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 자아통합감 사정도구 개발

        임선영(Lim Sun Young),장성옥(Chang Sung Ok) 한국노인간호학회 2020 노인간호학회지 Vol.22 No.2

        Purpose: The existing ego-integrity assessment tools are mostly self-report tools for elderly community-dwelling individuals. The tools do not sufficiently reflect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elders residing in nursing hom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valid and reliable assessment scale that nursing home nurses can use to measure the ego-integrity of residents. Methods: The assessment tool was tested on 200 elders residing in nursing homes. The 22 nurses in each facility assessed the scale as a measure of ego-integrity in residents in nursing homes.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and AMOS 21.0. Results: Through an explorative factor analysis of the ego-integrity assessment tool items, the following 3 factors were extracted: ‘development of relationships with others’, ‘fulfillment of basic needs’, and ‘attitude towards life in general’; and with the cumulative variance of 68.2%, the tool consisting of 3 factors was found to have a sufficient explanatory power. Furthe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how well the components were evaluated through the items. Testing showed for items’ construct-concept validity through a discriminant-convergent validity analysis, 18 items were found to correspond to each of the 3 factors targeted. The scale’s Cronbach’s ⍺ coefficient was .89, and it had a test-retest reliability coefficient of .88 (p<.001), and analysis of inter-observer reliability coefficient was .94 (p<.001). Conclusion: As a valuable tool for nursing theory and research as well as nursing practice field and education, the assessment tool is anticipated to contribute to the field of geriatric nursing care.

      • KCI등재
      • KCI등재

        식물성 오메가-3계 지방산 급원인 아마씨 및 들깨의 항돌연변이 및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

