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해사행(己亥使行) 통신부사(通信副使) 황선(黃璿)의 관직생활

        임선빈 ( Yim Seon-bin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8 民族文化硏究 Vol.81 No.-

        이 논문은 1719년에 기해통신사의 부사로 일본에 다녀온 황선의 사례를 통해 조선후기 통신사행 참여가 관직생활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았다. 황선은 1710년 과거 급제를 통해 벼슬길에 나아갔으며, 초기에는 주로 중앙부서의 실무직에 근무하였다. 그런데 ‘專對’ 능력을 인정받아 38세의 젊은 나이로 1719년의 기해사행 통신부사 직무를 수행하게 되면서 그의 관직은 고속 승진을 하였다. 통신사행에 참여하기 전 황선의 관직은 통신부사에 부합하지 않는 낮은 직위였으나, 사행을 떠나기 전 2개월에 걸쳐 여러 차례의 관직 제수를 통해 통신부사 임무를 수행하기에 걸맞는 종3품 관직인 세자시강원 보덕에까지 올랐다. 10개월에 걸친 통신사행을 다녀온 후에는 다시 그 노고에 대한 치하의 의미로 당하관 최고위 품계로 資窮이라고 일컫는 통훈대부를 거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국왕의 특지에 해당하는 備忘記를 통해 당상관인 통정대부에 오르고, 국왕을 측근에서 모시는 승정원 승지에 제수되었다. 황선은 보통 2, 30년이 걸려도 오르기가 쉽지 않은 당상관직을 통신사행 참여로 인해 관직생활을 시작한 지 10년 만에 제수 받았다. 이후 황선은 경종이 즉위하자 세자시강원에 근무했던 인연으로 다시 승지가 되었으나, 3년여 유배생활을 하는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반면에 영조 초에 이르면 가선대부로 승진하고 재상급 관료가 되었으며, 경상도관찰사에 제배되었다. 그러나 1728년(영조 4)에 발발한 무신란에서 경상도 지역의 난을 토벌한 직후 47세의 나이로 군중에서 갑자기 죽었다. 황선의 卒逝에 대해서는 당대는 물론 후대에도 의혹이 분분했으며, 그의 사후 녹훈에 대해서도 논란이 있었다. 그러나 마침내 황선은 좌찬성에 증직되고, 忠烈이라는 시호를 받았으며, 후손들도 녹용될 수 있었다. 한편, 경상도 지역민들에 의해 황선의 훈적을 기리는 사우 愍忠祠가 세워졌는데, 이 사우는 중앙 조정의 정국동향과 서원정책에 따라 훼철과 복원이 진행되기도 했다. 황선의 관직생활을 사례로 선택하여 자세히 검토해본 결과, 일본통신사의 통신부사경력이 그의 승진에 큰 도움이 되었으며, 국왕을 측근에서 모신 직무가 관직생활의 진퇴에 미친 영향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조선후기 관원의 관직생활을 재구성할 때, 『승정원일기』가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how participation in communication embassy affects the operation of bureaucracy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rough the official career of Hwang Seon, who visited Japan in 1719 as a deputy envoy in Kihae communication embassy. In 1710, Hwang Seon passed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and was mainly given practical positions in the central office in his early days. Then, he was on the fast track promotion not until 1719, when he started to perform the deputy envoy in age 38 during Kihae communication embassy visit, getting credit for his ‘expertise (專對)’ ability. Before he participated the trip, his position was too low to meet the stands of the deputy envoy position. However, over 2 months prior to the trip, he was constantly assigned a position until he became first tutor in Academy for the Crown Prince (世子侍 講院), which was appropriate to serve a deputy envoy position. Even though he didn’t passed Tonghundaebu, which was the first rank position in Danghagwan, and its nickname was ‘nowhere up to go (資窮)’, after 10 months visit, with a direct exceptional order “Bimangki” from the king, he was promoted to Tongjeongdaebu, which was the ministerial rank position (Dangsanggwan) higher than Danghagwan, in recognition of hard work he had done. Also, he was assigned to serve a royal secretary position who closely assists the king in “Seungjungwon”. As a result of participating communication embassy, Hwang Seon was able to win the ministerial rank position in just 10 years, which is the position usually takes more than 20-30 years and still hard to get promoted. Hwang Seon served a royal secretary position after the reign of Gyeongjong, since he had already worked in Academy for the Crown Prince. However, his work performance as the royal secretary also led to his three years banishment. On the contrary, after the reign of King Yeongjo. Hwang Seon was promoted to grand minister Gaseondaebu, and also was assigned to the junior second rank Gyeongsang province governor. However, in the following year (1728), he suddenly died at the war zone at the age of 47, immediately after he defeated the military official uprising in Gyeongsang province. His decease was contentious among his period and even in later generations, and his posthumous award was also controversial. However, Hwang Seon was eventually canonized as a fourth state councilor Jwachansung and the title “Unswerving Loyalty” was granted. Furthermore, his descendants were also hired in royal officials. Meanwhile, “Minchoongsa”―a shrine dedicated to Hwang Seon―was constructed by Gyeongsang province residents, and this shrine was both disposed and restored, depending on the central government situation and its Seowon policy. After examining the case of Hwang Sun's official career in detail as an example, it is confirmed that the communication embassy career of the Japanese ambassador was a great help for his promotion. Also we could find how the work as a royal secretary position had affected his official career. Furthermore,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Seungjungwon Diary” can be used as a useful data when reconstructing the governmental official’s career life in the late Joseon dynasty.

