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성화고 학생의 잠재적 학업 중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임유화,이병욱 한국직업교육학회 2014 職業 敎育 硏究 Vol.3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latent interruption academic work of students of vocational high schools. In addition, the present study is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needed to establish effective alternatives that may be considered to address the issues vocational high schools latent interruption academic work are facing.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factors affecting the latent interruption academic work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urned out to be ‘emotional and physical self factors’, ‘career conscious factors’, and ‘problem behavior factors’ for personal factors. For home factors, ‘home solidarity and rearing attitude factors’, and ‘home economy and rearing environmental factors’ were found. For school life and academic factors, ‘major and career aptitude relationship and support factors’, ‘school rules and discipline process factors’, ‘academic performance factors’, ‘student inter-relationship factors’, and ‘teacher factors’ were identified. For social and environmental factors, ‘hazardous environment experience factors’, ‘social awareness for vocational high schools factors’, and ‘youth support facilities factors’ were identified. 이 연구는 특성화고 학생의 잠재적 학업 중단을 조기 진단하여 원인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이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잠재적 학업 중단의 요소가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우선 밝혀 그를 제거 또는 개선하기 위하여, 특성화고 학생의 잠재적 학업 중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구명하고 잠재적 학업 중단 학생이 겪고 있는 문제들을 해소하기 위한 효과적인 대안 마련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성인교육과 대학교육을 제외하고 ‘잠재적 (학업) 중단’, ‘잠재적 (중도) 탈락’, ‘잠재적 (학교) 부적응’으로 제목이나 키워드로 검색 설정해서 나온 11편과 ‘학업 중단’으로 검색한 58편 중 중복되는 4개의 학술지 논문을 제외하고 총 65편을 분석하였다. 아울러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추출된 이론적 특성화고 학생의 잠재적 학업 중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영향을 검증하기 전문가 집단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2년 10월 31일부터 11월 7일까지 실시하였으며, 수도권의 6개교, 경상권의 4개교, 전라권의 3개교, 충청권의 3개교, 강원권의 1개교를 대상으로 우편을 통해 1,870부의 설문 조사지를 송부하여 실시하였다. 총 1,467(78.4%)가 회수되었으며 응답이 불성실하거나 자료 활용이 어려운 247부를 제외한 1,220부(83.2%)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특성화고 학생의 잠재적 학업 중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개인 요인에서 ‘정서적․신체적 자아 요인’, ‘진로 의식 요인’, ‘문제 행동 요인’으로 구명되었으며, 가정 요인은 가정의 ‘결속․양육 태도 요인’, ‘가정의 경제․양육 환경 요인’으로 구명되었다. 학교 생활 및 학업 요인은 ‘학교 전공과 학생 진로 적성과의 관계․지원 요인’, ‘교칙․훈육 과정 요인’, ‘학업 성적 요인’, ‘학생 간 관계 요인’, ‘교사 요인’, 사회 환경 요인은 ‘유해 환경 경험 요인’, ‘특성화고에 대한 사회적 인식 요인’, ‘청소년 지원 시설 요인’으로 구명되었다.

      • KCI등재

        직업계고 글로벌 현장학습 모델 개발 - 경기도 사례를 중심으로

        임유화(Yoohwa Im),이찬주(Chanjoo Lee),김수미(Sumi kim) 대한공업교육학회 2022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7 No.3

