아질 수밖에 없다. 그러나 그 짧은 역사에 비해 정체성에 대한 주장들은 분분한 반면, 짧은 역사 탓인지 정체성과 방법론에 관한 질문들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의 진행 중이라고 답하고 있을 뿐이다. 뿐만 아니라 철학상담 보다 먼저 현대인의 삶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나섰던 심리치료(심리상담)와의 관계 또한 제대로 정립되지 않았으며, 이 둘의 관계는 오히려 일종의 영역 다툼이 있는 것처럼 보일 수도 있다는 문제도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우리가 좀 더 관심을 가져야하는 것은 철학상담 관련 교육, 혹은 훈련이다. 개인의 삶의 문제나 마음의 병을 다루어야 하는 철학상담 전문가들이 짧은 훈련 프로그램 참여만으로 전문가가 될 수 있다면 어떠할까? 이를 해명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철학상담이 무엇이며,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우선은 매우 개괄적으로 살펴보았다. 그 과정에서 철학상담이 자아정체성을 성찰하는 ‘철학하기’와 매우 유사함을 알게 되었고, 철학하기는 철학교육의 한 모습이라고 이해했을 때, 철학교육(철학교육 프로그램)에서 철학상담 교육이나 훈련에 관한 문제의 답을 찾을 수도 있을 것이라고 보았다. 특히 현재 어린이 철학교육이라고 불리는 프로그램으로부터 시작하여 대학생,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정규 철학교육의 내용이나 방법이 철학상담의 모범적인 훈련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이 분명해진다면, 철학교육의 한 가운데 서 있는 우리들은 더 좋은 철학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발전시켜야 한다는 의무감이 더 커질 것이라 예상된다. This article discusses philosophical counseling which has 20 years of history. However,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not only to discuss the historical significances or other possibilities, but to discuss the training procedure of philosophical counseling. Despite the existence of philosophical counseling experts and diverse training programs, there is no training program that can be considered standardized. As long as people with mind diseases have the will to live better lives by solving their problems, it is obvious that the request of philosophical counseling rises. Despite the short history of philosophical counseling, there are lots of assertions on its identity. However, on the other hand, perhaps from that short history, clear idea of the identity and methodology of philosophical counseling is still on the table. Moreover, its relationship with psychotherapy (counseling), which reached out to the society before philosophical counseling did, is not yet settled. In fac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may actually be seen as if they are in territorial dispute. Above all, the part we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is the education or training of philosophical counseling. What would it be like if the trainees who deal with diseases of human mind or personal problems of individuals are to become an expert with just a short training program? In order to explain this question, this study examined what philosophical counseling is and how it is carried out in general. In the examination process, we discovered that philosophical counseling was very similar to ‘doing philosophy’ which introspects ego-identity, and with the understanding that ‘doing philosophy’ is a part of philosophy education, the answer to the question about the philosophical counseling education and training may be found in the philosophy education programs. If it is assured that programs starting from children`s philosophy education to regular philosophy education for adults and college students are capable of becoming an exemplary training programs for philosophy counseling, as researchers in the center of philosophy education, our roles and responsibility to develop and foster better programs of philosophy education would be greater than ever.

      • KCI등재
      • KCI등재

        기존의 어린이 철학 텍스트 분석과 이에 따른 효과적인 텍스트 개발을 위한 철학적 기반 모색 -어린이철학교육 교재와 립맨의 철학동화 분석을 중심으로

