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5·31 교육개혁이 남녀 대학생 수에 미친 차별적 효과분석

        임병인 ( Byung In Lim ),서혜림 ( Hye Rim Seo ) 한국경제통상학회 2021 경제연구 Vol.39 No.3

        본 연구는 1980년도부터 2018년도까지 총 39개년의 시계열 자료를 ARDL-UECM 모형에 적용하여 5·31 교육개혁으로 도입된 교육정책(대학설립준칙주의, 수시 전형)과 다른 사회경제적인 변수들이 남녀 대학생 수에 미친 장기관계를 추정하여 그 결과들을 분석하였다. 추정결과, 첫째, 대학 설립준칙주의 시행과 수시 전형제도는 남녀 대학생 수에 모두 양(+)의 영향을 미치나, 여자 대학생에게 더 큰 양(+)의 영향을 끼쳤다. 이로써 5.31 교육개혁으로 인해 도입된 대학설립 준칙주의와 수시 전형제도는 여자 대학생에게 더 큰 혜택으로 돌아갔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가구원 수가 줄어들수록, 실질 가구소득이 증가할수록 남녀 대학생 수가 증가하였지만, 여자 대학생 수에 더 큰 영향을 주었다. 이는 남아 선호 인식 약화와 자녀 수 감소와 소득증가로 성별과 무관하게 자녀에 대한 교육 투자를 증가시켰기 때문이라고 보인다. 이상에서 5.31 교육개혁으로 인해 도입된 두 정책과 사회경제적인 변화가 남녀 대학생의 증가에 기여하였지만, 여자 대학생에게 상대적으로 더 유리하여 여자의 대학진학률이 1990년대 후반부터 급격하게 증가하여 2005년 남자를 추월한 뒤 그 추세를 유지하고 있는 현상을 설명해준다. 또한, 5.31 교육개혁 수혜자 집단으로서의 여자 대학생 증가가 2000년대 이후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증가에 기여하면서 경제 활동 참가율의 남녀 격차 축소에 일정 정도 기여하고 있다는 정책적인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This study applies the 39 years time-series data(1980-2018) to the ARDL-UECM model, and estimates the long-term relationship if two educational policies, i.e., the university establishment rules and the early admission introduced by the 5.31 education reform, have an impact on the number of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Empirical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5.31 education reform policy benefits female university students bigger than male students. Second, the less the number of households, the more the household income, the higher the number of both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also meaning that these have greater impact on the number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an male. It results from weakening the perception of preference for boys, a decrease in the number of children, and an increase in income. In these contexts, it can be said that both two policies and socio-economic changes are also beneficial to female university students, and further, the reason why women's university enrollment rate has increased rapidly since the late 1990s, overtaking male students’ rate in 2005 and then maintained those trends. In addition, we derive another following policy implication: more female students have entered the labor market since the 5.31 education reform than before, and thus led to the participation rate of women in economic activity higher, and then contributed to narrowing the gap between male and female’s participation rate.

      • KCI등재

        여성의 가족가치관과 결혼 및 출산의향

        임병인 ( Lim Byung-in ),서혜림 ( Seo Hye-rim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1 保健社會硏究 Vol.41 No.2

