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국내 방사선 측정장비 보유 현황 및 교정 현황 조사

        임상욱,최진호,안소현,조광환,이상훈,이레나,조삼주,Lim, Sangwook,Choi, Jinho,An, Sohyun,Cho, Kwang Hwan,Lee, Sang Hoon,Lee, Rena,Cho, Sam Ju 한국의학물리학회 2016 의학물리 Vol.27 No.1

        치료장비의 정확한 정도관리를 위해서는 선량측정기의 주기적 교정이 중요하다. 국내 방사선종양학과에서 사용하는 교정대상 측정기는 이온전리함, 온도계, 기압계 및 서베이미터 등이 있다. 현재 국내 교정기관에서 권고하고 있는 교정 유효 기간은 6개월에서 1년이나 최근 제조사 및 외국 교정기관에서는 2년의 유효기간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측정기의 특성에 따른 가장 합리적인 교정주기의 설정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ILAC-G24 지침서(2) 등을 기반으로 국내 방사선종양학과에서 사용하는 측정기들의 최적의 교정주기를 설정하기 위한 기초단계로 불확도, 측정기의 사용 빈도, 사용 방법, 장비의 안정도 등을 조사하여 향후 측정장비의 적절한 유효 기간 도출의 기본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조사 방법은 온라인 설문조사도구인 SurveyMonkey를 이용하였으며 조상대상은 전국의 18개의 대학병원으로 이중 15개 기관에서 응답하였다. 설문조사 질의 내용은 작성자 정보, 온도계, 기압계, 서베이미터, 기준이온전리함, 소조사면 측정장비 및 근접치료용 우물형 전리함으로 구성하였고 총 64문항으로 모두 응답시 약 50분간의 시간이 소요된다. 조사대상의 과반수 기관에서 온도계와 기압계의 교정을 실시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서베이미터는 6개월에서 1년 정도로 교정주기가 비교적 짧았다. 본 조사를 바탕으로 측정장치별 최적의 교정주기를 결정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eriodical calibrations of radiation detectors are important for accurate quality assurance of therapeutic linac. The measuring instruments such as ion-chamber, thermometer, barometer, and survey meter should be calibrated periodically. Period of calibration for these instruments is suggested 6 month to one year in Korea and two years in other countries nowadays. Therefore, the determination of reasonable period for calibration is needed. In this study, we plan to utilize the results of these survey; frequent in use, how to use and stability of instruments, to determine the optimized period of calibration for the instruments in the departments of radiation oncology in Korea based on the ILAC-G24. The SurveyMonkey web-based survey tool was used and the objects of survey were 18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in university hospitals, and 15 departments were answered. The 64 questionnaires which supposed to be answered in 50 minutes were classified as the information of candidates, the thermometer, the barometer, the surveymeter, and the ion-chamber. The thermometers and the barometers were not under periodical calibration for more than half of candidates. The periods of calibration of surveymeters were 6 month to 1 year. We expect that the calibration period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se survey results.

      • KCI등재후보

        열전쌍마스크를 이용한 호흡모사팬톰 연구

        임상욱(Sangwook Lim),안승도(Seung Do Ahn),박성호(Sung Ho Park),이병용(Byong Yong Yi),이상훈(Sang Hoon Lee),조삼주(Sam Ju Cho),허현도(Hyun Do Huh),신성수(Seong Soo Shin),김종훈(Jong Hoon Kim),이상욱(Sang-wook Lee),권수일(Soo Il Kwon)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5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3 No.4

