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전기·후기노인의 자살생각에 대한 영향요인

        임성옥 ( Lim Sung Ok ),김경희 ( Kim Kyung Hee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8 사회복지정책 Vol.45 No.3

        본 연구는 노인의 연령 집단별 자살생각 예측요인의 차이를 확인하고,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간 경로구조를 분석하여 연령군에 따른 노인의 자살생각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실시한 2017년도 노인실태조사의 이차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전체 대상자는 만 65세 이상의 노인 10,299명이다. 이 중 65-74세의 전기노인 5,892명(57.2%)과 75세 이상의 후기노인 4,407명(42.8%)명으로 구분하여 최종 분석하였다. 분석은 SPSS 및 AMOS 프로그램을 이용했다. 주요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자살생각 및 예측요인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자살생각을 제외한 모든 예측요인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건강은 전기노인에 비해 후기노인이 더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경제수준도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만족도는 전기노인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울은 후기노인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효과크기도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기노인과 후기노인 집단 간 경로계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주관적 건강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경로, 주관적 건강이 우울에 미치는 경로, 경제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경로, 그리고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경로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전기노인의 경우, 주관적 건강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경제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력이 후기노인에 비해 의미 있게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후기노인은 전기노인에 비해 주관적 건강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노인자살예방을 위한 사회복지정책 및 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predicting factors of suicide ideation among the elderly and to analyze the pathway structure between the factor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Secondary data from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KIH) were used for the elderly in 2017, and the total number of elderly people aged 65 and older was 10,299. Of these, 5,892 (57.2%) were elderly people aged 65-74, and 4,407 (42.8%) were elderly people aged 75 or older. The analysis used SPSS 18.0 and AMOS 22.0.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icidal ideation between the young-old elderly and the old-old elderly.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edictive variables affecting suicidal ideation among the young-old and the old-old elderly. Subjective health and economic levels were found to be worse in old-old elderly people than young-old elderly people. Life satisfaction was higher in young-old elderly than old-old elderly. And the depression was higher in the old-old elderly than in the young-old elderly, and the effect size was significantly higher.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young-old elderly and the old-old elderly in the path of subjective health, the path of economic satisfaction to life satisfaction, the path of subjective health to depression and the path of depression to suicide ideation. Based on these results, social welfare policies and practical suggestions for suicide prevention of the elderly were suggested.

      • KCI등재
      • KCI등재

        다문화가족 한국인남편의 성격특성과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부부갈등의 매개효과

        임성옥 ( Sung Ok Lim ),강성률 ( Sung Lyul Kang ) 한국가족관계학회 2011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1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their personality on marital satisfaction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marital conflict on personality and marital satisfaction of the korean husband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ubjects were 245 korean husband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Seoul·Gyeonggi area, Daegu·Gyeongbuk area, and Ulsan city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the effect, multiple linar regression (MLR) model was used.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marital satisfaction of the korean husbands was mostly high(3.11 out of 4.0). Second, the conscientiousness and agreeableness of the personality affected positively their marital satisfaction. Third, a most important variable that influenced 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was couple area of conflicts. Fourth, the results showed that marital conflict fully mediated link among openness, extroversion, and partially mediated link among conscientiousness, extroversion and marital satisfaction. But marital conflict not mediated the link between neuroticism of personality and marital satisfaction. These results gave social work implication to improve quality of marital lives of the korean husband from multicultural families.