      • KCI등재

        遯巖書院의 건립배경과 賜額 검토

        임선빈 ( Yim Seon-bin ) 조선시대사학회 2018 朝鮮時代史學報 Vol.85 No.0

        Kim Jang-saeng established Donam private Confucian academy(遯巖書院) beside Yangseongdang(養性堂), an auditorium he used to teach his disciples. However, Yangseongdang and Donam private Confucian academy were originally erected in the forest, about 1.7km west from the current Donam private Confucian academy site. It is where Ahhanjeong(雅閑亭), a cottage owned by Choi Cheong-gang(崔淸江) who was scholar-official(文士)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 during early Joseon dynasty, was located. Choi Cheong-gang, a close friend of Kim Jang-saeng’s fifth-great-grandson Kim Kook-gwang, was a person who passed Classics Licentiate Examination(生員試) with the first place and higher civil service examination(文科) right after the exam at the same year in 1438(King Sejong 20). Although the nobles of the day were often crowded in Ahhanjeong, Choi Cheong-gang’s last years were so unfortunate that the descendants could not keep their family prosperity. Ahhanjeong was transferred to the Gwangsan Kim Clan in the middle of the 16th century, and it burned down during Japanese Turmoil in the Cyclical Year Chŏng’yu, 1597 (King Seonjo 30). Kim Jang-saeng, who missed the house, built Yangseongdang at the ground of Ahhanjeong in 1602 (King Seonjo 35), and used it to lecture his disciples for about 30 years until he died. In 1634, the students of Kim Jang-saeng erected Sagye private Confucian academy(沙溪書院), a shrine dedicated to their teacher, beside Yangseongdang. Kim Jip, Kim Jang-saeng’s son, was enshrined at this shrine in 1658(King Hyojong 9). Also, the new name “Donam private Confucian academy(遯巖書院)” was granted by the king in 1660. The origin of “Donam(遯巖)” was commonly known as the nearby “Pig Rock”, but it is also related to the meaning of Donkwae(遯卦) in Zhou’s Book of Changes(周易), which likely came from “Donwong(遯翁)”, the pen name which Zhu Xi used in his old age. Furthermore, Donam private Confucian academy consists of an auditorium Eungdodang(凝道堂), which reproduces the house structure of three generations in China by Kim Jang-saeng’s historical research on Book of Etiquette and Ritual(儀禮) and Seokgung part of The Complete Works of Zhu Xi(朱子大全). It also consists of Keokyeongjae(居敬齋) and Jeongeuijae(精義齋), which depicts both side rooms(夾室) in Zhu Xi’s meeting hall(晦堂). The notions used in this shrine, Yangseong(養性), Donam(遯巖), Eungdo(凝道), Keokyeong(居敬), and Jeong eui(精義), all do not deviate from the scholarly practice and logic of Zhu Xi. Donam private Confucian academy, which initiated as School of the Westerner private Confucian academy, held its status as prime private Confucian academy(首院) of Hoseo scholar-official community until the end of the 17th century, but gradually became Old Doctrine private Confucian academy during enshrinement of Song Joon-gil and Song Si-yeol and exclusion of Yoon Seon-keo. In the 19th century, Donam private Confucian academy was often damaged by flooding as the surrounding terrain and the stream had been changed. Hence, in 1880 (King Gojong 17), it moved to a hillside in the woods to avoid frequent flooding. However, the magnificent auditorium Eungdodang had remained untransferable until 1971, when it could finally be relocated to its present site. Because of this difficult reconstruction process, the building layout of today’s Donam private Confucian academy is different from the original one.