        임선영(Sun-Young Lim) 한국생명과학회 2009 생명과학회지 Vol.19 No.12

        본 연구에서는 식물 종자들 중에서 특히 α-linolenic acid의 급원으로 대표적인 아마씨와 들깨를 중심으로 Ames 실험을 이용한 돌연변이 유발 및 인체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에 대해 비교 검토하였다. 간접돌연변이 AFB1 (0.7 ㎎/plate)에 대해 들깨 메탄올 추출물은 농도의 증가와 더불어 돌연변이 억제효과가 증가하였다. 첨가농도 2.5 및 5 ㎎/plate일 때 각각 86% 및 94%의 돌연변이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아마씨 메탄올 추출물의 경우도 첨가농도 2.5 및 5 ㎎/plate일 때 각각 74% 및 75%의 항돌연변이 효과를 보였다. 직접 돌연변이인 MNNG (0.6 ㎎/plate)에 대한 들깨 및 아마씨 메탄올 추출물의 항돌연변이성 실험을 한 결과, 첨가농도 1.25 ㎎/plate일 때부터 활성이 나타나 5 ㎎/plate 일 때는 각각 78, 63%의 돌연변이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S. typhimurium TA100 균주에 대한 AFB1과 MNNG의 돌연변이 유발실험에서 두 가지 종자인 들깨와 아마씨는 직접돌연변이원에 대해서보다는 간접돌연변이원에 의해 유발된 돌연변이 저해에 더 효과적이었으며 들깨에 의한 항돌연변이 효과가 더 우수하였음을 관찰할 수가 있었다. 한편, 아마씨 메탄올 추출물을 0.5, 1, 2 ㎎/㎖의 농도별로 인체 위암세포(AGS)에 처리했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가 증가하여 1 ㎎/㎖ 첨가농도에서 64%의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보였고, 2 ㎎/㎖ 농도에서 79%의 높은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들깨 메탄올 추출물의 경우도 아마씨 메탄올 추출물과 유사하게 농도의존적으로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시켰으며 첨가농도 2 ㎎/㎖일 때 68%의 증식 억제효과를 살펴 볼 수가 있었다. 인체 결장암세포(HT-29)의 경우, AGS 세포에 처리했을 때처럼 아마씨 메탄올 추출물은 첨가농도 0.5 ㎎/㎖에서부터 활성을 타나내어 첨가농도 2 ㎎/㎖에서는 72%의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들깨 메탄올 추출물의 경우 첨가농도 0.5 ㎎/㎖에서는 43%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나 첨가농도 2 ㎎/㎖에서는 64%로 결장암세포의 증식을 억제시켰다. 인체 간암세포(Hep 3B)에 의한 증식 억제효과는 이상의 암세포에 대한 효과보다 다소 낮았으나 아마씨 및 들깨 메탄올 추출물은 첨가농도 2 ㎎/㎖에서 각각 65% 및 59%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It has been known that Linum usitatissimum and Perilla frutescens are dietary sources of possible chemopreventive compounds such as lignans and α-linolenic acid. Here, we investigated and compared the inhibitory effects of methanol extracts from Linum usitatissimum and Perilla frutescens on mutagenicity using the Ames test, and growth of human cancer cells (AGS human gastric adenocarcinoma, HT-29 human colon cancer, Hep 3B hepatocellular carcinoma cells). In the Ames test system using Salmonella typhimurium TA100, aflatoxin B1 (AFB1)-induced mutagenicity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y treatment with the methanol extract from either Linum usitatissimum or Perilla frutescens (p<0.05) in a dose dependent manner. As for N-methyl-N'-nitro-N-nitrosoguamidine (MNNG)-induced mutagenicity, the methanol extracts (5 mg/assay) from Linum usitatissimum and Perilla frutescens showed 63% and 78% inhibitory rates,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Perilla frutescens possessed stronger antimutagenic activity than did Linum usitatissimum. Inhibitory effects of methanol extracts from Linum usitatissimum and Perilla frutescens on the growth of human cancer cells (AGS, HT-29 and Hep 3B) appeared to increase dose dependently, and the inhibition was more effective against AGS and HT-29 compared to Hep 3B cells. Our results suggested that the methanol extract from Perilla frutescens showed stronger antimutagenic activity than that from Linum usitatissimumas assayed by the Ames mutagenic test, whereas the methanol extract from Linum usitatissimum was more effective than its counterpart for growth inhibition of human cancer cells. It is concluded that intake of Linum usitatissimum and Perilla frutescens as sources of omega-3 fatty acids will be beneficial for preventing cancer.