        이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직업계고 글로벌 현장학습의 운영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탐색하여, 직업계고에 적합한 글로벌 현장학습 모델을 개발하는 데 있다. 문헌 연구를 통해 직업계고 글로벌 현장학습 모델을 이론적으로 구안하고, 이를 토대로 전문가 워크숍을 통해 모델에 대한 초안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모델 초안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전문가 패널을 구성하고 내용 타당도를 분석하여 모델 최종안을 개발하였다. 첫째, 현장 전문가 12명의 타당도 검토 결과 글로벌 현장학습 모델의 체계, 운영 방안, 교육과정 대부분 항목에서 전문가의 타당도가 높은 편이고, 기준값 이상으로 판단되었다. 둘째, 글로벌 현장학습 모델의 특징은 프로그램 목적에 따라 유형을 글로벌체험활동형, 글로벌현장실습형, 글로벌취업형으로 구분하고, 운영기관에 따라서 단위학교형, 거점학교형, 외부기관연계형으로 구분하여 운영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글로벌 현장학습 모델은 외국어 교육을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외국어 교육을 현장실습 운영 학년인 3학년에 집중하기보다는 1~2학년에 미리 교육할 수 있도록 하여, 현장학습 파견에 나가지 않는 학생들을 포함하여 어학 교육에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즉, 직업계고 글로벌 현장학습모델은 본 사업(프로그램) 운영 전 단계에는 어학교육이나 국제교류 등의 ‘글로벌 역량 강화 프로그램(가칭)’을 운영하도록 구성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perating status and problems of the existing global field trips in vocational high schools, and to explore ways to improve them. And it is to develop a global field study model suitable for vocational high schools. A global field study model for vocational high schools was theoretically devised through literature study, and based on this, a draft model was developed through expert workshops.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draft model, an expert panel was formed and the content validity was analyzed to develop the final model. First, as a result of the validity review of 12 field experts, the validity of the experts in most items of the system, operation plan, and curriculum of the global field learning model was high and was judged to be higher than the standard value.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global field study model are divided into global experiential activity type, global field practice type, and global employment type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program Third, the global field study model is structured so that foreign language education can be learned from a systematic and long-term perspective. Rather than focusing on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 the 3rd grade, which is the year of field training, it was designed to be taught in advance in the 1st and 2nd grades, so that even students who do not go on field trips can benefit from language education. In other words, the global field study model for vocational high schools is configured to operate a ‘global competency strengthening program (tentative name)’ such as language education and international exchanges before the operation of this project.

      • KCI등재

        공업계 고교 NCS 기반 교육과정의 편성 실태와 과제

        이영민,임유화 대한공업교육학회 2016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1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how industrial highschool try to organize and apply NCS based curriculuma, to find out problems, and to suggest what the task for the sustained development and growth under the NCS basedindustrial highschool curriculum. In order to identify actual situation and problems, when a industrial highschool organize and apply NCS based curriculum, we suveyed NCS based curriculum that 583 specialized, Meister highschools organize. The problems to identify through analysis about NCS based curriculum that schools organize are the followings. First, schools’ NCS based curriculum is set up too much comprehensive type for training human resources. Second, carreer path of students is not considered by schools’ NCS based curriculum. Third, yearly plan for schools’ NCS based curriculumis not balanced to raise working experience skill among each grades. Forth, schools are not ready to use NCS learning module. Task to solve these problems are the following. First, schools’ curriculum have to be organized on the basis of NCS’s purpose. Second, teachers have to restructure the NCS learning module in order to go up availability of NCS learning module. Third,industrial highschools have to make efforts to raise students’ working experience skill. Finally, industrial highschools have to make efforts to raise teachers’ competency to need that they teach and train their students’ working experience skill. 이 연구는 공업계 고교의 NCS 기반 교육과정 편성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여 NCS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지속적인 성장 발전을 위한 과제가 무엇인지 제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및 전문계학과를 설치한 일반고를 포함하여 총 583개교를 대상으로 NCS 기반 교육과정 편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조사하였고, 그 중 283개 단위학교의 공업분야 교육과정 편성 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파악된 문제점은 첫째, 산업분야별 인력수요 전망을 고려하여 객관적으로 기준학과를 설치하지 못했다는 점. 둘째, 공업분야 특성화고의 경우 실무과목의 수와 과목당 평균단위수가 다른 특성화고보다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학습모듈 활용, 교수학습방법 개발 및 교원 역량 강화 방안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점, 셋째, 공업분야 특성화고의 전문교과 담당교사의 수업부담이 더 증가한다는 점, 넷째, 인력양성목표와 NCS 기반 고교 직업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이 약하다는 점, 다섯째, NCS 실무과목을 3학년에 집중 편성함으로 인해 체계적이고 균형잡힌 학습에 한계가 있다는 점이었다. 공업계 고교에서 NCS 기반 교육과정이 선순환적으로 작동하고 안착하기 위한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역량 향상과 Career Path(진로경로)를 고려하여 NCS 기반 교육과정을 편성해야 한다. 둘째, NCS 학습모듈 내용을 재구조화해야 한다. 셋째, NCS 직무 역량 강화를 위하여 모듈식 교수학습방법 등 적합한 교수학습방법을 연구・적용해야 한다. 넷째, 교원의 역할변화로 요구되는 추가역량에 대한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다섯째, 교원의 수업부담 경감방안과 수업역량 강화방안을 확립하여야 한다.