      • KCI등재

        만경노씨 三義士의 ‘역사적 實在’와 ‘記憶된 역사’

        임선빈(Yim, Seon-bin) 한국역사민속학회 2015 역사민속학 Vol.0 No.47

        본고는 임진왜란 때 중봉 조헌의 휘하에서 의병으로 활약하다가 금산전투에서 순절했다고 알려져 있는 만경노씨 三義士가 실제로는 임진왜란 때 죽지 않았다는 역사적 사실을 밝히고, 나아가 역사적 實在와 다르게 기억되고 서술된 후대의 집단기억과 變造된 기록물에 대해 그 과정과 의미를 살핀 글이다. 16세기에 충청도 공주의 한 마을에서 태어난 만경노씨 삼형제는 임진왜란 때 중봉 조헌의 의병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였고, 임란이 끝난 후에도 수 십년간 공주 고을을 대표하는 유생으로 활동하였다. 특히 노응탁은 선조조에 五賢의 문묘종사 논의에 적극적으로 동참하였고, 광해군 즉위 후에는 충청도를 대표하는 유생으로 조헌의 사당이 표충사라는 사액을 받는 일을 주도하였다. 나아가 광해군 원년(1609)에 생원시에 입격하였으며, 광해군 13년(1621)에는 별시 문과에 응시하여 당당히 합격하였다. 그러나 당해 과거시험은 광해군 처가의 인물들이 대거 급제한 부정행위가 지목되어 인조 반정 후 罷榜되었다. 인조 원년(1623) 혐의가 없는 급제자를 대상으로 재시험이 설행되었지만, 노응탁은 아쉽게도 바로 전해인 광해군 14년에 죽었기 때문에 改試榜에 참여하지 못했다. 이러한 광해군 재위시기 노응탁의 활동상에 비추어 볼 때, 만경노씨 가문은 임진왜란 때 왕세자로 공주에 80여일간 머물면서 撫軍司를 진두지휘 하는 등 선조를 대신해 전란극복을 위해 동분서주했던 광해군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이상의 역사적 실재와는 달리 18세기 중엽에 편찬된 『중봉집』 중간본의 부록에 수록된 『幕佐門生同日死節錄』에 만경노씨 삼형제의 한명인 노응환이 임진왜란의 금산전투에서 의병장 조헌과 함께 순절한 것으로 기록되기 시작하며, 19세기 초 성해응에 의해 찬술된 『錦山殉節諸臣傳』에서는 노응환의 입전과 함께 노응탁도 거명되고 있다. 나아가 이 시기에 만경노씨 문중에서는 공주의 사족 및 충청 도내 유생들의 공론을 바탕으로 삼의사 충절에 대한 추숭사업을 1세기 간에 걸쳐 적극적으로 추진한다. 10여 차례 等狀을 작성하여 공주목사와 충청도관찰사 및 예조에 올렸으며, 그 결과 노응환 노응탁은 1831년에 旌褒되었고, 노응호는 1892년에 증직되었다. 특히 1870년에 당대의 巨儒였던 임헌회가 『萬頃盧氏三義士行狀』을 찬술한 것은 삼의사 추숭사업의 畵龍點睛이었다. 이와 같이 만경노씨 삼의사에 대한 후대의 기억이 역사적 實在와 다르게 變造되고, 나아가 변조된 집단기억의 사회화가 진행된 연유는 무엇일까? 아마 임진왜란 때 공주에 장기간 머물면서 국난극복을 위해 동분서주하던 광해군과 매우 밀접한 연고를 지녔던 것으로 추측되는 만경노씨 가문에게는, 인조반정으로 광해군이 축출된 이후 인조와 그의 血孫들에 의해 통치되는 정치상황이 계속되고, 18세기 이후 孝悌와 忠節이 강조되는 시대분위기가 조성되자, 이제 광해군과의 인연을 씻어내고 새로운 충신가문으로 거듭나기 위한 과정이 필요했을 것이다.

