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擊蒙要訣」 초간본과 현전본에 관한 서지적 연구

        임영란 한국서지학회 2013 서지학연구 Vol.54 No.-

        This study examines GyeokmongYogyeol, presumed to be the first printed book, and looks into the 27 types of woodblock-printed editions of Gyeokmong Yogyeol extant in Korea in the following order of historical research: compilation background and composition; publication and circulation; the system of editions; and the time of publication of the extant edition. GyeokmongYogyeol comprises of the writer's introduction, 10 chapters of text and the 2 volumes of the appendix “Jae-ui-cho” written in December 1577 in the 10th year of King Seonjo’s reign. The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trend after the first publication in the 10th year of Seonjo(1577) is roughly divided into three stages: the publication and time of dissemination of the government edition 관판; the time the village/town edition 방판 and the reprint copy appeared; and the appearance of the modern commercial print copy and circulation. The systems of editions are categorized as the block book, the metal print book, and others. The books which were restored once their time of publication was estimated are the Samcheokbu Lee Seong Ghee(李聖基) edition from the 9th year of Hyojong (1658), the Ghee Yong Sooboh edition from the 3rd year of Yeongjo (1727), the Young Yanghyeon revised and published edition from the 25th year of Gojong (1888), the Song Byeongseon edition of 1901, the newly published Yong Hadong edition of the 6th year of Gwangmu (1902), and the newly published Sangseo Yongam edition of 1917 among others. The existing editions of GyeokmongYogyeol have been systemized by time period and pieced together. The printing type began with fifteen-character nine-line editions, then was circulated as eighteen-character nine-line editions after the Hwanghae Gamyeong edition(1629), diversified after the publication of Yulgokseonsaengjeonseo with such types as the twenty-character eleven-line edition which would reduce production cost and the twenty-character ten-line edition which was printed by jaejujeonglija, and was followed by the publication of the Shinyeon printed edition after the time of enlightenment. The ending of the word was heug-eomi for the early version and changed into flower-pattered word endings with the shape of 2-3 leaves as with the passing of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In the block books aside from printed book, 2-leaved flower-pattered word ending became the mainstream. 본 연구는 초간본으로 추정되는 「擊蒙要訣」을 발굴하고, 국내에 현전하고 있는 「擊蒙要訣」의 판본 27종을 조사하여 편찬배경과 구성, 간행과 유통, 판본의 계통, 현전본의 간행시기 고증의 순서로 살펴보았다. 「擊蒙要訣」은 선조 10년(1577) 12월에 쓴 저자의 서문과 본문 10章과 부록 <祭儀抄>의 2卷으로 되어 있다. 선조 10년(1577)에 초간 된 이후의 간행과 유통의 경향은 대략 官版의 간행 및 보급시기, 坊刻 및 飜刻本의 출현시기, 근대적 상업출판본의 출현과 유통의 세 가지 단계로 나뉜다. 판본계통은 목판본, 금속활자본, 기타로 구분된다. 간행시기를 추정하여 복원한 것은 효종 9년(1658) 三陟府 李聖基 간행본, 영조 3년(1727) 箕營 修補本, 고종 25년(1888) 英陽縣 開刊本, 1901년 宋秉璿 간행본, 광무 6년(1902) 用夏洞 新刊本, 1917년 商西 龍巖 新刊本 등이다. 「擊蒙要訣」의 현전본들을 시기별로 체계화하여 종합하였다. 이들 판본에 나타나는 판식의 흐름은 초기의 9행 15자본에서 黃海監營本(1629) 이후 9행 18자본이 유통되기 시작하고, 「栗谷先生全書」 간행 이후 제작비용이 절감되는 11행 20자본과 재주정리자로 찍은 10행 20자본 등으로 판식이 다양해지고 개화기 이후 신연활자본의 간행으로 이어진다. 版心의 魚尾의 모양은 초기본은 黑魚尾이며 임진왜란을 거치면서 2-3葉의 花紋魚尾로 바뀌고 활자본 이외의 목판본에서는 2葉花紋魚尾가 주류를 이룬다.