      • KCI등재

        콩 종류별 항돌연변이 및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 비교

        임선영(Sun-Young Lim) 한국생명과학회 2010 생명과학회지 Vol.20 No.10

        본 연구에서는 대두와 검정콩에 속하는 흑태, 서목태 및 서리태의 항돌연변이 및 암세포 증식 억제 활성을 비교하였다. Ames test를 이용한 항돌연변이 실험에서 간접돌연변이원인 AFB1에 대해 모든 종류의 콩 메탄올 추출물들은 농도 의존적으로 돌연변이 억제 효과가 증가하였다(p<0.05). 대두 메탄올 추출물보다는 검정콩들인 흑태, 서목태 및 서리태 메탄올 추출물에 의한 효과가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검정콩 중에서 약콩이라고 불리는 서목태에 의한 항돌연변이 효과가 높아 첨가농도 5 ㎎/plate일 때 82%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직접 돌연변이원인 MNNG에 대한 각 종 콩 메탄올 추출물들의 항돌연변이성 실험을 한 결과, AFB1에 대한 효과와 유사하게 검정콩 중 서목태에 의한 효과가 높았으며 첨가농도 2.5 및 5 ㎎/plate일 때부터 각각 58% 및 61%로 돌연변이를 억제시켰다. 인체 암세포를 이용하여 대두 및 검정콩 메탄올 추출물들에 의한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를 검토한 결과, 모든 종류의 콩 메탄올 추출물(첨가농도 1 ㎎/㎖)을 인체 위암세포(AGS)에 처리했을 때 50% 이상의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고 대두보다는 검정콩에 의한 효과가 높았으며 흑태, 서목태 및 서리태 메탄올 추출물은 각각 61%, 70% 및 65%의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인체 결장암세포(HT-29)의 경우, 검정콩 메탄올 추출물에 의한 효과가 대두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서목태 메탄올 추출물을 제외하고는 유의적 차이는 살펴 볼 수가 없었다. 인체 간암세포(Hep 3B)에 의한 증식 억제효과는 이상의 암세포에 대한 효과보다 다소 낮았으나 흑태, 서목태 및 서리태 메탄올 추출물은 첨가농도 1 ㎎/㎖에서 각각 51%, 59% 및 52%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어 여기서도 서목태에 의한 억제효과가 높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Ames test를 이용한 항돌연변이 및 인체 암세포 증식 억제 실험에서 검정콩 메탄올 추출물에 의한 억제 효과가 높았고 특히 소립 검정콩에 해당하는 서목태에 의한 생리활성이 우수하였으므로 검정콩에 많이 함유된 색소에 의한 효과라고 추정되며 여기에 대한 향후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compared the inhibitory effects of methanol extracts from yellow and black soybeans (black soybean, Seomoktae and Seoritae) on mutagenicity using the Ames test and growth of human cancer cells (AGS human gastric adenocarcinoma, HT-29 human colon cancer, Hep 3B hepatocellular carcinoma cells). In the Ames test system using Salmonella typhimurium TA100, aflatoxin B₁ (AFB₁)-induced mutagenicity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y treatments with the methanol extracts from either yellow or black soybeans in a dose dependent manner (p<0.05). The methanol extracts from various black soybeans tended to have a greater inhibitory effect compared to those from yellow soybeans. As for N-methyl-N'-nitro-N-nitrosoguamidine (MNNG)-induced mutagenicity, the methanol extracts (5 ㎎/assay) from black soybean, Seomoktae and Seoritae showed 51%, 61% and 53% inhibitory rates,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Seomoktae, a type of black soybean, had a stronger antimutagenic activity against mutagens (both AFB₁ and MNNG). Methanol extracts from black soybeans showed an inhibitory rate of greater than 50% on the growth of human cancer cells (AGS, HT-29 and Hep 3B) and the inhibition was more effective in the methanol extract from Seomoktae. Our results suggested that the methanol extracts from black soybeans showed stronger inhibitory effects on mutagenicity and growth of cancer cells than those from yellow soybean. It is concluded that intake of black soybean can be recommended for improving health.

      • KCI등재

        요양병원 여성 암 환자의 사회적 지지와 암 환자 특이형 외상 후 성장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임선영(Lim, Sun-Young),박혜선(Park, Hye-Sun) 한국웰니스학회 2018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3 No.4

        본 연구는 요양병원 여성 암 환자의 사회적 지지와 암 환자 특이형 외상 후 성장을 파악하고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요양병원에 입원한 여성암환자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한 간호중재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 대상자는 S시 소재의 요양병원 2곳에서 여성 암 환자 10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 결과, 요양병원 여성 암 환자의 사회적 지지는 암 진단 받은 기간(p=.04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삶의 질은 암 병기(p=.048)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요양병원 여성 암 환자의 사회적 지지, 암 특이형 외상 후 성장과 삶의 질의 상관관계는 암 환자 특이형 외상 후 성장(r=.201, p<.05)이 삶의 질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 관계가 있어 암 특이형 외상 후 성장이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은 결과를 보였다. 요양병원의 여성암 환자의 삶의 질에 암 특이형 외상 후 성장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요양병원 여성 암 환자에게 암 진단 받은 기간과 암 병기를 고려한 간호중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암 특이형 외상 후 성장의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여성 암 환자의 삶의 질을 증진시키는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social support and cancer-specific post-traumatic growth and its effect on quality of life in long-term care hospital female cancer patients, to provide base line data for the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 improving quality of life in female cancer patients. The subjects were 101 women at 2 long-term care hospital in S city. As the result, the social support of female cancer patient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period of diagnosis of cancer(p=.042). Quality of life was different by stage of cancer(p=.048). Cancer-specific post-traumatic growth and the quality of life had significant pogitive relation(r=0201, p<.05). Cancer-specific post-traumatic growth significant effects on the quality of life in female cancer patients in long-term hospital. Therefore, we recognize the importance of nursing intervention considering the period of cancer diagnosis and cancer stage in women with canc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female cancer patients by identifying the influence factors of cancer-specific post-traumatic growth.