        본 연구에서는 미혼 여성의 결혼의향, 기혼여성의 출산, 추가출산의향에 결혼, 자녀, 성역할 가치관이 미치는 효과를 2015년과 2018년의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 복지실태조사』를 사용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실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2015년 이후 3년 동안 미혼 여성의 결혼의향과 자녀가 있는 기혼여성의 추가출산의향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아졌다. 둘째, 미혼 여성과 자녀가 없는 기혼여성은 취업한 경우 결혼, 출산의향에 긍정적이고, 자녀가 있는 기혼여성은 결혼 당시 자가에 거주할 경우 추가출산의향이 더 높았다. 이는 첫 자녀출산 결정에는 취업여부, 첫 자녀 이후 추가출산 결정에는 주거상황이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준다. 셋째, 미혼 여성은 전통적 가족가치관에 긍정적일수록 결혼의향이 높았지만, 기혼여성의 출산의향에 가치관이 주는 방향은 일관되지 않고 혼재되어 있다. 넷째, 국가의 결혼, 출산, 육아에 관한 지원정책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미혼 여성과 기혼여성이 증가하였고, 더 나아가 국가의 적극적인 지원정책이 결혼의향과 추가 출산의향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미혼여성과 자녀가 없는 기혼여성에게는 고용안정에 대한 실효성 있는 정책, 자녀가 있는 기혼여성에게는 현재의 주거안정정책을 보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We examined if the values women have of marriage, childbirth, and gender role affect their intention to marry and to have children. For our analysis, we used logistic regression estim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on data from the 『National Survey on Fertility and Family Health and Welfare』 of 2015 and 2018. Empirical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both unmarried women’s intention to marry and married women’s intention to have an additional childbirth has declined t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xtent since 2015. Second, in both unmarried women and married women without children, being in employment positively affected the intention both to marry and to have a child. Among married women with children, being in employment did not affect the intention to have another child. Having a home of one’s own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intention to have a child. Third, the more positive unmarried women were about family values in the traditional sense, the higher their intention to get married. Married women, however, appeared to have inconsistent and mixed values affecting their intention to give birth. Fourth, an increasing proportion of unmarried or married women were found to think that promoting marriage and childbirth should require the increased support from the government. In conclusion, effective policies for job security are needed for both unmarried women and married women without children. For married women with children, there is a need for strengthening on-going housing policies.

      • KCI등재

        졸업시기 경기변동이 대졸자의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장기적 효과

        임병인(Lim, Byung In),설귀환(Seol, Gwi Hwan) 한국노동연구원 2022 노동정책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청년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노동시장 진입시점 경기변동이 대졸자의 임금수준에 미치는 장기적인 영향을 분석한다. 2007~11년 대학 졸업생을 대상으로 한 임금방정식의 2-stage least squares 추정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졸업시점 거주지역의 실업률 1%p 상승 시 대졸자는 졸업연도에 즉각적으로 12.5%~13.6%의 임금손실을 경험하며, 이 효과는 졸업 이후 4년 시점까지 지속되어 4.3%~5.3%의 임금손실이 발생한다. 둘째, 성별과 학력으로 분할한 부분표본 분석결과, 남성에 비하여 여성의 임금손실 효과가 크지만 남성과 여성 모두 졸업 이후 4년 시점에서는 효과가 모두 사라진다. 학력별 이질적 효과는 명백하게 나타나 졸업연도 기준 전문대학 졸업생은 19.1%, 4년제 이상 대학 졸업생은 8.1%의 임금손실이 발생하고, 졸업 4년 경과 시점에서 4년제 이상 대학 졸업생은 임금감소 효과가 사라지지만, 전문대 졸업생은 여전히 9.4%의 임금감소 영향이 지속된다. 셋째, 균형패널 대상 추정 시 졸업시기 경기변동 영향의 크기가 감소하고, 이는 성별, 학력에 관계없이 일관되게 나타난다. 하지만 여전히 전문대학 졸업생은 졸업 이후 4년 시점까지 지속적인 임금감소를 경험한다. 이상의 실증결과 중 경기 변동이 임금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와 지속기간이 학력수준에 따라 비대칭적으로 나타난다는 분석결과는 청년고용 관련 정책입안에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취약한 집단에 대한 정책적인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런 관점에서 청년내일채움공제와 청년추가고용장려금 정책은 바람직한 정책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long-term impact of business cycle at the time of graduation on the wage of college undergraduates using data from the 2007-2018 Youth Panel. Empirical results of estimating wage equations for them from 2007-2011 are as follows: First, when the unemployment rate, measured in the region where an individual resided at the time of graduation, rises by 1% point, the college graduates immediately experiences a wage loss of 12.5% to 13.6% in the year he/she graduated from college. The effect lasts until 4 years after graduation, resulting in a wage loss of 4.3% to 5.3%. Second, from the subsample analysis divided into gender and education level, wage loss of female is greater than that of male, but the effect fade away after 4 years of graduation regardless of gender. The heterogeneous effects by education level are evident. While 4-year university graduates lose their wage by 8.1%, 2-year college graduates experience wage loss of 19.1%. After 4 years of graduation, wage loss of 4-year university graduates disappears, but 2-year college graduates still suffer from wage loss. Third, the magnitude of the impact of economic fluctuations estimated with balanced panel is smaller than that with unbalanced panel. This result is consistent regardless of gender or educational level. However, even in the balanced panel analysis, the long-term negative effect on 2-year college graduates remains. Of these empirical results, the asymmetric effect in terms of both size and duration depending on the educational level will be a useful information for designing youth employment-related policies. It suggests the need for policies to help relatively vulnerable groups. From this point of view, the mutual-aid project for youth’s asset-building program and the subsidy for employment promotion for the youth can be said to be a desirable policy.

