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범죄피해자에 대한 경제적 지원제도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법제 검토 : 범죄피해자보호법을 중심

        임예윤(Lim, ye yun) 한국피해자학회 2021 被害者學硏究 Vol.29 No.1

        범죄피해자보호법의 제정으로 강력범죄피해자에 대한 다양한 보호・지원제도가 운영됨에 따라 강력범죄피해자와 그 가족은 신체적・정신적 피해에 대한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범죄피해자가 피해 이전의 삶으로 돌아가기 위해서는 피해자의 욕구를 반영한 보호와 지원이 필요하다. 따라서 국가차원의 구조와 더불어 민간영역의 복지적, 보호 차원의 활동이 매우 중요하다. 범죄피해자지원센터는 범죄피해자보호법에서 명시하는 범죄피해자지원법인으로, 2003년부터 현재까지 범죄피해자 보호・지원 분야에서 활동 범위를 확대해가며, 민간단체로써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범죄피해자에게 경제적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원상회복을 돕고, 피해자 보호를 위한 다양한 사업을 전개해 나가고 있다. 그러나 범죄피해자보호법은 국가의 책무를 중심으로 정책적 성격을 띄고 있으며, 보호와 지원에 관해서는 구체적인 절차와 내용은 미흡한 실정이다. 제도적인 측면에서도 범죄피해자 보호・지원의 중요한 영역인 경제적 지원이 검찰과 센터, 두 개의 창구로 이원화되어 있어 운영과 예산 측면에서도 효율적 집행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고에서는 범죄피해자에 대한 보호와 지원으로서 경제적 지원제도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범죄피해자보호법을 중심으로 법제의 정비를 검토하고자 한다. 범죄피해자의 구조(救助)를 넘어서 원상복구를 위한 보호・지원이 보다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호・지원의 대상범위에 대해 살펴보고, 경제적 지원은 민간으로의 사무 위임 등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범죄피해자보호・지원 활성화를 위하여 법률상 지원법인의 구체적인 운영규정 마련을 제안하였다. 본 고를 통해 범죄피해자에 대한 경제적 지원제도의 체계화 및 전문성을 확대하여 범죄피해자의 회복과 성장에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With the enactment of the Crime Victims Protection Act, various protection and support systems for violent crime victims are in operation, allowing violent crime victims and their families became able to receive support for physical and mental damage. In order for the victims of crime to return to their lives before they were damaged,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victims desires and continue to protect them in the local community. Therefore, in addition to the structure at the national level, the welfare and protection activities of the private sector are very important. The Crime Victim Support Center is a crime victim support corporation specified in the Crime Victim Protection Act. From 2003 to the present, it has expanded its scope of activities in the field of protection and support for victims of crime, and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as a private organization. In particular, by providing economic support to victims of crime, they help recovery and carry out various projects to protect victims. However, the Act on the Protection of Victims of Crime has a policy characteristic centered on the responsibilities of the state, and regarding protection and support, specific procedures and contents are insufficient. In the institutional aspect, economic support, an important area of protection and support for crime victims, is divided into the prosecution and center, making it difficult to operate and to efficiently execute the budget. Therefore, in this study,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crime victim support center s economic support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reform of the legal system, focusing on the Crime Victim Protection Act. I will examine the scope of protection and support so that protection and support for restoration to the original state beyond the compensation of crime victims can be made more systematically, and it was proposed to delegate economic support to the center. In addition, In order to revitalize the protection and support for victims of crime, it was proposed to prepare specific operating regulations for support corporations under the law.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practical help to the recovery and growth of crime victims by expanding the systematization and expertise of the crime victim support center s economic support system.

      • KCI등재

        고학력 경력단절 여성의 비정규직 재취업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조소연(So-Yeon Cho),임예윤(Ye-Yun Lim)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5 아시아여성연구 Vol.54 No.1

        본 연구는 비정규직으로 노동시장에 재진입한 세 명의 고학력 경력단절 여성의 이야기를 내러티브 탐구(narrative inquire)의 방법으로 재구성한 것이다. 연구 결과, 경력단절 후 연구참여자의 삶은 “행복한 지옥”처럼 상반된 감정과 상황이 교차하고 반복되는 것이었다. 과거의 삶을 그리워하면서 경력단절 후 삶을 무기력하게 여기기도 했고, 다시 가사와 양육, 직업이라는 “여러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해 고군분투하기도 했다. 연구참여자의 삶에서 재취업의 의미는 ‘끊어진 것을 잇고’, ‘상실된 것을 되찾으며’, ‘새로운 것을 찾는’ 노력이었으며, 이것은 ‘끊어지고, 사라진 자신, 혹은 무(無)였던 자신’의 존재를 찾고 해방되는 과정이었다. 그러나 이들의 해방은 아직 물리적, 정신적으로 완전하지 않은 ‘미완의 해방’이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연구참여자는 경력단절 후 재취업과정에서 일과 가정 양립이 어려운 한국 사회에 ‘피투’(Geworfenheit)된 자신을 반성적으로 성찰함으로써, ‘기투’(Entwurf)하는 능동적 체험을 했다. 연구를 통해 연구자는 여성의 모성을 강조하는 한국 사회와 기혼 여성을 배제하는 노동시장, 미흡한 보육 제도를 재발견했고, 이를 연구자 자신의 ‘이야기를 하고 다시 사는’ 과정으로 전유하면서 여성 노동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has reconstituted the stories of three highly-educated women with discontinued careers who reentered the temporary job market, using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 participants view their lives, after career interruption, as a “happy hell”. This means they face two opposite feelings and situations at the same time or repeatedly. They miss their past working life, and find themselves too helpless due to career interruption. Also, they struggle to balance their responsibilities at home, like housework and childcare with finding a new job. It’s like trying to catch two birds with one stone. Reemployment in the participants’ life is the process of finding themselves and getting free from home. The women try to discover themselves so that they begin to understand not only themselves but also others. In Korean society, career and maternal roles are not compatible. The participants reflect on themselves as “being thrown into the society”, and experience “re-throwing themselves into the society”. Through the stories of participants, I have rediscovered that Korean families and society still emphasize the motherhood ideology, thus married women are excluded from the job market, while the childcare system is limited and insufficient. I, as a researcher, appropriate the stories of participants by telling the story and reliving them.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