      • KCI등재

        N-3 지방산 결핍이 혈청 및 신경조직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임선영,Lim, Sun-Young 한국생명과학회 2007 생명과학회지 Vol.17 No.5

        인공사육시스템으로 사육된 n-3 지방산이 결핍된 군 및 n-3지방산이 적절히 함유된 군과 대조군으로 엄마쥐가 직접 수유하여 사육시킨 군의 혈장, 뇌 및 망막의 지방산 조성을 비교 검토한 결과, 혈장의 총 단일불포화지방산은 n-3 지방산 결핍군에서 n-3지방산 적절군과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총 n-3 지방산의 경우에는 n-3 지방산 결핍군에서 94%로 감소하였다. N-6 지방산 계얼 중에서 22:4n-6와 DPAn-6 함량은 n-3 지방산 결핍군에서 n-3 지방산 적절군과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22:5n-3과 DHA의 함량은 94%로 감소하였다(P<0.05). 뇌의 지방산 조성의 경우, 총 포화지방산 함량에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n-3 지방산 결핍군과 비교했을 때 n-3 지방산 적절군과 대조군보다 총 n-3 지방산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뇌의 DHA 함량의 경우, n-3 지방산 결핍군은 n-3 지방산 적절군과 대조군에 비해 그 함량이 58-61% 감소하였고 반면 n-6 계열인 DPAn-6의 함량은 상당히 증가하였음을 살펴 볼 수가 있었다(P<0.05). 망막의 총 포화지방산의 경우 n-3지방산 적절군에서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내었고 총 단일불포화 지방산에서는 대조군에서의 함량이 가장 낮았다. 총 n-6 지방산과 그 중에서 22:4n-6와 DPAn-6의 함량은 n-3 지방산 결핍군에서 n-3 지방산 적절군과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22:5n-3, DHA와 총 n-3 지방산의 함량은 상당히 감소하였음을 살펴 볼 수가 있었다(P<0.05). 이상의 결과로부터 뇌의 지방산 조성, 특히 감소된 DHA 함량과 증가된 DPAn-6 함량은 해마 신경조직의 신경돌기 성장과 뇌 기능에 악영향을 끼치므로 적절한 양의 DHA 함량의 유지가 뇌 기능 항상성에 필수적이라고 사료된다.례하여 증가하지 않았고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4.본 연구에서는 용담댐 유역에 대한 BASINS/HSPF의 적용성을 검증하였으며, 현재 오염총량계산에 있어서 원단위방법에 의한 오염부하량산정의 개선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에서 BASINS/HSPF를 이용한 오염부하량 산정에 대한 적극적인 검토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반된다면, 수준별 수업의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고 본다.수 있는 가능성을 포함하고 있었다. 또한 유입수량의 부족과 현재 수질개선을 위해 적용하고 있는 수중폭기시설등의 물리적인 영향도 직 ${\cdot}$ 간접적으로 작용하였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향후 이에 대한 중장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였고 유역과 저수지의 통합적인 수질관리계획 이 요구되었다.group으로, 용존산소량, 전기전도도, pH, 인산염이 정점 3, 4, 5에서 같은 group으로 묶였다.유의적인 CAT 활성 증가효과가 나타났고, 간조직의 시토졸 1획분에서는 대조군 대비 15${\sim}$27%의 CAT 활성 증가효과가 인정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목초액의 장기간 투여는 간조직 중의 활성산소의 억제효과뿐만 아니라 방어시스템으로서 활성산소 제거효소의 역할도 충실히 수행하여 노화를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sim502^{\circ}C)$의 온도범위(溫度範圍)에서 분해(分解)되며 공기중(空氣中)에서는 $750\sim935^{\circ}F$ 범위(範圍)에서 분해(分解)한다.첫째, 무엇보다 아동이 성장기임을 고려하여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함께 아동들의 식이, 운동습관 및 비만과 관련된 행동의 변화가 생활 가운데 근본적으로 일어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체중 조절 프로그램은 식이 및 운동 지도와 아울 Our previous study suggested that n-3 fatty acid deficiency was associated with significantly reduced spatial learning as assessed by Morris water maze test. Here we investigated an effect of n-3 fatty acid deficiency on rat brain, retina and serum fatty acyl compositions at 15 wks age using a first generational artificial rearing technique. Newborn Rat pups were separated on day 2 and assigned to two artificial rearing groups or a dam-reared control group. Pups were hand fed artificial milk via custom-designed nursing bottles containing either 0.02%(n-3 Deficient) or 3.1% (n-3 Adequate) of total fatty acids as a-linolenic acid(LNA). At day 21, rats were weaned to either n-3 deficient or n-3 adequate pelleted diets and fatty acid compositions of brain, retina and liver were analyzed at 15 wks age. Brain docosahexaenoic acid(DHA) was lower(58% and 61%, P<0.05) in n-3 deficient in comparison to n-3 adequate and dam-reared groups, receptively, while brain docosapentaenoic acid(DPAn-6) was increased in the n-3 deficient group. In retina and serum fatty acid compositions, the decreased precentage of DHA and increased precentage of DPAn-6 were observed.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rtificial rearing method can be used to produce n-3 fatty acid deficiency in the first generation and that adequate brain DHA levels are required for optimal brain function.