      • 소득세 및 사회복지정책의 소득재분배효과: 한국과 미국의 비교

        임병인(Byung In Lim) 한국재정학회(구 한국재정·공공경제학회) 2003 공공경제 Vol.8 No.2

        본 연구는 『한국가구패널조사』에 Kakwani(1980, 1984)가 개발한 세후지니계수의 분해기법(Decomposition)을 적용하여 1993년부터 1998년까지 6년 동안 한국의 소득세 및 사회복지 지출의 재분배효과를 살펴본 뒤, 미국의 추정결과와 비교한 것이다. 실증분석결과, 미국의 평균소득세율과 이전소득비중, 그리고 소득세누진성지수는 한국에 비하여 높고, 이전소득의 역진성지수는 한국보다 낮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미국 소득세의 누진성지수와 각 유형의 이전소득 역진성지수는 한국의 그것들에 비해 더 크게 세후지니계수의 %변화율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증분석결과는 한국의 소득세법을 개정하여 절대적으로 소득세부담을 높이고, 아울러 사회보장제도 확충을 통하여 지출규모를 증대시키는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해 준다. This study has calculated the tax progressivity index, the average tax rate, the regressivity index of the transfer, and the proportion of the transfer to the pretax income for 1993-1998 to analyze the redistributive effect of them, and then compared the results of U.S.A. so as to find out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e Korean income tax law and the transfer policy including the social safety net. Kakwani (1980, 1984) decomposition method is used in order to see which variables of them and how much have an influence on the percentage change of the after-tax Gini coefficient. According to these empirical measures, the redistributive effect of income tax and social security system of the Korea has been strikingly lower than that of U.S.A. in terms of the average tax rate, the proportion of the transfer to the pretax income, and the tax progressivity index. It means that these policy variables hasn't been well functioned as means for improving the income inequality in Korea. Also, the tax progressivity and the regressivity index of all kinds of the transfer in U.S.A. make the percentage change of the post-tax Gini coefficient improve more than in Korea. The empirical measures suggest that the Korean income tax law should be needed to revise, that is, the income taxes should be increased in the absolute terms to strengthen the redistributive effect of the law and also increase the amount of the payment of many transfers to meet the various social benefit systems.

      • KCI등재

        소상공인/지역기업 : 온누리상품권의 전통시장 활성화 효과 분석

        임병인 ( Byung In Lim ),윤재형 ( Jai Hyung Yoon ) 한국중소기업학회 2015 中小企業硏究 Vol.37 No.4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온누리상품권 수요자측면과 사용자 측면에서의 온누리상품권의 경제적 성과를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들과 경제적 의미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설문조사 응답결과 만으로는 온누리상품권 도입이 전통시장의 매출액과 고객 수를 증가시킨다는 결론을 도출하기는 어려웠지만, 선형회귀추정모형 추정결과에서는 온누리상품권 가맹점의 1일 평균 고객 수가 비가맹점보다 많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로짓모형과 프로빗 모형의 추정결과, 상인회가 존재하는 경우, 가맹점이 될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온누리상품권 수요자측면에서 온누리상품권이 전통시장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말할 수 있다. 둘째, 온누리상품권 사용자측면에서 선형회귀모형을 추정한 결과, 온누리상품권을 사용하는 고객일수록 전통시장을 많이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온누리상품권이 전통시장을 활성화하는 중요한 수단의 하나일 가능성을 시사해 준다. 그러나 그 효과를 증가 또는 지속시킬 수 있으려면 상인회 활성화를 통한 가맹점 확대, 개인구매고객의 1인당 구매한도액을 상향조정하는 등 상품권 보유와 사용 확대 방안들을 적극 개발하여 시행할수 있는 정책들이 요구된다. This paper investigates revitalization effects of Onnuri gift vouchers based on a survey. The survey produces that an introduction of Onnuri gift vouchers increases sales per day and the number of customers, from a perspective of sellers. Moreover, it shows that 28.04% of the increase in sales is attributable to the introduction of Onnuri gift voucher. The linear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Onnuri gift voucher membership has a positive effect on sales per person and the average daily number of customers. Also both Logit and Probit model show that the existence of a merchant organization itself increases the possibility that the sellers become the Onnuri gift voucher member. As for users’ view, holders of Onnuri gift vouchers visit the traditional markets more often than the non-holders from the linear regression results. In conclusion, the Onnuri gift voucher is an important tool to help the traditional markets to increase their sales in the short run. These imply that the policy maker should strengthen both the lock-in effect of the Onnuri gift voucher and the image improvement policy for the traditional market simultaneously so as to enhance and keep its revitalization effect in the long run.