      • KCI등재
      • KCI등재

        조선조 후기 및 근대 서울·경기지역의 문중문고 전적에 관한 서지적 연구

        임영란,강순애 한국서지학회 2016 서지학연구 Vol.67 No.-

        This is a bibliographical study of 7,844 books of 1,277 types from family collections from the Seoul and Gyeonggi region that can currently be tracked which were formed and developed from the late Joseon era to modern times: namely the Han Sang-eok Collection, Su-dang Collection, Seong-ho Collection, Gyeong Seol-jae Collection, and Seo-gye Collection. I surveyed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each collection ; researched and analyzed the central figures, themes and types of books that were formed with each development stage of the libraries to shed light on the historical and bibliographical characteristics ; and reveal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ntire collections by collection form, print types, themes, and schools of thought.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llection form show that 7 books were published in the 1500s (0.54%), 285 books in the 1600s (22.31%), 305 books in the 1700s (23.88%), 557 books in the 1800s (43.61%) and 123 books from 1900-1940 (9.63%) with the highest ratio of publication being from the 1800s. Each stage of the collection’s development show a different inclination toward theme, type of printing, and book according to the individual collector. As in the Han Chang-su era of the Han Sang-eok Collection and the Min Yong-dal era of the Su-dang Collection, we can observe book collections that show the characteristics of personal collections concentrated on individual interests. The public office term of the individuals who contributed to the libraries influenced whether the books were metal type prints, wooden type prints or block books. Second, the type of prints used are divided into 406 handwritten books (31.79%), 530 block books (41.50%), 160 metal type prints (12.52%), 61 wooden type prints (4.77%), 64 rubbing prints (5.01%), 18 lithographic prints (1.40%) and 38 lead type prints (2.97%). Block books were collected in the highest number, with handwritten books having the second highest number as the result of the individual’s academic studies. The high percentage of handwritten books in libraries such as the Seong-ho Collection can be accounted for advancement in Hakpa, while a high percentage of special prints such as rubbing prints can be analyzed as a tendency toward Gahak. Third, the themes were sorted into 287 Confucian classics (22.47%), 342 books on history and law and administration (26.78%), 155 philosophical works (12.13%) and 493 literary works (38.60%). The collections that are distinguished by themes show a tendency toward Gahak, while individual writings and biographies reflect the family individual’s Hakpa inclinations. Confucian classics were collected to educate the children of the household. The unofficial historical documents of the Su-dang Collection, the documents on traditional rites of the Seong-ho Collection, the divination texts of the GyeongSeol-jae Collection, and the epigraphy studies of the Seo-gye Collection reflect Gahak tendencies. Fourth, the dominance of Hakpa in the beginning of the collections weakened after the 19th century, revealing a more progressive and open character that referred to and accepted many schools of thought in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and the study of rites. Also, the collections showed different levels of Hakpa according to the individual in the collection’s formation stage, which makes it possible to study the changes in Gahak and schools of thought. 본 연구는 조선 후기부터 근대까지 형성․발달한 서울․경기지역의 문중문고 가운데 현황 파악이 가능한 한상억문고, 수당문고, 성호문고, 경설재문고, 서계문고에 소장된 1,277종 7,844책을 대상으로 각 문고별 형성과 발달을 개관하였으며, 문고 형성 시기별 중심인물과 주제별․판종별 구성을 조사 분석하여 각 문중문고의 역사적․서지적 성격을 밝히고, 문고를 종합하여 집서별, 판본별, 주제별, 학파적 특성을 밝혔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서별 특성에 있어 소장본의 간행 시기는 1500년대 7종(0.54%), 1600년대 285종(22.31%), 1700년대 305종(23.88%), 1800년대 557종(43.61%), 1900-45년 123종(9.63%)이다. 각 문고의 형성 시기별 인물에 따라 주제, 판본, 간행본의 집서경향이 다르게 나타나는데, 한상억문고의 한창수 시기와 수당문고의 민영달 시기는 19세기 말 개인의 관심에 집중된 수집문고의 성격을 띠기 시작하였다. 문고 형성에 기여한 인물들의 관직 재임 여부는 금속활자본․목활자본․목판본의 유입에 영향을 주었다. 둘째, 판본별 특성은 필사본 406종(31.79%), 목판본 530종(41.50%), 금속활자본 160종(12.52%), 목활자본 61종(4.77%), 탁본 64종(5.01%), 석판본 18종(1.40%), 신연활자본 38종(2.97%)이다. 목판본이 가장 많으며, 개인의 학술활동의 결과물인 필사본이 그 뒤를 이었다. 성호문고처럼 手稿本의 비중이 높은 경우는 가학이 발달한 것으로 해석되며, 서계문고의 탁본처럼 특정 판본의 비중이 높은 것은 가학의 경향으로 분석된다. 셋째, 주제별 특성은 경부 287종(22.47%), 사부 342종(26.78%), 자부 155종(12.13%), 집부 493종(38.60%)이다. 주제 분류에 의해 두드러지는 집서군에는 가학의 경향이 반영되어 있으며, 별집류와 전기류에는 문중인물의 학파적 경향이 반영되어 있다. 경서류는 문중자제 교육용으로 집서되었다. 수당문고의 ‘잡사류’, 성호문고의 ‘예류’, 경설재문고의 ‘술수류’, 서계문고의 ‘금석류’는 가학의 경향이 반영된 것이다. 넷째, 문고의 형성 초기에 드러나던 학파성은 19세기 이후 퇴색하고 진보적․개방적 성향을 드러내며 경학이나 예학의 주제에 따라 여러 학파의 견해를 모두 참고하여 수용하는 양상을 보인다. 문고의 형성 시기별 인물에 따라 학파적 경향은 다소 차이를 보이며, 가학과 학파 변화 양상을 읽을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