      • KCI등재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 자아통합감 관리

        임선영(Lim, Sun Young),장성옥(Chang, Sung Ok) 노인간호학회 2018 노인간호학회지 Vol.20 No.2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the concept of ego-integrity management in nursing homes residents. Methods: Walker and Avant’s process of concept analysis was used in this study. Results: The defining attributes of the concept of ego-integrity management within nursing home residents included (a) overall process in life assessment of residents, (b) quality assessment of the relationship of residents with people around them, (c) inducing transcendental recognition in the residents and (d) use of the remaining psycho-social functional ability of the residents. In consideration of these defining criteria, antecedents to the concept of ego-integrity management include (a) longer period of stay in the nursing home, (b) expanding the role of nurses in long-term care laws, (c) emphasizing positive aspects and recognizing the need to increase the quality of life of elders, (d) close relationship between nurses and residents: psycho-social adjustment management. Consequences include a marked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life of elder residents, decreased depression, reduced problem behavior, gerotranscendence, and a positive relationship to people around them including nurses. Conclusion: Nursing management in these homes to maintain residents’ ego-integrity includes evaluation of residents’ ego-integrity through objective observation, as well as planning appropriate interventions as needed.

      • KCI등재

        필수 지방산 조성이 다른 식이의 docosahexaenoic acid 투여가 흰쥐 뇌 및 간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임선영(Sun-Young Lim) 한국생명과학회 2009 생명과학회지 Vol.19 No.10