      • KCI등재

        한국의 경제성장과 재정 -평가와 재도약을 위한 정책과제

        김성태 ( Sung Tai Kim ),임병인 ( Byung In Lim ) 한국응용경제학회 2009 응용경제 Vol.11 No.2

        1960년대 초반 이후 초고속성장을 달성하여 온 한국경제는 생산요소 투입증대에 의한 성장전략의 근간이 되어 왔던 생산요소의 생산성이 체감하며 향후 잠재성장력의 감퇴가 전망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한국경제의 잠재성장력을 제고시키기 위한 재정정책을 모색하기 위하여 지난 40여 년간의 경제성장과정에서 나타난 재정의 역할과 기능을 경제성장 단계별 주요 재정정책으로써 살펴본 다음, 조세부담률과 국민부담률의 추이, 조세체계의 변화추이, 성장단계별 정부지출의 변화추이 및 국가채무 추이 등을 다각도로 분석하고, 주요 이슈에 대해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 실증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공공자본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경제성장에 기여하여 왔음이 밝혀졌다. 둘째, 공공자본의 성장기여도는 고도성장기에 가장 높았으며 안정성장기 이후 다소나마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제단계별 정부지출 승수를 추정한 결과, 안정적인 성장기의 정부지출 승수가 높아 정부지출이 경제성장에 기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정부가 경제성장을 주도했다고 해석될 수 있으나, 점차 정부지출의 기여도가 낮아져서 경제가 시장 지향적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시사해준다. 넷째, 한국재정정책의 경기순환 대응 기능을 총지출과 조세수입의 GDP 대응성을 통해 실증한 결과, 재정지출은 경기역행적인 흐름을, 조세수입은 경기순행적인 형태를 보여 우리나라의 재정정책이 자동안정장치로서 기능하여 왔음을 보여주고 있다. 결론에서는 이 같은 경제성장과정에서의 재정역할에 대한 평가와 실증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잠재성장력을 확충하기 위한 재정정책과제들을 제시한다. Korea, which had been grown very rapidly since 1960s, faces the prospect of lowering the growth potential from a continuous diminution in productivity of the production factors and a possibility to drop into a low growth trap. The purpose of our paper is as follows: First, a role and function of the public finance during last 40 years will be evaluated by major economic and fiscal policies by several economic growth-stage. Second, we analyse fiscal-related measures, such as the rates of tax burden and social insurance, tax structure, percent changes in the government expenditure and national debt by the economic growth-stage. Third, we estimate several public capital-related empirical equations. Several findings emerges from their empirical results. Firstly, it is estimated that the public capital has an influence on GDP with a statistically significance. Secondly, a contribution of the public capital to the growth in a stable period is lower than that in the high growth period. Thirdly, measures of the government expenditure multipliers in a stable period is higher. It implies that the government leads an economic growth in Korea during those days. Also, the decrease in the multiplier means that a contribution of the government expenditure to the growth reduces. It says that the economy is moving toward the market. Fourth, responsiveness of total government expenditure and tax revenue to business cycle shows that expenditure is counter-cyclical but tax pro-cyclical, which means that the fiscal policy in Korea is functioning as an automatic stabilizer. Based on the above-mentioned analytic and empirical results, we suggest challenging fiscal issues for raising the growth potential in the concluding section.