        목 적: 호흡동기치료, 호흡조절 방사선치료 등 호흡에 관련된 치료법의 연구를 위해 열전쌍마스크(Respiration Monitoring Mask: ReMM)를 이용한 호흡모사팬톰을 개발하였다. 대상 및 방법: 호흡신호에 따라 실시간으로 움직이는 호흡모사팬톰을 제작하였다. 열전쌍으로 환자의 호흡을 측정하고, 측정된 호흡 신호와 장기의 움직임을 비교․분석하여 팬톰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환자의 호흡 측정에는 본원에서 개발한 ReMM을 사용하였으며, 호흡모사팬톰의 운동은 RPMⓇ (Real-time Position Management, Varian, USA)으로 측정하였다. 횡격막 부위의 장기 운동을 확인하기 위하여 X-선 투시기를 사용하였다. 결 과: X-선 투시영상과 RPMⓇ으로 관찰한 장기의 움직임을 ReMM으로 측정한 호흡 신호와 비교했을 경우, 각각 표준편차 9.68% 및 8.53% 이내에서 일치하였다. 호흡 신호에 따른 팬톰 운동의 오차는 호흡진폭에 대하여 표준편차 8.52%이내에서 일치하였다. 결 론: ReMM은 환자가 호흡을 하는데 불편함이 없었고, 열전쌍에서 발생되는 호흡 신호를 이용한 호흡모사 팬톰은 장기의 운동을 실시간으로 잘 모사하였다. 호흡모사팬톰은 호흡동기치료 등 다양한 치료법의 평가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Purpose: To develop the respiration simulating phantom with thermocouple for evaluating 4D radiotherapy such as gated radiotherapy, breathing control radiotherapy and dynamic tumor tracking radio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The respiration monitoring mask (ReMM) with thermocouple was developed to monitor the patient's irregular respiration. The signal from ReMM controls the simulating phantom as organ motion of patients in real-time. The organ and the phantom motion were compared with its respiratory curves to evaluate the simulating phantom. ReMM was used to measure patients’ respiration, and the movement of simulating phantom was measured by using RPMⓇ. The fluoroscope was used to monitor the patient's diaphragm motion. Results: Comparing with the curves of respiration measured by thermocouple and those of the organ motion measured by fluoroscope and RPM, the standard deviations between the curves were 9.68% and 8.53% relative to the organ motion, respectively. The standard deviation of discrepancy between the respiratory curve and the organ motion was 8.52% of motion range. Conclusion: Patients felt comfortable with ReM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ignal from ReMM and the organ motion shows strong correlation. The phantom simulates the organ motion in real-time according to the respiratory signal from the ReMM. It is expected that the simulating phantom with ReMM could be used to verify the 4D radiotherapy.

      • KCI등재

        뇌병변장애인의 근로 경험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 분야에 종사하는 뇌성마비장애인을 중심으로-

        임상욱(Sangwook Lim),전지혜(Jihye Jeon) 경북대학교 사회과학기초자료연구소 2021 연구방법논총 Vol.6 No.1

        뇌병변장애인은 장애인복지법에서 정하는 15개 장애유형 중 지체장애인 다음으로 출현율이 높지만, 고용을 비롯한 사회참여는 활발하지 못하다. 그 원인으로는 중증과 중복장애의 비율이 다른 장애유형보다 높은 특성과 일반고용에서의 뇌병변장애인 적합직종의 부재가 지적되고 있다. 2000년대 들어오면서 자립생활운동의 확산과 장애인일자리사업추진으로 사회복지 분야에서 뇌병변장애인의 고용이 다소 늘어난 측면도 있으나, 그들의 역할과 근로환경에 대한 관심은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복지 분야에 종사하는 뇌병변장애인 사례를 바탕으로 조직에서의 역할, 근무환경, 근로의미는 무엇인가를 알아보고, 향후 뇌병변장애인의 고용촉진 및 사회참여 활성화를 위한 정책 대안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10년 이상 사회복지 분야 종사 경험이 있는 뇌병변장애인의 9명의 사례를 조사였으며, 개별심층면접을 통해 질적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뇌병변장애인의 근로경험은 취업전후로 구분되었는데, 중분류는 6개, 소분류 범주는 13개로 나타났다. 취업 전에는 ‘차별경험’, ‘복지분야 취업기회경험’으로, 취업 후에는 ‘개인특성과 조직특성의 부조화로 인한 어려움’, ‘근로환경과 직무에 대한 적응’, ‘자립경험’, ‘고용정책 변화에 대한 요구’로 범주화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뇌병변장애인의 근로환경 개선을 위해 공공부분 장애인일자리사업의 체계화와 특성화, 이들의 고용안정과 효율적인 직무수행을 위한 전문적인 인력 양성과 배치, 장애특성을 살릴 수 있는 직무부여, 뇌병변장애인에 대한 인식개선 및 심리상담 지원체계 등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Among the 15 types of disabilities prescribed by the Disability Welfare Act, people with brain lesions have the highest incidence after those with physical disabilities, but are not active in social participation including employment. The reasons for this are the characteristics of having a higher ratio of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than other disability types, and the absence of suitable occupations for brain lesion disorders in general employment. In the 2000s, the spread of independence movements and the promotion of job program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have led to a slight increase in the employment of people with brain lesions in the social welfare field, but interest in their roles and working environment i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role, working environment, and meaning of work in the organization based on the case of the brain lesion disorder in the social welfare field, and discusses policy alternatives to promote employment and social participation of the brain lesion disorder in the future. I wanted to. For this study, 9 cases of people with brain lesions with more than 10 years of experience in social welfare were surveyed, and subject word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work experience of people with brain lesions was classified into before and after employment, with 6 in the middle category and 13 in the small category. The results of the middle classification are"Experience of discrimination" before employment and"Experience of employment opportunities in the welfare field", and after employment,"Difficulties due to disparity between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Adaptation to the working environment and job", "Experience of independence", It was categorized as a"requirement for change in employment policy". Based on this, the implications of the work experience of people with brain lesions include systematization and specialization of job program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 public sector, training and placement of professional human support for their employment stability and efficient job performance, and work that can utilize the characteristics of disabilities. It was discussed the need to assign roles, improve awareness of people with brain lesions, and prepare a psychological counseling support system.