      • KCI등재

        중등 공업계열 전문교과 교과서에서의 발명·지식재산 교육내용 반영 가능성 분석 연구

        이병욱,안재영,임유화 한국기술교육학회 2014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4 No.3

        This research analyzed contents of 101 industry specialized textbooks by2007 revised national-level curriculum based on core studying factors ofinvention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so as to analyze possibilities to reflectcontents of invention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in industry specializedtextbooks of specialized high school·meister high school, etc. Concrete results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total 754 factors of contents reflected by invention intellectualproperty education contents in industry specialized textbooks of secondaryvocational education, but total 2,943 factors of contents with possibilities toreflect invention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contents. And, relative ratio ofreflecting situation and reflecting possibility was about 1:3.90. Second, for therelative ratio of reflecting situation by subject and reflecting possibility, therewere 1:5.81 of machine․metal subject, 1:2.98 of electronics․electricity․communication subject, 1:3.26 of construction subject, 1:1.36 of chemicalengineering․textile, 1:2.04 of other(broadcasting․media) subject and 1:3.26 ofcommon subject. Third, for the situation of possibility to reflect invention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contents by component areas, 1,495(50.80%) of‘main body’, 951(32.31%) of ‘others except for main body(various activitytasks)’ and 497(16.89%) of 'reading material’ showed possibilities of reflection. Relative ratio of reflecting situation and reflecting possibility was 1:4.40 of'main body', 1:4.40 of 'others except for main body' and 1:2.51 of 'readingmaterial'. Therefore, there are more possibilities to reflect invention intellectualproperty education contents in industry specialized textbooks than reflectingsituation, so it's expected to reflect more invention intellectual propertyeducation contents than the standard of current textbook. Also, there aresomewhat differences in reflecting possibility by subject and textbookorganizing sector, but it's expected to reflect more invention intellectualproperty education contents than the standard of current textbook to all thecomponent areas of all subjects and all textbooks. 이 연구는 특성화고·마이스터고 등 공업계열 전문교과 교과서에서의 발명·지식재산 교육내용 반영 가능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발명·지식재산교육의 핵심 학습 요소를 기준으로 2007 개정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따른 공업계열 전문교과교과서 101권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 공업계열 전문교과 교과서에서 발명·지식재산 교육내용이 반영된 내용 요소는 총 754개인 반면 발명·지식재산 교육내용이 반영될 가능성이 있는내용 요소는 총 2,943개였으며, 반영 현황과 반영 가능성의 상대 비율은 약1:3.90이었다. 둘째, 과목별 반영 현황과 반영 가능성의 상대 비율은 기계․금속 과목이1:5.81, 전기·전자·통신 과목 1:2.98, 건설 과목 1:3.26, 화공·섬유 1:1.36, 기타(방송․미디어) 과목 1:2.04, 공통 과목은 1:3.26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과서 구성 영역별 발명·지식재산 교육내용의 반영 가능성 현황은 ‘본문’에 1,495개(50.80%), ‘본문 외(다양한 활동 과제)’에 951개(32.31%), ‘읽을거리’에 497개(16.89%)가 반영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영 현황과 반영가능성의 상대 비율은 ‘본문’이 1:4.40, ‘본문 외’가 1:4.40, ‘읽을거리’가 1:2.51로나타났다. 따라서 공업계열 전문교과 교과서에서의 발명․지식재산 교육내용의 반영 가능성이 반영 현황보다 높으므로, 현 교과서의 집필 내용 현황보다 발명․지식재산교육내용을 더 반영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과목별, 교과서 구성 영역별로 반영 가능성은 다소 차이가 있으나 전 과목의 모든 교과서 구성 영역에 현 교과서의 집필 내용 현황보다 발명․지식재산 교육내용을 더 반영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중등 직업교육 공업계열 전문교과 교과서에서의 발명·지식재산 교육내용 반영 실태 분석 연구