      • KCI등재

        특집 : 명재 윤증의 학문과 사상; 명재종택전래자료(明齋宗宅傳來資料)의 현황과 성격

        임선빈 ( Seon Bin Yim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09 儒學硏究 Vol.20 No.-

        이 논문은 파평 윤씨의 노성 정착과정과 명재 종택 거주 인물의 가계, 명재 종택 전래자료의 조사 현황 및 최근의 유물 기탁과 소장현황에 대해 살피고, 명재 종택 전래 고문서를 유형별로 정리하여 소개하였다. 명재 종택 전래 자료는 양적으로 방대할 뿐만 아니라, 질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최근 대부분의 명재 종택 전래 자료가 공공기관에 기탁되었으나, 일부는 종택에서 유출되어 흩어져 있다. 이와 같은 종택 전래자료의 조사와 수집이 긴요하다. 한국학중앙연구원의 마이크로필름 촬영자료(1989)와 국사편찬위원회의 촬영자료(2002, 2004) 및 최근의 기관 기탁문서 등의 철저한 비교를 통해 종합적인 정리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특히 전래 고문서의 정리 및 분석은 연대기 자료 및 문집에 기초하여 이루어지고 있는 기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settlement of the Yun clan of Papyeong in Noseong, the family line of people who resided in Myeongjae`s head house, the present status of materials which have been transmitted in the head house, the head house`s recent entrusting of its relics to public institutions and the relics being currently held by the head house. In addition, the study arranged and introduced ancient documents by the type which have been handed down in the head house. Materials that have been handed down in Myeongjae`s head house are not only quantitively huge but also very valuable in quality. Recently, most of the materials have been entrusted to public institutions, but some were drained from the head house and then scattered. The research and collection of the materials in the head house is important. A comprehensive work to arrange the materials should be carried out through the thorough comparison of microfilm material(1989) by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film materials(2002, 2004) by the National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and materials that had been transmitted in Myeongjae`s head house until recently when they were entrusted to public institutions. Especially, the arrangement and analysis of the ancient documents of the head house will assist a lot in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resent studies being carried out based on chronicle materials and collections of works.

      • 조선초기 왜구의 동향과 충청지역 상황

        임선빈(Seon-Bin Yim)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23 이순신연구논총 Vol.- No.38