      • KCI등재

        Invivo Dosimetry for Mammography with and without Lead Apron Using the Glass Dosimeters

        유수정,임상욱,마선영,서선열,김영재,강영남,금기창,조삼주,Yu, Su-Jeong,Lim, Sangwook,Ma, Sun Young,Seo, Sun-Youl,Kim, Young-Jae,Kang, Young-Nam,Keum, Ki Chang,Cho, Samju Korean Society of Medical Physics 2015 의학물리 Vol.26 No.2

        본 연구는 유방촬영술을 시행할 때 유방인접조직의 생체내선량 측정을 통해 방호복 착용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유방검진을 받는 일반 여성 중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정확히 이해하고 동의한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유방촬영시 유리선량계를 이용하여 측정을 실시 하였다. 유리선량계의 교정값을 구하기 위하여 팬텀(ACR phantom)을 이용하여 촬영 변수중 각각 관전압과 관전류의 중간값(27 kVp, 120 mAs)고정 시 mAs와 kVp를 변화시켜 장치에서 계산된 선량을 얻어 유리선량계 소자의 교정값을 구하였다. 측정 그룹은 방호복을 착용하지 않는 A 그룹과 착용하지 않은 B 그룹으로 나누었다. 생체내 선량측정 특성상 동일한 환자를 대상으로 반복 촬영을 할 수 없음으로 A 그룹은 좌 우 유방촬영에 따라 인접 정상조직의 선량이 차이가 없을 보고자 하였다. B 그룹은 한쪽 유방은 방호복으로 차폐를 하고 다른 쪽 유방은 방호복으로 차폐를 하지 않음으로 그 차이를 보고자 하였다. 인접 정상조직 측정에는 갑상선, 검사반대측 유방, 하복부로 각각의 부위에 유리선량계를 위치시켜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유방촬영 시 입사표면선량은 A그룹의 경우, 왼쪽유방 상하방향 검사 시 갑상선은 0.0692 mGy, 오른쪽 유방은 0.6790 mGy, 하복부의 선량은 0.0122 mGy로 나타났고, 오른쪽 상하방향 검사 시에는 각각 0.0607 mGy, 0.4062 mGy 그리고 0.0166 mGy로 측정되었다. B그룹의 입사표면선량은 왼쪽유방 상하방향 검사 시 갑상선, 오른쪽 유방, 하복부의 선량이 각각 0.0922 mGy, 0.8575 mGy, 0.0150 mGy로 나타났다. 방호복을 착용한 오른쪽 상하방향 검사는 갑상선이 0.0158 mGy, 왼쪽유방은 0.0286 mGy, 하복부가 0.0173 mGy의 선량을 보여 갑상선과 유방의 선량이 대폭 감소되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모니터의 유선선량을 관찰해 보면 A, B그룹 모두 권고값인 3 mGy 이하의 선량값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 유방촬영시 환자의 결정장기가 받는 표면선량은 모두 기준치 이하의 선량을 보였으나 방호복 착용에 따른 선량 저감 효과를 볼 수 있어 방호복의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the usefulness of lead apron for critical organs near the breast under examining. For clinical experiment, 30 female volunteers who agreed to their participation in the experiments, were chosen and divided into two groups, 15 in group A and 15 in group B respectively. group A is to see whether each side of breast under mammography affects to other side glandular on the critical organs is same, because it is not allowed to scan the both breast for same person or to scan repeatedly. Group B is to see the effectiveness of lead apron during the mammography of right breast. Glass dosimeters were placed on the thyroid, the contralateral breast, and lower abdomen where near the breast during examining. The average glandular doses on the surface in mammography of the thyroid gland, the contralateral breast, the lower abdomen were 0.0692 mGy, 0.6790 mGy, and 0.0122 mGy, respectively, which was an extremely low level of glandular dose. In group B, as to the thyroid gland, average dose was decreased from 0.0922 mGy to 0.0158 mGy. The average dose of contralateral breast was decreased from 0.8575 mGy to 0.0286 mGy. The average doses of lower abdomen was decrease 0.0150 mGy to 0.0173 mGy. As to the lower abdomen, dose decreased from 0.0150 mGy before the use of an apron down to 0.0173 mGy after the use. As p-value was under 0.05,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Wearing an apron can have the protective effects on the thyroid gland up to 20 times lower than not wearing one. Besides, it is also necessary to protect the other breast during the examination by wearing one.