        임윤정 ( Im Yoon-jeong ) 한국동서철학회 2017 동서철학연구 Vol.0 No.85

        본 연구의 궁극적 목적은 효과적인 어린이철학교육 텍스트의 근간을 마련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기존의 어린이철학교육을 위한 텍스트를 분석하는 작업을 시도하였다. 본고에서 어린이철학교육 텍스트의 외연을 어린이철학교육 기관의 교재와 철학동화를 포함한 동화로 규정하였다. 논자는 본 연구의 결과를 두 개 이상의 논문으로 구성할 계획인데, 본고에서는 우선 어린이철학교육 기관의 교재와 전통적인 립맨의 철학동화를 분석하기로 한다. 양자는 어린이철학교육의 시발점에서 있는 립맨의 영향 하에 있으며, 특히 본고에서 분석하고 있는 전통적인 철학동화는 기존의 어린이 문학을 철학수업을 위한 자료로 사용하는 것을 거부했던 립맨에 의해 기획되고, 창작되었다. 논자는 어린이철학교육 기관의 교재들 가운데 몇 종류를 선별하여 립맨의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의 다섯 단계를 기준으로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선별된 교재들은 교재 구성의 특징에 따라, 철학교육 대상자의 특성에 따라 이 다섯 단계가 겹쳐지고, 생략된 채 적용되기도 하지만, 대부분 립맨의 다섯 단계를 적절하게 충족시키고 있다. 립맨의 동화는 어린이들에게 논리와 언어 문제를 환기시키고, 철학적 탐구공동체활동을 시행하기에는 적절한 철학적 자료가 되는 반면, 어린이들에게 흥미를 유지시키거나 도전의식을 부여하지는 못하며, 특히 문학적 요소가 결여되었다고 평가되었다. 논자가 판단하기에 이러한 단점을 해소할 수 있는 방법은 매튜스의 방법이다. 매튜스의 방법에 대해서는 일반적인 동화나 일화들을 철학교육 텍스트로 활용 가능한지, 그리고 가능하다면 어떤 방법이 효과적인지를 고찰함으로써 후속 논문에서 연구를 이어갈 것이다. s philosophy education. To address the goal, this author attempted to analyze existing text for children`s philosophy education. This study defines the extension of text for children`s philosophy education as textbooks used in children`s philosophy education institutions and children`s books, including children`s books of philosophy. This author is planning to organize two or more theses with the results gained here. This study first deals with an analysis on textbooks used in children`s philosophy education institutions and Lipman`s traditional children`s books of philosophy. The two have both been influenced by Lipman who is at the forefront of children`s philosophy education. The traditional children`s books of philosophy specifically dealt with here in this study were planned and created by Lipman who rejected using children`s literature as material for philosophy class. This author selected several varieties of textbooks used in children`s philosophy education institutions and analyzed them precisely through Lipman`s five steps of community activity for philosophical exploration. Although the five steps sometimes overlapped or were omit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extbook organization or of topics for philosophy education, most of the textbooks satisfy Lipman`s five steps adequately. Through the evaluation, this researcher has learned that Lipman`s children`s books raise either logical or linguistic questions to children and work as appropriate material of philosophy in performing community activity for philosophical exploration; however, they fail to keep children interested or full of the spirit of challenge and also lack literary elements. This author thinks that the way to eliminate these weaknesses is to use Matthews` method. Concerning Matthews` method, this researcher plans to conduct follow-up research by considering if general children`s books or episodes can be applied as text for philosophy education, and if that is possible, which methods may prove to be effective.