        조선초기의 왜구는 내륙 깊은 곳까지 침구했던 고려시대와는 달리 해안 침략과 섬을 노략질하는 수준이었다. 왜선의 척수도 소규모이고 침략 회수도 현저히 줄었다. 이는 안정기에 접어든 동아시아 삼국의 국제정세와도 밀접한 연관을 지닌다. 본고는 이와같은 조선초기 왜구의 동향과 충청지역의 대응양상을 살핀 글이다. 실록을 통해 확인되는 조선초기 최초의 왜구 침구는 양광도(충청도)의 고만량 만호가 병선 3척을 빼앗긴 태조 2년 3월의 기사이다. 이후에도 충청도에는 연해, 고만량, 서산 창포, 남포진, 비인, 충청수영, 당진, 면천, 순성, 결성, 안흥 등에 왜구가 침구하거나 조선 수군과 싸우다가 격퇴당한 기사들이 보인다. 그러나 충청도 지역 왜구 출몰은 경상도나 전라도에 비해 현저히 줄어든 편이다. 조선초기에는 왜구 침구에 대해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대처를 하였다. 이는 새로 개창된 조선왕조의 지방통치정책과도 밀접한 관련을 지닌다. 우선 조선왕조는 지방의 모든 고을에 상주 외관을 파견하기 시작하며, 관찰사를 중심으로 한 행정체계를 구축해 나갔고, 점차 병마도절제사를 지휘관으로 한 육수군(陸守軍)과 수군도절제사(수군도안무처치사)를 지휘관으로 한 기선군(騎船軍)을 운영해 나갔다. 군정의 확보에도 노력했으며, 군정의 과반수가 선군(船軍)으로 이루어졌다. 이는 조선초기의 방어체제가 해안방어를 특화한 모습이라 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세종초에는 상왕으로 군정을 장악하고 있던 태종이 주도한 대마도 정벌도 가능했다. 왜구의 침구가 거의 종식된 세종대에는 성신교린 외교에 입각하여 다시 3포개항과 왜관의 설치, 고초도 어장 개방 등 왜인들의 일정한 경제활동 보장, 세견선 정약 등의 통교체제 확립 등이 이루어졌다. 세종대에는 수직왜인(受職倭人), 항거왜인(恒居倭人)들이 대폭 증가하고, 교역활동도 활발해졌다. 이와 같은 조선 주도의 대왜 관계 설정은 조선의 강한 군사력, 특히 기선군(선군, 수군) 운용에 기반한 것이었다. 한편, 조선 초기에 왜구의 침구가 진정되고 해안이 안정되자 왜구를 피해 내륙으로 교우(僑寓)했던 해안가 고을들은 본래의 지역으로 되돌아갔으며, 해안 방어정책도 산성입보에서 고을의 읍성축조로 바뀌게 되었다. 이 시기 충청도에서도 해안가 고을을 중심으로 많은 읍성이 축조되었다. 그러나 세종대에는 이미 왜구의 침구가 종식되어 가는 상황이라, 이후 축조된 읍성은 실제 왜구와의 전투에 활용되지 않았다. Unlike in the Goryeo Dynasty when Japanese dwarf pirates invaded deep inland, they only plundered islands and coastal areas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Both numbers of pirate ships and aggression counts significantly decreased. This phenomenon is also closely related to the international situation among East Asian countries, which have established a stable period. This article examines the movement of Japanese pirates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among with the situation and response from the Chungcheong-do region. The first invasion from Japanese pirates recorded in Sillok(Veritabl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happened in March during the second year of King Taejo's reign, when Gomanryang Manho in Yanggwang-do(old name of specific region, which includes Chungcheong area) got stolen his three warships. Soon after that, there were numerous records of conflicts between Joseon Navy and Japanese pirates in Yeonhae, Gomanryang, Seosan Changpo, Nampojin, Bi-in, Chungcheong Suyeong, Dangjin, Myeoncheon, Sunseong, Gyulseong, and Anheung, which were all located in Chungcheong-do Region. Still however, However, the number of pirate’s emerge in Chungcheong-do has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Gyeongsang-do and Jeolla-do.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active measures were taken against pirate’s invasions. These action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newly established local governing policy. Resident officers were dispatched to all local villages, and administrative system focused on provincial governors was established. Gradually, two types of military organization were operated – land army [Yooksugoon] commanded by deputy provincial army commander, and warship navy [Gisungoon] commanded by deputy provincial naval commander. Government also had put efforts in providing more soldiers, and more than half of soldiers were belonged in naval force [Sungoon]. This can be said that the defense system in the early Joseon Dynasty was specialized in coastal defense. As a result, during beginning of King Sejong’s reign, retired King Taejong who was in command of total military system was able to conquer Daema-do Island (Tsushima Island). During Sejong’s reign when pirate’s invasion was almost resolved, Joseon reopened three main ports, and established Japanese trade office. They also assured stable economic activities of Japanese in ways such as permitting them to fish near Gocho-do Island. Furthermore, annual trading ship named Segyeonsun were promised between two countries. These diplomatic relationship was secured based in the idea of ‘Sincerity and Trust Relationship [Sungshingyorin]’. As a result, number of Japanese who lives in Joseon’s main ports or become governal officers increased, among with trade activities. This new relation led by Joseon was built from Joseon’s strong military force, especially in usage of Gisungoon. Meanwhile, when the invasions of pirates calmed down and the peace of coastal areas stabilized, people who escaped to inlands returned to their hometown, and the coastal defense policy which used mountain fortress as barricades [Sanseong-Ipbo] changed into numerous constructions of Town castles in each villages [Eupsung-chookjo]. Starting from this period, great number of town castles were also built in coastal villages in Chungcheong-do region. However, since plundering from Japanese pirates almost came to an end in Sejong’s reign, those new castles did not come in actual use for defending Japanese pirates.