      • KCI등재

        호흡연동방사선치료시 폐암과 간암환자의 병소 움직임 크기에 따른 선량분포 차이 분석

        김영국,임상욱,최지훈,마선영,정태식,노태익,Kim, Youngkuk,Lim, Sangwook,Choi, Ji Hoon,Ma, Sun Young,Jeung, Tae Sig,Ro, Tae Ik 한국의학물리학회 2014 의학물리 Vol.25 No.4

        호흡연동방사선치료(respiratory-gated radiation therapy)법을 적용한 세기조절방사선치료(intensity-modulated radiation therapy, IMRT) 시 환자의 호흡에 의한 장기 움직임 크기에 따른 계산된 선량분포와 측정된 선량분포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치료를 완료한 폐암과 간암 환자 4명을 선택하였다. 한 환자당 5개의 조사면 총 20개의 조사면을 갠트리 각도를 모두 $0^{\circ}$로 변경하여 치료계획시스템(Eclipse Ver. 8.1, Varian Medical Systems, Inc., USA)으로 다시 계산하였다. 치료계획과 동일한 조건으로 각 IMRT 조사면을 2차원 이온전리함배열(MatriXX, IBA Dosimetry, Germany)을 자체 제작한 호흡모 플랫폼(respiratory simulating platform)위에 놓고 0, 1.0, 2.0, 및 3.0 cm 씩 호흡 움직임을 모사하여 일반적으로 치료에 사용되는 연동창 범위인 30~70% 위상을 선택하여 호흡연동방사선치료법으로 조사하여 선량분포를 측하였다. 계산된 선량분포와 측정된 선량분포의 2차원적 비교를 위해 소프트웨어(Omni-pro I'mRT, IBA Dosimetry, Germany)를 이용하여 3 mm/3%의 기준으로 감마 지표(gamma index)로 비교하였다. 움직임이 없을 때 감마 지표의 합격률이 평균 98.63% 였으며, 움직임을 1.0, 2.0, 3.0 cm으로 모사할 경우 합격률이 각각 평균 98.59%, 97.82%, 95.84%로 낮아졌다. 따라서 실제 환자에 대해 호흡연동방사선치료법을 적용한 세기조절방사선치료 시 병소의 움직임이 2 cm가 넘을 경우 ITV (internal target volume) 여유분을 크게 설정하거나 연동창을 좁게 선택하여야한다. To see the discrepancies between the calculated and the delivered dose distribution of IMRT fields for respiratory-induced moving target according to the motion ranges. Four IMRT plans in which there are five fields, for lung and liver patients were selected. The gantry angles were set to $0^{\circ}$ for every field and recalculated using TPS (Eclipse Ver 8.1, Varian Medical Systems, Inc., USA). The ion-chamber array detector (MatriXX, IBA Dosimetry, Germany) was placed on the respiratory simulating platform and made it to move with ranges of 1, 2, and 3 cm, respectively. The IMRT fields were delivered to the detector with 30~70% gating windows. The comparison was performed by gamma index with tolerance of 3 mm and 3%. The average pass rate was 98.63% when there's no motion. When 1.0, 2.0, 3.0 cm motion ranges were simulated, the average pass rate were 98.59%, 97.82%, and 95.84%, respectively. Therefore, ITV margin should be increased or gating windows should be decreased for targets with large motion ranges.