      • KCI등재

        그림이론과 지시론의 관련 가능성

        임윤정 ( Yoon Jeong Im ) 한국동서철학회 2016 동서철학연구 Vol.0 No.79

        비트겐슈타인의 전기 언어관과 후기 언어관을 대변하는 가장 보편적인 개념은 ‘그림이론’과 ‘말놀이’일 것이다. 이와 같이 상이하게 언어관을 명명하는 이유 중 하나는 언어의 의미에 대한 이해의 상이성이다. 즉 전기 비트겐슈타인은 언어의 의미를 단일하고, 획일적이며, 고정적인 것으로 파악하는 반면, 후기 비트겐슈타인은 언어의 쓰임에 따라 획득하게 되는 다양성을 주장하고 있다.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이러한 언어관을 지시론이라 규정지을 수 있는데, 본고에서는이 지시론의 문제를 고찰하고자 한다. 논자는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지시론적 언어관을 그의 그림이론과의 관련성 속에서 그 규정 가능성을 발견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미여러 학자들에 의해 이러한 논의는 있어 왔고, 이 그림이론이 전기 비트겐슈타인만의것인지, 또는 후기 비트겐슈타인에게도 지속되어져 왔는지에 대한 논의 또한 그러하다. 논자는 본고에서 이에 대해서는 매우 개괄적으로 제시하였다. 이것은 그림이론에 대한 해커의 주장을 주된 논거로 삼아 그것과 상반되는 힌티카와 케니의 주장을 개괄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제안되었다. 특히 논자는 그림이론을 전기 비트게슈타인을 지시론자로 규정하기 위한 전제로서 설정하였는데, 이것은 그림이론이 지시론이라는 언어관의 특징을 포함하고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그림이론이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전유물인지, 또는 후기 비트겐슈타인에게까지 지속되는지에 관한 논의는 매우 중요하다. 논자는 이에 관해 그림이론은 전기 비트겐슈타인에게 속한 것이라고 가정하였는데, 만약 그림이론이후기 비트겐슈타인에게까지 지속되었다 하더라도 이때 전기와 후기 비트겐슈타인에게 있어서의 ‘그림’ 또는 ‘그림이론’의 개념이 상이하다고 주장하였다. The most well-known concepts that represent Wittgenstein’s early view and later view of language are ‘picture theory’ and ‘language game’. One of the reasons why different names are used for these different views of language stems from different understanding about the meaning of language. In his early days, Wittgenstein considered the meaning of language singular, standardized, and fixed while in later days he claimed diversity of language that expands in accordance with its use. Wittgenstein’s early view of language can be called ‘referential theory’ and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issue of this theory. It intends to find the possibility to define Wittgenstein’s referential theory in relation to his picture theory. However, there have been lots of such efforts among scholars, and discussions have also been profuse as to whether the picture theory is relevant only to his early view of language or to his later view as well. This paper gave a very general description about these issues. It took Hacker’s opinion on picture theory as grounds for the argument and offered a general description about the ideas of Hintikka and Kenny that are opposed to Hacker’s. Especially, this paper postulated picture theory as a premise to define Wittgenstein as a referential theorist under the presumption that picture theory h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ew of language, referential theory. Therefore, the discussion whether picture theory relates only to the early view of Wittgenstein or extends to his later view is very important. As for this issue, this paper presumed that picture theory belongs only to the early days of Wittgenstein and even if it lasted till the later days, there was difference in the concepts of ‘picture’ or ‘picture theory’ between his early view and later view.

      • KCI등재

        언어의 의미와 지시와의 관계 연구

        임윤정 ( Yoon Jeong Im ) 한국동서철학회 2013 동서철학연구 Vol.67 No.-

        본 논문의 목적은 언어와 의미의 관계를 고찰하는데 있다. 그런데 언어의 의미에 대 한 관심은 비단 철학에서만의 것은 아니다. 이미 언어학과 심리학에서도 그것들은 주된 논의의 대상이 되어 왔으며, 심지어 이 두 학문에서는 학제적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언어학과 철학, 심리학에서 언어를 연구하는 목적과 내용, 방법론에는 유사성과 차이점 이 공존한다. 언어의 의미를 다룰 때 언어 기호와 의미의 관계에 관심을 갖는 점은 매우 유사했다. 특히 그것은 철학에서 지시와 의미라는 두 개념의 관계성을 고찰함으로써 연구되고 있다. 논자는 이를 지시이론이라는 이름으로 부르며, 철학자 가운데에서 프레게 와 러셀, 그리고 스트로슨의 지시이론을 비교하고 각자의 대안들을 기술하였다. 그들 중 일부는 의미론적 지시론자로, 또 다른 일부는 화용론적 지시론자로 분류할 수 있다. 그렇게 분류할 수 있는 기준이 무엇이며, 그들의 언어에 대한 이해가 어떠했기에 그렇게 분류할 수 있었는지를 고찰하였다. This study aims to study the relation between language and meaning. Philosophy is concerned about these. And other sciences are too. In fact, what the author intends to do as above has been done already hi linguistics and philosophy. There ar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goals, contents, and methodologies of studying language in linguistics, philosophy and psychology. Above all, these two areas are quite similar in that they pay special attention to the relation between semantic symbols and meanings when it comes to the meaning of language In particular, the relation between the two concepts - reference and meaning - is examined in philosophy. The author calls it the theory of reference compares the theories of reference of such philosophers as Frege, Russell, and Strawson. and suggests alternative ideas for each of them Some of the philosophers may be classified to those of the semantic theory of reference and some to those of the pragmatic theory of reference. The basis for classification and their understanding of language in such classification a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 KCI등재
      • KCI등재