      • KCI등재

        중소기업/중견기업/소상공인/지역기업/사례 : 프랜차이즈, 자영업자의 활로인가?: 음식점 업종을 중심으로

        김성태 ( Sung Tai Kim ),김명규 ( Myoung Kyu Kim ),임병인 ( Byung In Lim ) 한국중소기업학회 2014 中小企業硏究 Vol.36 No.3

        최근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의 퇴직이 본격화되면서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보이던 자영업자가 2012년 들어 다시 증가하는데, 그 이유가 베이비부머 세대가 대부분인 50대 이상 연령에서 자영업 창업이 두드러지고 있다는 것이다. 문제는 자영업자가 증가하면서도 그에 걸맞게 경쟁력이 갖추지 않은 채 창업하고, 특히 우려되는 것이 창업자들이 점차 프랜차이즈 사업체를 이용하는 경우가 급증하고 있다는 점이다. 본 논문은 2011년 통계청의 『경제총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프랜차이즈에 가입하고 있는 자영업자 문제를 분석하고 있다. 특히, 본 논문은 경험이 부족한 자영업자들이 선호하고 있는 음식점 업종을 중심으로 프랜차이즈 사업체의 실태를 분석하고, 과연프랜차이즈 사업이 자영업자의 활로가 될 수 있는 지에 대하여 분석하고 있다. 음식점 업종에 속한 사업체의 매출액과 영업이익의 결정요인을 추정한 결과, 9개 세부업종 모두에서 여타조건이 동일할 경우, 프랜차이즈 가입으로 매출액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특정 사업체의 프랜차이즈 가입은 영업이익을 낮추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는 프랜차이즈 가입업체는 본사의 마케팅 및 광고 전략으로 인한 인지도 높고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인테리어 등에서 우월하여 매출액이 높지만, 초기 가맹비 및 인테리어 비용, 로열티 지급, 사실상 가맹점이 납입하고 있는 가맹본부의 광고 및 마케팅 전략 등으로 인해 비용이 동시에 증가하여 프랜차이즈 가입에 따른 비용 증가분이 매출액 증가분을 상회하여 영업이익은 실제로 낮아지기 때문이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종합할 때, 프랜차이즈가입형 음식점 창업이 자영업자의 활로로서 기능하는 것이 쉽지 않음이 실증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Recently, the number of self-employment has increased as the baby boomers who were born in 1955~1963 started to retire increasingly in Korea. The problem is such that the competitiveness of self-employment business does not go along with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businesses. Especially, the entry of a self-employed businessman into a franchise-typed entrepreneurship has increased rapidly. This paper analyzes the problem of self-employed businessmen who participate in franchise business in a restaurant industry in Korea, using the Economic Census data released by the Statistics Korea in 2011. We focus on the success possibility of self-employed businessman who entered the restaurant industry through franchising schemes. We estimated the sales functions and the profit functions for the nine substructural restaurant industries including Korean restaurant, Chinese restaurant, Japanese restaurant, Chicken specialized restaurant, etc. Main findings of our empirical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other things being equal, joining in the franchising makes the sales of business entity increase. On the other hand, the franchise participation, other things being equal, makes the profit of it decrease. Therefore, franchise business may not be a good way out for self-employment business in restaurant industry in Korea.