        선행된 연구에서 나타난 n-3 지방산 결핍 식이에 DHA 첨가는 뇌 기능 개선효과가 나타났으나 n-3 지방산이 적절히 함유된 식이에 DHA 첨가는 유의적 뇌 기능 향상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 설명으로 본 연구에서는 필수 지방산 함량이 다른 식이, 즉 n-3 지방산 결핍 및 적절군에 각각 DHA를 첨가하여 뇌 및 간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N-3 지방산이 결핍된 식이군(Def)의 체중 및 뇌의 무게는 DHA를 첨가한 식이군(Def+DHA)이나 n-3 지방산이 적절히 함유된 식이군(Adq) 및 DHA 첨가군(Adq+DHA)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뇌의 지방산 조성 결과에서 n-6계 지방산들 중 특히 22:5n-6의 함량이 n-3 지방산 결핍군(Def)에서 현저히 높았으며 20:4n-6 및 22:4n-6의 함량도 이 식이군(Def)에서 높았으나 18:2n-6 및 20:3n-6의 함량은 낮았다(p<0.05). 총 n-3계 지방산 및 22:6n-3의 함량은 예상했듯이 n-3 지방산 결핍군(Def)에서 가장 낮았으며 다른 식이군들과 비교했을 때 약 64% 감소됨을 살펴볼 수가 있었다. 또한 n-6/n-3의 비도 n-3 지방산 결핍군(Def)에서 3.35로 식이군들 중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흥미로운 것은 n-3 지방산 결핍에 DHA를 첨가한 식이군(Def+DHA)의 경우, 뇌의 22:6n-3 함량이 13.1%로 n-3 지방산 적절군(Adq) 및 DHA 첨가군(Adq+DHA)과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간의 지방산 조성 결과에서 뇌의 지방산 조성과 유사하게 n-6 지방산들 중 특히 22:5n-6의 함량이 n-3 지방산 결핍군(Def)에서 현저히 높았으며(p<0.05), n-3 적절군(Adq)의 경우, DHA 첨가군(Adq+DHA)과 비교했을 때 대부분의 n-6계 지방산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N-3 결핍군에 DHA의 첨가군(Def+DHA)은 총 n-3계 지방산 및 22:6n-3의 함량이 n-3 결핍군(Def)에 비해 현저히 높았다(p<0.05). 특히 이 식이군(Def)의 22:6n-6의 함량은 n-3 적절군(Adq) 및 DHA 첨가군(Adq+DHA)보다 더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또한 n-3 지방산이 결핍된 동물(Def)의 간에서 18:3n-3의 함량을 거의 찾을 수가 없었으나 DHA 첨가군(Def+DHA)의 경우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는 n-3 지방산 결핍군(Def)의 경우 거의 모든 18:3n-3가 생체 내에서 고도로 불포화된 지방산으로 전환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n-3 지방산이 결핍된 군의 경우 DHA 첨가로 인하여 뇌 DHA 함량 증가와 더불어 뇌 기능이 개선되었음을 살펴 볼수가 있었다. 반면 이미 뇌의 DHA가 포화상태인 n-3 지방산이 적절히 함유된 식이의 경우 DHA의 부가적인 첨가는 뇌기능 향상면에서는 유의적 효과가 나타내지 않았음을 뇌의 지방산 조성으로 확인 할 수가 있었다. Previous studies have suggested that docosahexaenoic acid (DHA) supplementation into n-3 fatty acid deficient diet improved spatial learning performanc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rain related function when DHA was added into a n-3 fatty acid adequate diet. Here,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adding DHA into an n-3 fatty acid deficient or adequate diet on brain and liver fatty acid composition. On the second day after conception, Sprague Dawley strain dam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s follows; n-3 fatty acid deficient (Def), n-3 fatty acid deficient plus DHA (Def+DHA, 10.2% DHA), n-3 fatty acid adequate (Adq, 3.4% linolenic acid), and n-3 fatty acid adequate plus DHA (Adq+DHA, 3.31% linolenic acid plus 9.65% DHA). After weaning, male pups were fed on the same diets of their respective dams until adulthood. In brain fatty acid composition, the Def group showed a lower brain DHA (64% decrease), which was largely compensated for by an increase in docosapentaenoic acid (22:5n-6). Brain DHA in the Def+DHA group was increased to almost the same extent as in the Adq and Adq+DHA groups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m. Liver fatty acid composition showed a similar pattern to that of the brain, but liver DHA in the Def+DHA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among the diet groups. In conclusion, n-3 fatty acid deficiency from gestation to adulthood leads to decreased brain DHA, which has been shown to be highly associated with poor spatial leaning performance. Thus, adequate brain DHA levels are required for optimal nervous function.