      • KCI등재

        조선시대 ‘海美邑城’의 축성과 기능변천 : 충청병영성에서 호서좌영으로

        임선빈(Yim Seon-Bin) 湖西史學會 2011 역사와 담론 Vol.0 No.58

        본 논문은 사적 제 11 6호로 지 정 되어 있는 ‘해미읍성’의 축성 과 규모, 조선시대 전·후기의 기 능변화에 대해 고찰한 글이다. 충청도 내포지 역에 위치한 ‘해미 읍성 ’은 원래 고을 치소성인 읍성으로 축성된 것이 아니고, 충청 병여성으로 축조된 것이다. 해미의 충청병영성은 여말선초 잦은 왜구의 출몰을 경험했던 조선초기에 내포의 외적 방어 중심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세워진 것이다. 태종은 순성된 강무를 통해 직접 이곳을 돌아보고 병여성 축성의 적지를 살펴보았다. 늦어도 세종 3년(1421)까지는 병영성이 완성되었으며, 그 규모는 하삼도의 다른 내성성에 비해 조금도 손색이 없는 것이었다. 해미 의 병영성 에 는 수렵을 익혔기 때문에 말을 잘 타고 행동이 날렵한 신백정 이 배속되 기도 했는데,이 또한 여 말부터 내포에 자주 출몰한 왜구를 의식한 조치였다. 조선전기 해미의 충청병영성 에 는 전 입 병 마절도사와 함께 병마우후, 심약, 5 명 의 군관, 375 명 의 유방병, 수십명의 나장, 차비군,공장, 다수의 이속과 수백명의 노비가 거주하고 있었다. 이러한 병영 안에는 오륙백칸에 달한 공해와 창고가 갖추어져 있었으며, 충무공 이순신이 선조 12년(1595)에 군관으로 부임했을 뿐만 아니라, 선조 28년(1595)에 병사로 부임했던 원균의 송덕비가 세워졌던 것으로 추측된다. 조선후기에는 임진왜란을 통해 확인된 내포지역의 전략적 중요성 감소, 내포에 충청 병영과 수영이 함께 위치함으로써 야기되는 병 ·수사 지대로 인한 내포지역민의 과도한 부담 경감, 충청·감영·병영·수영이 모두 충청우도에 위치하였기 때문에 호서좌도에 생긴 치안공백의 해결등을 위해 충청병영 이 해미에 서 청주읍성으로 이치되자 반양리에 있던 해미현 치소가 해미 의 옛 내상성 안으로 옮겨졌다. 그런데 충청벙영의 청주 이치 직후 ‘ 해미읍성’ 안의 구 병영은 실화로 소진된 바 있으며, 이 후에 도 공해 의 수축이 있었으므로, 조선후기 기록에 등장하는 해미 읍성내의 공해와 창고 등 시설물은 조선전기의 병영성과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조선후기 해미읍성은 현의 치소일 뿐만 아니라, 현감이 영장 겸 토포사를 겸한 호서좌영에 해당 하였으므로 일반 관아와는 디른 기능과 문화적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해미읍성’의 발굴조사 및 정비 복원은 이와 같은 점이 충분히 고려된 상황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해미읍성’을 교육자료로 활용할 때에도 조선전 후기의 달라진 기능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historical changes of 'Haemieupsung', the Historic Site No.116 of National designated Cultural Assets. The existing 'Haemieupsung' is a castle of barracks in Choongchung-do, which was built between the late period of King Taejong and the early period of King Sejong in order to make preparation against the invasion of Japanese pirates into Naepo. In the banoacks in Haemi in early Joseon, there were one Provincial Army District Commander, one Vice Army District Commander, one Simyak, five commissioned officers, 375 soldiers stayed for defense, dozens of Najangs and Chabiguns, 15 craftsmen, several lower-class public officials, and hundreds of slaves, and public buildings and warehouses with 5 ~600 compartments. In Chunghuhjeong, which was built in the barracks III the 22th year of King Seongjong (1491) and continued to exist until the mid-eighteenth century, scripts of bureaucrats, poets, and calligraphers of Joseon remained. Meanwhile, Admiral Lee Sunsin worked in the Haemi Barracks as a commissioned officer, and Won Kyun was in office as Choongchung Byungsa. In the second year of King Hyojong (1651), the Choongchung Barracks in Haemi was transfelTed to Chungjoo, and the old balTacks in Haemi became a eupsung as the Chiso (a government office) of Haemihyun was moved into it. However, the Haemjeupsung in late Joseon was not a mere Chiso (a government office) but had it own fun ctions and cultural properties di fferent from typical government offices because it was the Hoseojoayong (a government office for Hoseo region) in which the Hyungam (a small country magistrate) of Haemi was the same time Yongjang (the head of a Yong) and Toposa (an office for cathing thieves). The hi storical changes of Haemieupsung between the early and the late Joseon should be suffi ciently considered in the excavation, restoration, and maintenance of, and the use of educational material of 'Haemieupsung'.