      • KCI등재후보

        CT 기종에 따른 CT 수의 변화가 선량계산에 미치는 영향

        조광환,이석,조삼주,임상욱,허현도,민철기,조병철,김용호,최두호,김은석,권수일,Cho Kwang Hwan,Lee Suk,Cho Sam Ju,Lim Sangwook,Huh Hyun Do,Min Chul Kee,Cho Byung-Chul,Kim Yong Ho,Choi Doo Ho,Kim Eun Seog,Kwon Soo Il 한국의학물리학회 2005 의학물리 Vol.16 No.4

        CT 기종에 따라서 전자밀도에 대응하는 CT 수의 변화와 치료계획 시 선량계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5종의 CT를 이용하여 전자밀도 교정 팬톰의 영상을 얻어 기종에 따른 CT 수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조직등가물질의 밀도에서 CT 수는 ${\pm}2\%$ 내의 차이를 보였으나 밀도가 큰 영역에서는 최대 $9.5\%$의 차이를 나타냈다. CT 수의 변화가 치료계획의 선량계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환자의 흉부 영상을 이용하여 장기별로 선량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최대 $0.48\%$로 거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밀도가 큰 물질이 인체 내에 삽입되어 있을 경우를 가정하여 물팬톰에 CT 수가 2,000인 고밀도 물질을 삽입한 팬톰 영상을 치료계획장치에 그려 넣었다. 고밀도 물질 아래 20 cm 깊이에서 선량 계산을 비교한 결과 $2.1\%$의 차이를 보였다. 치료계획 단계에서 선량 불확도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사용되는 CT 기종에 따른 CT수와 전자밀도의 정확한 환산이 필요하며, 특히 한 기관에서 여러 종류의 CT를 이용하는 경우 각 CT 별로 전자밀도에 대응하는 CT 수를 입력하고 서로 구별하여 사용하여야한다. 또한 CT수의 재현성을 확인하기 위해 주기적인 점검이 요구된다. The CT number corresponds to electron density and its influence on dose calculation was studied. Five kinds of CT scanners were used to obtain Images of electron density calibration phantom (Gammex RMI 467), Then the differences between CT numbers for each scanners were ${\pm}2\%$ In homogeneous medium and $9.5\%$ in high density medium.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T number to dose calculation, patients' thoracic CT images were analyzed. The maximum dose difference was $0.48\%$ for each organ. It acquired the phantom Images inserted high density material in the water phantom. Comparing the doses calculated with CT Images from each CT scanner, the maximum dose difference was $2.1\%$ in 20 cm in depth. The exact density to CT number conversion according to CT scanner is required to minimize the uncertainty of dose depends on CT number Especially the each hospital with various CT scanners has to discriminate CT numbers for each CT scanner. Moreover a periodic quality assurance is required for reproducibility of CT number.

      • KCI등재

        Qualitative Evaluation of 2D Dosimetry System for Helical Tomotherapy

        마선영,정태식,심장보,임상욱,Ma, Sun Young,Jeung, Tae Sig,Shim, Jang Bo,Lim, Sangwook Korean Society of Medical Physics 2014 의학물리 Vol.2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 개발된 2차원 토모테라피 선량측정 시스템의 가능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방사선이 조사되면 가시광성을 내보내는 인광판을 원통형 물팬텀에 삽입하였다. 치료계획장치에서 원 모양, C자 모양, 다중표적 3종류의 가상의 표적을 만들고 각 표적에 10 Gy의 방사선을 전달하도록 하였다. 원통형 팬텀을 토모테라피 치료테이블위에 올려놓고 치료계획대로 방사선을 조사하였다. CCD카메라로 쵤영된 모든 프레임은 누적되었고 각 픽셀은 선량으로 변환되었다. 인광판으로부터 나온 영상은 치료계획장치에서 계산된 선량분포와 비교하였다. 선량기울기(dose rate)와 픽셀값의 관계그래프는 선량기울기 900 MU/min 까지 포화(saturated)되지 않았다. 인광판의 선형성 보정이 개선된다면 인광판과 CCD카메라를 이용한 토모테라피의 2차원 선량측정이 유용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the feasibility of the newly developed 2D dosimetry system using phosphor screen for helical tomotherapy. The cylindrical water phantom was fabricated with phosphor screen to emit the visible light during irradiation. There are three types of virtual target, one is one spot target, another is C-shaped target, and the other is multiple targets. Each target was planned to be treated at 10 Gy by treatment planning system (TPS) of tomotherapy. The cylindrical phantom was placed on the tomotherapy table and irradiated as calculations of the TPS. Every frame which acquired by CCD camera was integrated and the doses were calculated in pixel by pixel. The dose distributions from the fluorescent images were compared with the calculated dose distribution from the TPS. The discrepancies were evaluated as gamma index for each treatment. The curve for dose rate versus pixel value was not saturated until 900 MU/min. The 2D dosimetry using the phosphor screen and the CCD camera is respected to be useful to verify the dose distribution of the tomotherapy if the linearity correction of the phosphor screen improved.