        이병욱,안재영,임유화 한국기술교육학회 2014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4 No.2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s of 101 textbooks of industrial specialized subjects according to 2007 advised national curriculum based on key learning elements of invention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which reflects its educational contents in the textbooks of industrial specialized subjects including specialized․meister high schools. The concret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First, the educational contents of invention intellectual property in the textbooks of industrial specialized subjects of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have found that the contents related to invention intellectual property were reflected in order of A(understanding of invention), D(problem solving activities), E(invention fusion knowledge), C(problem recognition activities), B(understanding and activities of creativity) and the contents related to L(investigation of patent information), M(analysis of patent information) never were reflected. As these reflected contents have found that the educational invention intellectual property related to invention literacy and crea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of creation, protection, utilization, and invention literacy are usually reflected, attempts to reflect the contents related to protection and utiliza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are needed. Second, subjects have found that the educational contents of invention intellectual property are very much reflected in order of common subjects, others(broadcasting & media), mechanical & metallurgical, electric, electronics & communication, construction, and chemical engineering․ fiber. And like the previous result, it was analyzed that the contents related to invention intellectual property were reflected in order of A(understanding of invention), D(problem solving activities), E(invention fusion knowledge), C(problem recognition activities), B(understanding and activities of creativity) and the contents related to L(investigation of patent information), M(analysis of patent information) never were reflected. These results showed the similar tendency by series. Third, subject areas have found that the educational contents of invention intellectual property were very much reflected in order of the body, areas except the body(activity tasks), and reading materials. 이 연구는 특성화고·마이스터고 등 공업계열 전문교과 교과서에서의 발명․지식재산 교육내용 반영 실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발명·지식재산교육의 핵심 학습 요소를 기준으로 2007 개정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따른 공업계열 전문교과 교과서 101권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 직업교육 공업계열 전문교과 교과서에서의 발명·지식재산 교육내용은 A(발명의 이해), D(문제해결활동), E(발명융합지식), C(문제인식활동), B(창의성 이해와 활동) 등의 순으로 발명․지식재산 관련 내용이 반영되었고, L(특허 정보 조사), M(특허 정보 분석) 관련 내용은 전혀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반영 내용은 발명·지식재산의 교육 내용 분류 영역인 창출, 보호, 활용, 발명 소양 중에서 주로 발명 소양 및 지식재산 창출과 관련된 발명․지식재산 교육내용이 반영된 것으로 나타나 지식재산 보호 및 활용과 관련된 내용 반영을 위한 시도가 필요하다. 둘째, 과목별로는 공통, 기타(방송·미디어), 기계·금속, 전기·전자·통신, 건설, 화공·섬유 계열 과목의 순으로 발명·지식재산 교육내용이 많이 반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앞선 결과와 같이 A(발명의 이해), D(문제해결활동), E(발명융합지식), C(문제인식활동), B(창의성 이해와 활동) 등의 순으로 발명․지식재산 관련 내용이 반영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L(특허 정보 조사), M(특허 정보 분석) 관련 내용은 전혀 반영되지 않았으며 이러한 결과는 계열별로 비슷한 경향을 나타냈다. 셋째, 교과서의 구성 영역별(본문, 본문외, 읽을거리)로는 ‘본문’, ‘본문외(활동과제)’, ‘읽을거리’의 순으로 발명·지식재산 교육내용이 많이 반영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발명․특허 기초’ 과목의 교수․학습 방법 실태 및 요구 조사 연구

