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주요 성(省)별 12차 5개년 규획의 주요 내용과 평가(2)-동북 3성

        임민경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 중국 성(省)별 동향 브리핑 Vol.2011 No.2

        ▣ 2010년 10월 18일 중국 중앙의「12차 5개년 규획」건의안이 통과된 후, 동북 3성에서는 각 성(省)별 경제발전 목표와 방향을 제시한 12·5 규획 건의안을 차례로 발표하였음. - 본 건의안은 2011년 봄에 정식으로 발표될 동북 3성의 각 지역별 12·5 규획의 초안으로, 향후 5년간 동북 3성 경제발전의 목표와 방향을 반영하고 있음. ▣ 각 성별 12·5 건의안에서 주목할 점은 다음과 같음. - 랴오닝성은 △ 동부 연해지역 경제수준에 도달 △ 3대 지역개발전략의 기본방향 제시 △ 민영경제 부흥을 강조함. - 지린성은 △ 공업화, 도시화 및 농업현대화로 요약되는‘세 가지 변화원칙’에 의거한 발전 △ 창춘-지린 일체화 추진 △ 러시아·북한과의 경제협력 심화를 강조함. - 헤이룽장성은 △ 8대 경제구 및 10대 프로젝트 추진 △ 국유기업 개혁을 강조함. ▣ 11·5 기간에 동북 3성의 지역별 경제격차는 크게 확대되었으며 이러한 추세는 12·5 기간에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됨. - 민영경제가 본격적인 발전궤도에 오르면서 랴오닝성의 독주현상은 공고화될 것임. - 지린성은 동북 3성 중 가장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헤이룽장성은 서비스업이 탄탄하게 성장하고 있다는 점에서, 12·5 기간에는 두 지역의 발전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전망됨.

      • 중국 도시 정보 시리즈 :랴오닝성 단둥(遼寧省丹東)

        임민경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2012 지역 기초자료 Vol.2012 No.-

        ▶ 동방을 붉게 물들이는 도시라는 뜻의 단둥(丹東)은 중국 랴오닝성(遼寧省) 동부에 위치한 인구 약 240만명의 작은 도시로, 북한과 접경하고 있어 지정학적 중요성이 큼. - 단둥은 랴오닝성 연해지역 대외개방전략인 ‘5점 1선(五點一線)’의 구성 지역으로, 랴오닝성 대외개방을 담당할 창구로서 그 위상이 높아짐. - 단둥 대외무역의 약 50% 이상을 대(對)북한 무역이 차지하고 있으며, 현재 단둥에서 북한과의 교역 활성화를 위해 건설되고 있는 압록강 신(新)철교 지역을 중심으로 행정기관 및 단둥시 상권이 이전하고 있음. ▶ 2006~10년 단둥의 주요경제지표로 볼 때 단둥은 점진적인 발전 추세에 있으나, 중국의 대도시와 비교할 때 발전이 낙후되어 있음. - 단둥의 경제규모는 중국에서 가장 발달한 도시인 상하이(上海)의 약 1/25 정도이며, 랴오닝성의 다른 도시와 비교할 때도 발전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편임. - 단둥의 대외 개방도는 꾸준히 상승 중이며, 특히 관광업의 발전이 가시적임. * 단둥의 대외 무역액에서 대북한 무역액이 차지하는 비중이 절대적으로 높음. ▶ 단둥의 4대 주요 산업은 설비제조업, 금속채굴업, 농산품 가공업 및 방직 의류업이며, 최근 단둥의 소비 시장 규모는 확대되는 추세임. - 12·5규획 기간 단둥은 각 개발구와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4대 산업 및 지역 특화산업을 육성할 계획임. *주요개발구및산업단지로는단둥변경경제협력단지(丹東邊境經濟合作區), 임항산업단지(臨港産業園區), 둥강경제구(東港 經濟區), 쳰양경제구(前陽經濟區), 다구산경제구(大孤山經濟區) 등이 있음. - 단둥의 소비시장은 랴오닝성의 최대 소비시장인 선양(瀋陽), 상하이와 비교할 때 규모는 작지만, 최근 급속히 성장하고 있어 발전 잠재력이 높음. - 단둥의 주요 상권은 압록강 구(舊)철교를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향후 신도심(新城區)의 발전과 함께 이 지역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상권이 발달할 것으로 예상됨. ▶ 현재 한국의 대중국 무역에서 단둥이 차지하는 비중은 크지 않으나 단둥을 방문하는 한국인 민간 관광객 수는 북한 관광객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음. - 단둥시의 관광업은 지역내총생산에서 약 1/3 이상의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데, 여기에는 한국 관광객의 증가가 큰 기여를 했음. - 단둥에 진출한 한국기업 중 대표적으로 SK네트웍스가 있음. - 단둥은 1995년 인천광역시와 우호도시를 체결한 이후 교류를 지속하고 있으며, 가장 최근인 2010년 7월에 류유익 전(前) 주중대사가 단둥을 방문한 바 있음.