      • KCI등재

        감마지표 분석을 통한 호흡연동방사선치료의 정량적 평가

        마선영,최지훈,정태식,임상욱,Ma, Sun Young,Choi, Ji Hoon,Jeung, Tae Sig,Lim, Sangwook 한국의학물리학회 2013 의학물리 Vol.24 No.3

        일반적으로 호흡연동방사선치료(gated radiation therapy)의 평가를 위해 호흡에 의한 장기의 움직임을 모사하는 움직이는 팬텀(moving phantom)을 사용한다. 표적(target)은 모든 방향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모든 방향의 움직임을 고려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감마지표(gamma index) 분석을 통한 호흡연동방사선치료의 평가방법을 제시하고 움직임영역(motion range)에 따른 적절한 연동창(gating window)의 크기를 알아보고자 한다. 두미축(craniocaudal) 방향으로 움직임을 모사하는 팬텀을 제작하였다. 이 팬텀은 움직이는 받침대(moving platform), 2차원 이온전리함배열(I'm MatriXX, IBA Dosimetry, Germany), 및 고체물팬텀(solid water phantom)으로 이루어졌다. 6 MV 에너지의 광자선을 $4{\times}4cm^2$의 조사면(field size)으로 호흡연동방사선치료 시스템을 이용하여 팬텀을 각각 1, 2, 3, 4, 및 5 cm 만큼 움직이도록 하고 방사선을 조사하였다. 연동창은 각각 40~60%, 30~70%, 및 0~90%으로 설정하였다. 2차원 이온전리함배열은 각 시나리오에 따라 선량분포를 획득하였고 $4{\times}4cm^2$ 조사면으로 정지한 상태에서 조사한 선량분포와 비교하였다. 허용범위를 3%/3 mm로 설정하고 감마지표를 계산하였다. 연동창(gating window)의 크기가 클수록 합격률(pass rate)는 낮아졌고, 운동영역(motion range)이 커질수록 합격률은 낮아졌다. 호흡연동방사선치료를 시행하지 않고 운동영역이 2 cm의 병소를 치료할 경우 합격률은 96% 이하로 현저히 떨어졌다. 그러나 호흡연동방사선치료를 시행하면 합격률은 99% 이상으로 올릴 수 있었다. 운동영역이 4 cm 이상일 경우 호흡연동방사선치료를 하더라도 연동창을 30~70%로 선택할 경우 합격률이 97%를 넘지 못하였다. 그러나 연동창을 40~60%를 선택할 경우 합격률은 99% 이상이었다. Generally, to evaluate gated radiation therapy, moving phantoms are used to simulate organ motion. Since the target moves in every direction, we need to take into account motion in each direction. This study proposes methods to evaluate gated radiation therapy using gamma index analysis and to visualize adequate gating window sizes according to motion ranges. The moving phantom was fabricated to simulate motion in the craniocaudal direction. This phantom consisted of a moving platform, the I'm MatriXX, and solid water phantoms. A 6 MV photon filed with a field size of $4{\times}4cm^2$ was delivered to the phantom using the gating system, while the phantom moved in the 1-, 2-, 3-, 4-, and 5-cm motion ranges. The gating windows were set at 40~60%, 30~40%, and 0~90%, respectively. The I'm MatriXX acquired the dose distributions for each scenario and the dose distributions were compared with a $4{\times}4cm^2$ static filed. The tolerance of the gamma index was set at 3%/3 mm. The greater the gating window, the lower the pass rate, and the greater the motion range, the lower the pass rate in this study. In case treatment without gated radiation therapy for the target with motion of 2 cm, the pass rate was less than 96%. But it was greater than 99% when gated radiation therapy was used. However gated radiation therapy was used for the target with motion greater than 4 cm, the pass rate could not be greater than 97% when gating window was set as 30~70%. But when the gating window set as 40~60%, the pass rate was greater than 99%.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