      • KCI등재

        장애인활동지원제도 실증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연구: 등급판정체계를 중심으로

        임성옥 ( Sung Ok Lim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5 사회복지정책 Vol.42 No.4

        장애인활동지원제도가 시행된 지 5년차로 접어들고 있다. 장애인활동지원제도는 장애인의 자립생활을 위한 핵심 서비스로, 2011년 시행 이후 양적 확대와 장애인의 삶에 많은 긍정적 변화를 가져왔다. 그러나 이러한 긍정적 변화에도 불구하고 제도 시행과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문제제기와 쟁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장애인활동지원제도의 시행에 따른 여러 쟁점 중에서 특히 등급판정체계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등급판정 관련 전문가 대상 FGI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개선사항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급자격의 등급제한을 완전 폐지하고 장애인활동지원제도의 인정조사표만으로 수급자격을 판정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신체기능 및 의료중심적인 현 인정조사항목을 대폭 수정할 필요가 있다. 장애인의 활동지원 욕구와 주거 및 사회환경 등이 대폭 반영되어야 하며, 장애특성 고려영역에서 점수 차이와 중복장애에 대한 인정, 사회환경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과 사회환경 참여욕구 반영 항목, 질병이 있는 경우 급성기로 판정하여 등급판정 기간을 조정할 수 있는 방안 등이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그 외 수단적 일상생활수행능력 일부 항목에서 장애 정도와 관계없이 성별 차이가 나타나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성 인지적 관점에서 현 제도에 대한 정부 차원의 심층적인 연구도 필요하다. 셋째, 수급자격심의위원회의 전문성을 점검·개선하기 위한 제도적 노력이 필요하며, 넷째, 국민연금공단의 조사원 인력 관리가 체계적이고 전문화될 필요가 있다. 전문인력 채용이 확대되어야 하며, 조사인력의 잦은 인사이동은 가급적 지양하고, 주기적으로 등급판정에 대한 재교육 및 해당 사항에 대한 실무지식과 기술 등 심화된 교육 프로그램 제공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대상자를 선별하고 서비스 계획 및 이용지원, 모니터링, 권리구제 등에 대한 국민연금공단의 전문성 확보 노력이 필요하며, 특히 지자체와 분절되어 있는 업무를 연동할 수 있는 체계적이고 제도적인 장치가 필요하다. Four years have passed since the Personal Assistance Service(PAS) for the disabled was introduced on October 2011. The PAS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social service for independent living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ain issues and problems of the grade evaluation system of PAS, which has been revealed many problems since it was launched in October 2011 and then to find the improvement. The research used the literature survey and Focus Group Interview was executed from 9 grade evaluation professionals. This research found the problems of the grade evaluation system of PAS, which was about grade evaluation criteria, grade evaluation areas, grade evaluation committee, visiting investigator and grade evaluation procedures. Based on these findings, Korean Personal Assistance Service needs to consider the following changes, 1) completely abolishing the rating limits of eligibility, 2) significantly modifying the medical and physical function central recognition research area, 3) improving the professionalism of grade evaluation committee, 4) expanding recruitment and efforts to ensure professionalism of fhe National Pension Service organization. 5) The coordination of operations between the NPS and local governments must be strengthened in order to be more efficient.

      • KCI등재

        사회복지학과 전공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에 대한 탐색적 연구: U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임성옥(Sung Ok Lim),이주연(Joo Yeon Lee)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24 복지상담교육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사회복지학과 전공역량의 개념을 정의하고 전공능력 측정 모델을 개발하여 타당화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사회복지학과 전공역량을 도출하기 위해 문헌분석, 학과 수요자 만족도 조사, 전공교육과정위원회, FGI 등을 실시하여 4대 역량, 하위 8대 역량 도출 및 개념을 정의하였다. 이를 토대로 사회복지학과 교수와 현장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1차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전공역량 및 하위역량에 대한 타당화 절차를 거쳤다. 그리고 사회복지학과 4대 전공역량 및 8대 하위역량을 토대로 행동 진술문으로 변환, 신규 예비문항을 개발하고, 2차 델파이조사를 통해 예비문항 내용타당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2차 델파이조사에서 내용타당도가 낮은 2문항을 삭제하고, 사회복지학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예비검사를 실시하여 진단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분석하였다. 요인적재값이 높은 순으로 항목을 선택하여 최종 66문항으로 축약, 전공능력을 측정하는 최종 모델을 확정하였다. 이는 사회복지학과 학생의 전공역량 수준에 대한 진단과 분석 등을 가능하게 할 것이며, 이를 토대로 정량적 데이터에 기반을 둔 교육과정 개선 등 교육의 질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concept of major competencies in th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and to develop and validate a major competency measurement model. Literature analysis, department consumer satisfaction survey, major curriculum committee, and FGI were conducted to define the four competencies and the concept of the lower eight competencies. A Delphi survey (1st) was conducted on social welfare professors and field experts to validate major and sub competencies. Based on the four major competencies and the eight sub competencies of the social welfare department, a new preliminary question was developed, and a preliminary content validity test was conducted through the Delphi survey (2nd) targeting the expert panel group. In the second Delphi survey, two questions with low content validity were deleted, and a preliminary test was conducted for colleg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to analyz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iagnostic tool. The items with the highest factor loading value were selected in order to reduce them to the final 66 questions, and a diagnostic tool to measure major competency was completed. This makes it possible to diagnose and analyze the level of major competency of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fully used by th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to manage the quality of major education, such as improving the curriculum based on quantitative data.