      • KCI등재

        충청감영 역사기록 정리의 성과와 과제

        임선빈(Yim Seon-bin) 역사문화학회 2008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1 No.2

        이 논문은 조선후기 公州에 있었던 忠淸監營에 관한 歷史記錄과 연구 성과를 살핀 글이다. 공주의 충청감영에 대해서는 1990년의 선구적인 논고 이후 10여년간 후속연구가 없었다. 다행히 2002년의 충청감영 公州開營 400주기를 맞이하여 지방자치단체의 지원과 관심에 의해 관련 사업과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최근에는 학술적인 논문도 여러 편 발표되었다. 그러나 아직도 연구 성과의 축적은 기초적인 수준에 머물고 있다. 監營의 구체적인 運營實態및 行政體系, 감영의 財政構造와 監營文化에 대해서는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이 남아 있다.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역대 觀察使들에 대한 傳記的연구도 필요하다. 충청감영 연구의 활성화와 관련 콘텐츠의 활용을 위해서는 충청감영에 관한 역사기록 자료의 발굴과 수집ㆍ정리가 긴요하다.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등 주요기관 소장자료와 역대 충청도관찰사를 지낸 인물의 후손들이 간직하고 있을 충청감영과 관련된 成冊文書와 古文書 등을 체계적으로 조사하고, 발굴ㆍ수집해야 할 것이다. 또한 충청감영문화를 일반인에게 널리 알리고 문화콘텐츠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중요한 자료를 선별하여 譯註ㆍ發刊하는 작업도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자료의 수집과 가공에는 연구자만이 아니라, 관련 기관이나 단체의 적극적인 지원과 관심도 필요하다.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historical records and research findings in regard to the Chungcheong Gamyeong(監營;a provincial governor’s office) in Gongju(公州) in late Chosun Dynasty. There was a ten-year period of absolutely no follow-up studies on the Chungcheong Gamyeong after the first pioneering one in 1990. It’s fortunate that the local government decided to grant its attention and support to the related projects and researches in the anniversary of its 400 years in 2002. In recent years, several treatises have been published, as well. However, its research results still remain in the fundamental stage of accumulation. There are a lot of aspects to shed light onto regarding the specific operational status and administrative system, financial structure, and culture of Gamyeong. Those areas need research efforts, and so do biographic researches on the lives of the Chungcheong-do Gwanchalsa(觀察使;provincial governors.) It’s urgent to discover, gather, and arrange the historical records and materials about Chungcheong Gamyeong in order to activate its researches and utilize the concerned contents. Systematic efforts to investigate, discover, and gather data should be made for the materials housed at major institutions such as Gyujanggak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Jangseogak of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and for the books and old documents about Chungcheong Gamyeong possessed by the descendants of the Chungcheong-do Gwanchalsa(provincial governors.) It’s also necessary to pick out important data and materials, translate them with notes, and publish them in order to promote the culture of Chungcheong Gamyeong to the public and utilize it as the source of cultural contents. The concerned agencies and organizations must show active support and interest to the process of gathering and processing those materials along with researcher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조선 선조대 이산보의 관직생활