      • KCI등재

        세계 담배규제정책의 흐름과 한국의 현황

        임민경,조홍준 대한의사협회 2018 대한의사협회지 Vol.61 No.3

        The Framework Convention on Tobacco Control (FCTC) entered into effect in 2005 and has been ratified by 181 parties. The major tobacco control policies included in the FCTC are increased tobacco taxes; smoke-free public places; bans on tobacco advertisements, promotion, and sponsorship; regulations of tobacco packaging and labeling; regulations and disclosure of tobacco component and emissions; public awareness campaigns about the adverse health effects of tobacco use; treatment of tobacco use and dependence; and bans on tobacco sales to minors. Since the FCTC was ratified, tobacco control policies have been strengthened worldwide, but with different effects for different policies. A high level of performance was achieved in 55% of the signatory countries for warnings about the hazards of tobacco and in 30% for monitoring tobacco control policies, but tobacco tax increases, smokefree polices, and bans on tobacco advertisement, promotion, and sponsorship achieved high levels of success in only about 10% of the countries. Korea recently strengthened some tobacco control policies, including tobacco tax increases, mass media campaigns, pictorial warnings on tobacco packs, smoke-free bars and restaurants, and reimbursement for smoking cessation services provided by health care facilities. However, the price of cigarettes remains very low considering the nation’s income level, and tobacco advertisements, promotion, and sponsorship are only partially restricted. Workplace smoke-free policies are limited to large companies. Only monitoring of tobacco control policies and smoking cessation services are at a high level in Korea. Comprehensive tobacco control polices need to be strengthened, and physicians should play a leading role.

      • SCOPUSKCI등재

        일부 도시 저소득층 주민의 사회적 지지와 자가평가 건강수준

        임민경,신영전,유원섭,양봉민,김명희,Lim, Min-Kyoung,Shin, Young-Jeon,Yoo, Weon-Seob,Yang, Bong-Min,Kim, Myoung-Hee 대한예방의학회 2003 예방의학회지 Vol.36 No.1

        Objectives : To assess the distribution of social support, and explore its effects on self-rated health status in a low income neighborhood of Seoul, Korea. Methods : In September 2001 we conducted a survey in a low income neighborhood of Seoul, Korea, in which 862 residents, aged 18 years or over, participated. We measured the general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lf-rated health status and social support with the instrument developed from Korean translation of the Medical Outcomes Study Social Support survey (MOS-SSS) scale of the US.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social support, and explore its effects on self-rated health status. Results : Lower social class, women or divorced people had much less social support compared to higher social class, men or those never married, respectively. Those families on much lower income also received less social support. Social support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self-rated health status, which remains statistically significant even when other relevant variables are adjusted.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social support has an important role in health, and the socially disadvantaged have lower social support. Therefore, to improve the health status of the poor,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community participation, and develop strategies that could strengthen their provision of social support.