      • KCI등재

        근로장려세제(EITC)의 소득재분배효과

        임병인 ( Byung In Lim ) 한국경제통상학회 (구 한국경상학회, 한국국민경제학회) 2012 경제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근로장려세제를 시기별로 2011년 개정 전 근로장려세제(이하, 구 근로장려세제)와 2011년 국회 의결을 통해 확정된 2012년 이후 적용 근로장려세제 (이하, 신 근로장려세제)로 구분한 뒤, 2010년『가계동향조사』자료에 적용하여 소득재분배효과를 비교분석한 것이다. 주요 분석결과를 2012년부터 적용되는 신 근로장려세제를 중심으로 요약하면, 첫째, 신 근로장려세제에서는 수혜대상 가구가 많아지고 수혜가구주의 연령이 높아지며, 둘째, 자녀가 없는 여성가구주 비율이 상대적으로 더 큰 혜택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셋째, 신 근로장려세제는 소득재분배효과를 1.51%p가 더 개선시키는 구 근로장려세제(5.38%)보다 소득세제만의 재분배효과를 1.86%p가 더 개선시켜 5.73%의 소득재분배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상에서 신 근로장려세제가 구 근로장려세제보다 더 긍정적인 재분배효과를 보여줌은 물론 근로빈곤층 및 여성가구, 특히 부양자녀가 많은 가구에 상대적으로 더 큰 혜택을 줄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study is to compare redistributive effects of two Korean EITC (Earned Income Tax Credit) systems, which are called an old-Korean EITC and a new Korean EITC to come into force on January 1, 2012, using 2010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released by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eneficiaries of EITC will have been increased since 2012. Second, female household heads without children are expected to have an advantage under the new EITC schemes. Third, the new EITC has bigger redistributive effect of 5.73%, which is even higher than that of the income tax law, than 5.38% of the old one. These results says that the new Korean EITC benefits the working-poor, more female household heads and households with more children than the other types of households.

      • KCI등재

        『가계동향조사자료』로 본 가구주 연령대별 저축률에 대한 영향 분석

        임병인(Byung In Lim),윤재형(Jai Hyung Yoon) 한국산업경제학회 2014 산업경제연구 Vol.27 No.5

        본 연구는 1990∼2011년 『가계동향조사』자료를 이용하여 가구주 연령대별 저축률 추이를 살펴본 뒤, 저축률함수를 추정하였다. 2000년 이후 연령과 무관하게 전반적으로 저축률이 상승하고 있는데, 그 중 50대 저축률이 다른 연령대보다 더 크게 상승하였다. 주요 추정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별 더미변수가 저축률에 미치는 영향은 전반적으로 하향하고 있다. 다만, 40대와 50대의 연령별 더미변수의 회귀계수가 2000년부터 2005년 사이에 일시적으로 상승하지만, 이후에는 다소 하락하면서 20대와 30대의 추정계수들과의 격차가 점차 줄어들고 있다. 이는 20대와 30대도 40대와 50대처럼 다양한 이유로 인해 저축여력이 점차 약화되었기 때문이다. 둘째, 50대의 저축률이 다른 연령대 보다 높은데도 불구하고, 50대 연령더미의 계수값이 음(-)이면서 40대와 유사한 결과를 보이는 이유는 40대는 교육비등으로, 50대는 조기퇴직 등으로 인해 저축여력이 떨어지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셋째, 50대 저축률이 가장 높은 이유는 노후소득보장체계의 미흡 외에 50대가 보유한 자산이 처한 상황, 예를 들어, 주택가격의 하락 또는 정체 때문이라고 해석된다. 50대의 저축률 증가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지만, 그로 인한 소비감소가 내수 활성화를 통한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측면도 제공한다는 것이다. 이는 50대 가구주들의 노후소득보장체계 구축을 위한 종합적인 접근, 예를 들어 금융 및 자산시장의 안정, 노후보장정책의 불확실성 제거, 사교육비 부담 완화 등과 같은 소비와 저축의 적정 수준 유지를 위한 정책방안들이 요구됨을 시사해준다. This paper investigates trends of saving rates and a saving function by the household head age group. Using the cross-section data of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from 1990 to 2011, we estimate a saving function. Empirical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aving rates have increased since 2000, especially saving rates of the 50s group have increased faster than the other age groups. Second, coefficients of dummy variables for the age groups have decreasing trends from the saving functions. Moreover, coefficients of dummy variables for the 20s and the 30s groups have been more than those of the 40s and the 50s groups. However, the gaps of age groups have been declined. Synthetically, the unstable and unsustainable social security system might increase the saving rates of all age groups. In addition, the asset value which the 50s group holds decreases very sharply, and thus their saving ability has dropped. Above all, the education expense burdens of the 20s and 30s groups as well as the 40s and 50s groups have increased, and thus the saving ability of the 20s and 30s groups have declined, too. Accordingly, economic policies to improve a stability of a financial and an asset market, social security system like the national pension, and the diminution of educational burden is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