      • KCI등재

        성폭력 전문상담사의 대리외상과 외상 후 성장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조윤진(Jo, Youn Jin),임성옥(Lim, Sung Ok)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21 복지상담교육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성폭력 전문상담사의 대리외상과 외상 후 성장에 관한 경험의 본질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내러티브 연구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경험 상황과 맥락을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폭력 전문상담사는 신체적, 심리․정서적 대리외상을 경험한 것이 구체적으로 드러났다. 피해자가 있던 사건 현장에 자신이 있는 것 같은 침투적 이미지와 이로 인해 신체적인 호흡곤란, 손 떨림, 소리 지르기와 같은 신체화 증상을 경험하였으며, 자신의 집에서도 혼자 있는 것을 무서워했고, 일상생활 유지가 어려울 정도로 무력감과 무기력, 피로감 등 정서적인 어려움을 겪었다. 공공장소에서도 안전감을 느끼지 못하고 범죄 노출에 대한 불안을 떠올리는 등 심리적 외상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피해자의 충동적인 자살생각으로 인한 두려움과 압박감 등 심리적 위기감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폭력 전문상담사가 자신에게 일어난 외상을 대리외상으로 인한 것임을 인지하지 못하고 개인 문제로 이해하여 대리외상 치유와 성장의 노력을 한 것으로 드러났다. 자신에게 일어난 대리외상을 상처로 인지하지 못하고 개인적 차원으로 접근한 상담사는 대리외상과 외상 후 성장을 통해 인간에 대한 신뢰를 재획득하고 대리외상 상처를 피해자 치료 자원으로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함의와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vicarious trauma and posttraumatic growth of sexual violence counselors, and data are collected by narrative research methods. The results of the study that analyzed the experience situation and context of the study participan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specifically revealed that a counselor specializing in sexual violence experienced physical, psychological, and emotional vicarious trauma. She experienced a penetrating image that seemed to be confident in the scene of the victim’s incident and symptoms of physicalization such as physical dyspnea, hand tremor, and screaming. And she was afraid of being alone in his own house, and suffered emotional difficulties such as helplessness, lethargy, and fatigue to the extent that it was difficult to maintain daily life. It was found that he experienced psychological trauma, such as not feeling safe even in public places and recalling anxiety about exposure to crim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y experienced a psychological sense of crisis, such as fear and pressure caused by the victim’s impulsive suicidal thoughts. Second, it was revealed that a sexual violence counselor did not recognize that the trauma that occurred to him was due to surrogate trauma and understood it as a personal problem and made efforts to heal and grow surrogate trauma. It was found that the counselor, who did not recognize the vicarious trauma that occurred to him as a wound and understood it at a personal level, re-acquired trust in humans through vicarious trauma and posttraumatic growth and used it as a victim treatment resource.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of the study were ma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