        이찬주,이병욱,강경균,임유화 대한공업교육학회 2013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8 No.1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realities and needs in the subjects 'The basis of the Invention Patent’. To this end, research and analysis of the subjects 'The basis of the Invention Patent' the teacher and take advantage of their curre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e basis of the Invention Patent' subject teachers to recognize the most desirabl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subjects 'The basis of the Invention Patent'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the operating requirements of the difficult matters. Survey of 48 schools across the country in high school teachers to teach the subjects 'The basis of the Invention Patent'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high percentage of theoretical learning activities, teaching methods, such as 'lectures' and take advantage of the higher percentage. Module was to conduct classes such as 'project', 'lab experiments', 'discussion', 'investigation' by taking advantage of the high proportion of practice learning activities. Second, Higher requirements for the experience and practice of student-centered 'lab experiments', 'project', 'Case Studies', 'field trips' and theory-driven rather than 'lectures'. Third, 'The basis of the Invention Patent' subjects 'Teaching and learning important when operating requirements for the degree' as a whole was highly recognized. in particular, operating requirements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accordance with the former college of education of education than non-group differences were higher overall response. Fourth, 'The basis of the Invention Patent' subjects 'Teaching and learning difficult when operating your degree' as a whole was highly recognized. In particular, was recognized by difficult questions, such as lack of preparation classes due to excessive work, educational facilities and equipment shortage, lack of prior knowledge about the subject, individual differences of the students considering the difficulties, student's 이 연구는 ‘발명․특허 기초’ 과목의 교수․학습 방법 실태 및 요구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발명․특허 기초’ 과목 담당 교사들이 현재 활용하고 있는 교수·학습 방법, ‘발명․특허 기초’ 과목 담당 교사들이 인식하는 가장 바람직한 교수·학습 방법, ‘발명․특허 기초’ 과목의 교수·학습 운영상의 요구 사항과 어려운 사항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는 전국 48개교의 고등학교에서 ‘발명․특허 기초’ 과목을 담당하는 교사 또는 지도한 경험이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인 학습 활동의 비중이 높은 모듈은 강의를 활용한 비율이 높았고, 실습과 관련된 학습 활동의 비중이 높은 모듈에서는 프로젝트, 실험․실습, 토론, 조사 등을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발명․특허 기초 과목의 담당교사는 교수․학습 운영에 필요한 교수․학습 방법과 관련하여 이론중심의 강의보다는 학생중심의 체험과 실습을 중심으로 하는 실험․실습, 프로젝트, 사례연구, 현장학습 등에 대한 요구 사항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발명․특허 기초 과목의 교수․학습 운영 시 고려해야 할 중요 요구 사항 에 대한 동의 정도는 전반적으로 높았다. 특히, 출신 대학에 따른 교수․학습 운영 시 요구 사항에 대한 집단간 차이에서는 사범계가 비사범계보다 전반적으로 높게 응답하였다. 넷째, 발명․특허 기초 과목의 교수․학습 운영 시 어려운 사항들에 대한 동의 정도는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업무과다로 인한 수업 준비 부족, 교육 시설 및 기자재 부족, 교과에 대한 사전지식 부족, 학생의 개인차 고려 어려움, 학생의 흥미와 관심 부족 등을 어려운 사항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공군 전투조종사 비행복 착용특성 및 만족도 조사

        이아람 ( Ah Lam Lee ),남윤자 ( Yun Ja Nam ),유화 ( Yu Hwa Hong ),소정 ( Sojung Im ),채근 ( Chae Keun Lim ) 한국의류학회 2016 한국의류학회지 Vol.40 No.4

        This study investigates Korean fighter pilot``s usage and satisfaction of a flight duty uniform (FDU).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2014 to March 2015 using Focus Group Interview (FGI) and questionnaires. FGI collected qualitative data about duty and requirements; subsequently, surveys were performed to collect quantitative data about wearing conditions and satisfaction with FDU. The results of the FGI and the questionnaire were as follows. Type of pilot duty was divided into two parts, flight duty and ground duty. It is important to consider duties as well as factors related to survival when developing FDU. According to anthropometric data and wearing size, the basic size for apparel grading should be changed from actual size, ‘M95XL’ to ‘M100L’. It is also necessary to improve the whole sizing system. Further studies about body form changes in pilot``s movement are needed to improve mobility because the respondents perceived some restrictions at several body parts in movement with the coverall uniform. Summer FDU had a low satisfaction level in vent hole function and appearance. Furthermore, protection problems in the vent hole were also an issue. Making a seasonal classification of FDU fabric will be more effective than a vent hole to increase a pilot``s thermal satisfaction. Respondents had a passive stance towards FDU reform (including pocket change); therefore, a new FDU design strategy should concentrate on improving current FDU functions like mobility (or comfort) rather than dramatic changes. Pilots complained about the quality stability of FDU; therefore, quality control by military administration as well as concrete and clear design instructions by the developer should be attained together.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an important basis for the further development of FDU.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