        지시 이론에 관한 고찰 -비트겐슈타인의 전기 언어관을 지시 이론 (theory of reference)이라 할 수 있는가?-

        임윤정 ( Yoon Jeong Im ) 한국동서철학회 2012 동서철학연구 Vol.63 No.-

        언어에 대한 논의는 예상 보다 훨씬 복잡하고, 그 논제가 다양하다. 언어학자들에게 있어 특정 언어의 표현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 그리고 어떤 조건 하에서 그런 의미를 갖게 되는지, 어떤 과정을 통해 그러한 의미를 갖게 되는지가 주된 관심의 대상이었다. 이러한 기준 하에서 언어의 의미에 대한 몇 가지 이론들이 제시되었다. 의미론에 대한 질문은 ``한 언어가 표현하는 의미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으로부터 시작되는데, 이 때 의미를 일종의 실체로 파악하고 있으며, 특히 실체와 언어적 표현 사이에는 어떤 연관성이 존재한다고 보는 견해가 지배적이었다. 그러므로 의미론에 대한 대답은 먼저 ``의미가 무엇인지``, 다음으로 언어적 표현과 실체가 어떤 관련을 맺고 있는지에 대한 대답을 제시함으로써 분명해 질 것으로 보이는데, 이에 대해 올스튼은 언어의미론의 세 가지 유형, 즉 "지시론"(referential theory), "관념론"(ideational theory), "행동론"(behavioral theory)을 제시한다. 본고에서는 이 세 가지 언어의미론-특히 아우구스티누스를 중심으로 한 지시론-을 살펴본 후, 이들은 어떤 언어적 표현은 일정한 의미를 갖는다는 가정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는 것과, 그것이 가능한 이유는 무엇보다도 유의미한 언어적 표현들이 어떤 것-그것이 사물이든, 관념이든, 행동이든 무관하게-과 대응함으로써 의미를 갖게 된다는 점을 공유하고 있음을 밝히게 될 것이다. 또한 전기 비트겐슈타인이 표방하고 있는 언어의미론이 지시론(혹은 의미론적 지시론)의 특징들을 공유하고 있음을 밝히게 될 것이다. 이것은 그의 주저 『논고』에서의 그림이론과 분석적 방법을 통해서 드러나고 있다. The debate on language is much more complex than one expects, and the topic for the discussion is diverse. For the linguists, what significance a particular linguistic expression has, and under what conditions that expression comes to have such significance were the main objects of interest. A few theories have been presented about the significance of language under these criteria. Questions about semantics start with the question, ``what is the significance that a language expresses?``, and at this point the significance is perceived as a kind of substance, and especially an opinion that certain correlation exists between substance and linguistic expression was dominant. Therefore, the answer to the semantics seems to be made clear by presenting an answer, first of all, to the question, ``what is the meaning?``, and then to ``what relation does the linguistic expression have to the substance?``. In connection with this, Allston presents three categories of linguistic semantics: "referential theory", "ideational theory", "behavioral theory". In this piece of writing, these three linguistic semantics-especially, the referential theory centered on Aurelius Augustine-are examined, and then it is clarified that all these categories of semantics include the supposition that certain linguistics expression has fixed meaning, and that they share the reason why the supposition is possible, which is most of all, that meaningful linguistic expressions respond to something, regardless of whether it is an object, idea or act. In addition, it will be clarified that the linguistic semantics the Wittgenstein claims to advocate in the former period shares the characteristics of referential theory (or the referential theory of semantics). This is revealed through the picture theory and the analytic method in his major work, Tractatus Logico-Philosophicus.