      • KCI등재

        재가노인 방문요양보호사의 낙상관련 대처 경험에 관한 연구

        임선영 ( Sun-young Lim ),박혜선 ( Hye-sun Park ),마예원 ( Ryewon Ma ) 대한통합의학회 2021 대한통합의학회지 Vol.9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and meaning of falls among care workers caring for the elderly. Methods: The participants comprised 10 care work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South Korea.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20, and the data were obtained throug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content analysis method of qualitative research. The main interview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event of a fall, “can you tell us about your experience and how you dealt with the fall?; second, “can you tell us about your role and the role of family members or the center that manages falls that occur outside of nursing visits.”, third, “can you tell us about the difficulties in managing falls based on your experience?”, and fourth, “how are falls that occur during nursing visits managed?”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xperiences of nursing care workers of falls while caring for elders in their homes, five main themes were derived. These were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t home, understanding possible emergency situations, providing caring services, minimizing physical harm, and delivering clear information. Conclusion: A significant finding of this study was that care workers who visit and provide care to elders at home confirmed the need for standard guidelines on appropriate responses in the event of a fall at home and the importance of managing emergencies arising from falls among elders at home. These results highlight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emergency response education programs, such as programs on fall care among nurses and care workers who provide care to the elderly, and for enhanced understanding of the fall risk of elders who live at home.

      • KCI등재후보

        간호대학생과 일반 여자대학생의 스트레스, 우울, 자기효능감 비교

        임선영(Sun-Young Lim),권경민(Kyoung-Min Kwon),정윤경(Yoon-Kyung Jeong),한금선(Kuem-Sun Han) 대한스트레스학회 2010 스트레스硏究 Vol.18 No.2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과 일반 여자대학생의 스트레스, 우울, 자기효능감 정도를 비교하기 위한 서술적 비교 조사연구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시 및 경북 지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의 목적을 설명한 후 참여를 동의한, 간호 대학생 231명, 일반 여자대학생 174명으로 총 405명이었다. 연구도구로는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Kim GH et al.(1991)의 대학생용 스트레스 척도 도구를, 우울은 Jeon GG et al.(1992)가 한국판으로 번역한 것으로 CES-D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자기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 Sherer et al.(1982)이 제작한 자기효능감 척도를 Hong HY(1995)이 번안한 것을 이용하였다. 이 연구의 자료분석방법은 간호 대학생과 일반 여자대학생의 일반적 특성 및 스트레스 정도, 우울, 자기효능감간의 비교는 카이검정을 하였으며, 간호 대학생과 일반 여자대학생의 스트레스 정도, 우울, 자기효능감간의 비교는 t-test로 분석하였다. 또한 간호대학생과 일반 여자 대학생의 변수간의 상관분석은 pearson correlation하였다. 본 연구결과 간호 대학생은 일반 여자대학생 비해 스트레스와 우울의 정도가 더 낮게 나타났으나, 자기효능감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간호 대학생과 일반 여자대학생의 스트레스, 우울, 자기효능감과의 상관관계는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우울은 낮아지고, 자기 효능감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tress, depression, self-efficacy between nursing student and the other major university women student.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from 405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and Gyeongbuk area.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d test,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This study compared nursing students study the results of stress and depression than the other major university women student is much lower,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efficacy. Of other major university women student and nursing student and the general stress, depression, self-efficacy correlated with lower stress and depression low, the self-efficacy was hig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