        임선빈 ( Yim Seon-bin ) 청계사학회 2021 청계사학 Vol.23 No.-

        본고는 16세기 후반 선조대의 동서분당과 임진왜란 초기의 중요한 인물임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학계에서 큰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던 이산보의 관직 생활에 대해 살폈다. 이산보는 문집을 남기지 않았고, 그가 주로 활동했던 선조대의 실록은 실록편찬을 위해 작성하여 춘추관에 보관하던 시정기조차 모두 왜란으로 불타 없어진 상태에서 실록을 편찬했기 때문에, 연구에 활용할 자료의 한계가 많다. 본고는 정엽이 지은 이산보 행장, 『선조실록』과 『선조수정실록』, 그 외의 관련 자료들을 습유하여 비판적 검토를 하면서 이산보의 가계와 생장, 관직에 나아가는 과정과 당하관까지의 실무 관직 생활, 당상관직 재임과 정치 활동, 임진왜란 발발 이후 전란 수습을 하기 위해 동분서주 하던 중 병을 얻어 타계하기까지의 관직 생활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산보는 고려말 조선전기 혁혁한 가문인 한산이씨로, 목은 이색의 7대손이다. 이산보의 선계는 이곡-이색-이종선-이계전-이우-이장윤-이치-이지무-이산보로 이어지며, 조부인 이치부터 충청도 보령에 거주했다. 이산보는 숙부인 이지함으로부터 학문을 배웠으며, 30세에 문과를 통해 관직에 나아갔다. 이산보는 예문관 검열을 시작으로 홍문관, 사헌부, 사간원 등 삼사의 요직과 이조 정랑을 지냈으며, 45세에는 정3품 당상관인 승지에까지 이르렀다. 이후 53세까지는 정치관료로서 활발한 활동을 했으며, 52세에는 성절사 정사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이러한 이산보의 관직 제수에는 선조의 특지가 여러 차례 작용하였다. 그런데 이 시기가 동서분당이 이루어진 직후로 동인과 서인간의 당쟁이 치열했기 때문에 기축옥사와 건저의 사건 등에서 이산보도 자유로울 수 없었다. 유배까지 다녀오지는 않았지만 여러 차례 파직을 경험했다. 임진왜란 발발 당시 파직으로 관직에서 물러나 있었던 이산보는 전쟁이 발발하자 평소의 충성스런 관직자답게 피난길에 오른 선조를 찾아가 의주까지 호종했으며, 전란의 와중에서 중책인 이조판서에 제수되어 전란극복을 위해 동분서주하면서 활동하였다. 55세에는 의정부 좌참찬에 제수되어 무군사 당상으로 왕세자인 광해군을 모시고 최전방에서 전란 극복에 애쓰다가, 56세인 선조 27년 4월에 과로로 쓰러지고 병이 들어 타계하였다. 이와 같은 이산보의 헌신적인 삶은 조선시대 전형적인 문신 관료의 삶이면서도 충성스런 관직자의 삶이었다. 명곡 이산보(1539~1594)는 토정 이지함의 학문 영향을 받았으며, 율곡 이이(1536~1584)), 우계 성혼(1535~1598), 송강 정철(1536~1593) 등과 같은 서인의 당색을 지니고 있었다. 반면에 이산보와 사촌이며 동갑으로 어려서 숙부 이지함으로부터 함께 학문을 익혔던 아계 이산해(1539~1609)는 동인으로 활동했으며, 임진왜란 발발 초기에는 이산보의 활약과는 달리 서인의 탄핵을 받아 파면되기도 했다. 선조대의 초기 동서분당 과정에서 한 집안이면서도 각각 서로 다른 길을 걸었던 이산보와 이산해의 관직 생활을 이해하는 데에도 본고가 다소의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문집이 남아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관찬 자료인 실록조차 내용이 소략하고 편파적인 선조대 전반기의 인물에 대해서, 관련 자료를 습유하여 비판적 검토를 하면서 수행한 본 연구가 이 시대 인물의 사례연구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official life of Yi San-bo during King Seonjo’s reign in the latter half of the 16th century. When the factional split between Easterners and Westerners developed and the Japanese in-vasions, or Imjin War, occurred, he was an influential figure but has never drawn much attention in academia. Worse, there are few histor-ical data left about him. He does not have a literary collection and moreover, all of the historians’ daily record of events in the bureau of state records for the Annals of King Seonjo were burnt up during the Imjin War. Thus, research had to be based on the other related materials such as the restored Annals of King Seonjo, the Revised Annals of King Seonjo, and Jeong Yeop’s “Biographical Account of Yi San-bo.”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m is compared with each other and or-ganized as follows: his birth, lineage, and growth, his years before gov-ernment service, years in office as a low ranking official, years in office as a high ranking official and of political engagement, and his last years taking care of the aftermath of the Imjin War. All of them are inves-tigated in this article. On top of that, his life is portrayed, contrasted with his cousin Yi San-hae who studied under the same teacher Yi Ji-ham but belonged to the opposite fac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