      • KCI등재

        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간상과 인재상 구현을 위한 교육적 기초 모색 -어린이 철학교육을 중심으로

        임윤정 ( Im Yoon Jeong ) 한국동서철학회 2022 동서철학연구 Vol.- No.104

        본고는 4차 산업혁명 시대가 요구하는 인간상과 인재상을 구현하기 위한 효과적인 교육적 기초를 모색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4차 산업혁명은 다른 산업혁명과 상이성을 포함한다. 4차 산업혁명을 대표하는 과학기술력의 기반이 3차 산업혁명의 기술력과 유사하기 때문에, 이 양자의 차별점을 간과하기 쉽다는 점과 다른 산업혁명에 비해 상대적으로 역기능적 측면이 주목받아 왔다는 점이 4차 산업혁명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런데 이러한 상이성은 곧 인간에 대한 이해의 상이성을 야기한다. 그것은 크게 인간상과 인재상의 상이성으로 정리할 수 있다. 그래서 논자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구성해야 하는 인간 본질의 변화와 그 시대가 요구하는 인재상의 변화에 주목하고 자 한다. 우선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특징으로 인해 발견 가능한 인간 정체성, 그리고 인간이 다양하게 맺게 되는 관계성-특히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간과 기계의 탈경계, 또는 모호성-에 관해 고찰할 것이다. 이러한 인간상에 관한 고찰이 철학의 역할이라는 전제하에, 논자는 어린이 철학교육이 그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리라고 기대한다. 어린이 철학교육은 사고력 교육을 목표로 하는데, 이때 사고력 교육은 논리적ㆍ비판적 사고와 같은 인지적 사고능력으로부터 배려적 사고와 같은 인성적 사고능력을 포함한다. 그런데 대부분의 인재상이 그러하듯 4차 산업혁명 시대가 요구하는 인재상 또한 인지적 사고력과 인성을 동시에 강조하고 있다고 논자는 파악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논자는 어린이 철학교육이 이 양자를 균형 있게 발전시킴으로써 4차 산업혁명 시대가 요구하는 인재 양성에 기여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라고 주장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단편적이기는 하지만, 4차 산업혁명 시대가 요구하는 인재상은 세계 경제 포럼에서 제안하는 핵심역량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주로 감정적 요소로 간주해 왔던 ‘배려’를 립맨이 ‘배려적 사고’, 즉 사고력으로 소환한 사실에 주목했다. This study was planned to seek effective grounds for education to realize the models of human beings and of competent persons demanded in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volves differences from other kinds of industrial revoluti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s; because the grounds of science technology represent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re similar to those of technology adopted for the third industrial revolution, the gap between the two is often overlooked, and also, its dysfunctional aspects are more focused than in other sorts of industrial revolution. The differences, however, soon result in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of humans. It can be summed up largely as distinctiveness between the models of human beings and of competent persons. Thus,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focus on the change of human nature to be made up in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change in the model of competent persons demanded by the time. Above all, this study will consider human identity that can be discover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relations humans can be engaged in diversely - particularly, the transborder or ambiguity between humans and machines in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ith an assumption that such consideration over the model of human beings is one of the roles of philosophy, this research will stress the fact that philosophy education for children can play the role sufficiently. Philosophy education for children is aimed to cultivate thinking skills. Here, thinking skills in that education include not only cognitive thinking such as logical and critical thinking but affective skills like caring thinking as well. As in most of the models of competent persons, this study has figured that the models of competent persons demanded by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oo, stress cognitive thinking and character both at the same time. From this perspective, this researcher is to insist that philosophy education for children can develop the two balancedly as an effective program to educate persons of ability demanded by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or that, this study considered the models of competent persons demanded by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ith the criteria of core competencies suggested by the World Economy Forum though fragmentary and focused on the fact that M. Lipman summoned ‘consideration’ that had been regarded as a factor of emotion as ‘caring thinking’, that is ability to think.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