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도시 공공공간에서 영상전시 디자인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임소남(Ren, Xiao-Nan),조정형(Cho, Joung-Hyung) 한국공공디자인학회 2021 공공디자인연구 Vol.2 No.-

        본 연구는 도시 공공공간을 연구범위로 하여 국내외 도시에서의 영상전시 현황을 조사하여 영상전시 디자인에 적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고 영상전시 디자인의 도시 공공공간에서 필요성을 제기한다. 연구방법은 해외 관련 사례를 조사하여 도시 공공공간 영상전시 디자인의 발전상을 파악하고, 영상전시 디자인의 표현방식을 연구하여 도시 공공공간에서의 필요성을 분석한다.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상전시 중 화면 크기가 시각 체험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둘째, 영상전시 과정에서 관람객과 상호작용 부족하다. 셋째, 도시 공공공간에서 영상전시 콘텐츠의 공공성이 약하다. 즉, 도시 공공공간에 영상전시의 상호작용성에 대한 사람들의 욕구 충족이 부족하다는 연구의 결과가 나왔다. 영상의 내용이 상대적으로 단순하여 이를 개선하고 도시 주민의 생활과 밀접한 공공성도 요구된다. 본 연구가 도시 공공공간의 영상전시에 대한 효과적인 디자인 방식과 명확한 발전 방향을 제공하기를 기대 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us of video exhibitions in domestic and foreign cities with urban public spaces as the research scope, finds out how to apply them to video exhibition designs, and raises the need in urban public spaces of video exhibition design. The research method analyzes the necessity in urban public spaces by investigating overseas-related cases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 of urban public space image exhibition design, and researching the expression method of image exhibition design.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First, the screen size during image display may affect the visual experience. Second, there is a lack of interaction with visitors during the video exhibition process. Third, the publicity of video exhibition contents in urban public spaces is weak. In other words, a study found that people s needs for the interactivity of video exhibitions in urban public spaces were insufficient. The content of the video is relatively simple, which improves it and requires close publicity with the lives of urban residents.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an effective design method and clear development direction for image exhibitions in urban public spaces.

      • KCI등재후보

        도시 경관조명에서 미디어파사드 디자인 활용유형과 현황

        임소남(Xiao-Nan Ren),조정형(Joung-Hyung Cho) 한국공공디자인학회 2022 공공디자인연구 Vol.4 No.-

        본 연구는 도시 경관조명을 연구범위로 하여 도시에서의 미디어파사드 디자인 현황을 조사하고 관련 국내외 사례를 조사한 뒤 미디어파사드 디자인의 발전상을 파악하였다. 미디어파사드 디자인의 표현방식을 연구하여 도시 경관조명 층면에서 미디어파사드 디자인 활용 유형을 구분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본 연구는 실현 기술에 따라 미디어파사드 유형을 분류하였고,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LED 조명패널, 두 번째는 LED 디스플레이, 세 번째는 프로젝션맵핑(Projection Mapping), 마지막은 키네틱(Kinetic)이다. LED 조명 패널, LED 디스플레이는 미디어파사드의 분야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지만 에너지 절약과 색상 조정에 있어 더 좋은 기능성을 부족하다는 연구의 결과가 나왔다. 프로젝션 맵핑은 가장 유행하는 영상을 응용하여 보여주는 형식이지만, 넓은 표현공간이 요구되어 도시 공간에서 디자인에 한계가 있다. 키네틱(Kinetic)은 시각 감각과 도형화에 약하지만 에너지 절약과 지속가능한 디자인의 특징과 강점이 있다. 본 연구가 미디어파사드 디자인 분야에 대한 기초 자료와 연구 방향을 제공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us of media facade design in cities, investigates domestic and foreign cases, identifies the development of media facade design, studies the expression of media facade design, and distinguishes media facade design types. This study classified media facade types according to realization technology.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The first is an LED lighting panel, the second is an LED display, the third is projection mapping, and the last is kinetic. LED lighting panels and LED displays are the most basic and widely applied in the field of media facades, but research has shown that they lack better functionality in energy saving and color adjustment. Projection mapping is a form that shows the most popular images by applying them, but there is a limit to design in urban space because a large expression space is required. Kinetic is weak in visual sense and graphics, but has the characteristics and strengths of energy saving and sustainable desig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and research directions for the field of media facade desig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