      • KCI등재

        에너지화 열가소성 탄성체에 사용될 수 있는 알콕시 계열과 알킬 아민 계열 GAP Copolymer의 합성 및 분석

        임민경,장유림,김한철,이학준,노시태 한국공업화학회 2019 공업화학 Vol.30 No.1

        에너지화 열가소성 탄성체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새로운 계열의 glycidyl azide polymer (GAP)을 모색하기 위해 전구체인 poly(epichlorohydrin) (PECH)에 친핵체인 아지드기와 알콕시 및 알킬 아민을 도입하여 4가지 GAP copolymer polyol을합성하고 물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이 GAP copolymer 합성반응은 이종의 친핵체를 1단계 반응으로 동시에 치환하여 미반응 sodium azide가 남지 않는 친환경적이며 효율적인 합성법으로 평가할 수 있다. 역개폐 짝풀림(inverse gated decoupling) 13C NMR 분석법과 Fourier transform infrared (FT-IR) 분석법으로 상대적 치환율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반응 진행도를 모니터링 하였다. 합성된 GAP copolymer의 유리전이온도와 분자량은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와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로 분석하였다. 합성된 poly(GA0.8-butoxide0.2), poly(GA0.7-n-butylamine0.3), poly(GA0.7-dipropylamine0.3), poly(GA0.7-morpholine0.3)의 유리전이온도는 -39 ℃에서 -26 ℃ 범위의 값을 나타내었다.

      • KCI등재

        선택실험법을 이용한 의약품 급여결정기준에 대한 선호분석

        임민경,배은영 한국보건행정학회 2009 보건행정학회지 Vol.1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icit preference for drug listing decision criteria and to estimate the ICER threshold in South Korea using the discrete choice experiment (DCE) method. To collect the data, a DCE survey was administered to a subject sample either educated in the principle concepts of pharmacoeconomics or were decision makers within that field. Subjects chose between alternative drug profiles differing in four attributes: ICER, uncertainty, budget impact and severity of disease. The orthogonal and balanced designs were determined through computer algorithm to take the optimal set of drug profiles. The survey employed 15 hypothetical choice sets. A random effect probit model was used to analyze the relative importance of attributes and the probabilities of a recommendation response. Parameter estimates from the models indicated that three attributes (ICER, Impact, Severity of disease) influenced respondents' choice significantly(p<0.001). In addition, each parameter displayed an expected sign. The Lower the ICER,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choosing that alternative. Respondents also preferred low levels of uncertainty and smaller impact on health service budget. They were also more likely to choose drugs for serious diseases rather than mild or moderate ones. Uncertainty however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ICER threshold, at which the probability of a recommendation was 0.5, was 29,000,000 KW/QALY in expert group and 46,500,000 KW/QALY in industry group. We also found that those in our sample were willing to accept high ICER to get medication for severe disease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cost-effectiveness, budget impact and severity of disease are the main reimbursement decision criteria in South Korea, and that DCE can be a useful tool in analyzing the decision making process where a variety of factors are considered and prioritized.

      • KCI등재후보

        역사적 고찰을 통해 본 여성 흡연 현황 변화와 관련 요인: 시대상황에 따른 사회 환경 변화와 성인지를 중심으로

        임민경,이승훈 대한금연학회 2022 대한금연학회지 Vol.13 No.1

        Big gender differences in the prevalence of smoking have continued since national statistics on tobacco use became available in Korea. However, smoking was equally widespread among men and women in the 17th century, when tobacco was introduced. With the development of social norms and systems based on ‘patriarchy’ and ‘hierarchy’ rooted in Confucian values, smoking became gendered as masculine, and women smokers were persecuted. The manufactured cigarette and westernized culture encouraged women to smoke as a symbol of feminism and freedom in the 19th century. In Korea, smoking by women was accelerated by tobacco company advertisements targeting women as potential consumers and the implementation of a tobacco monopoly by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for financial purposes. Abstinence from smoking was reinforced by the self-governing movement of Korean nationalist groups and Christian ethics and then propelled by the Japanese colonial policy of saving resources for war. The abstinence from smoking was considered a basis of virtue in women who were good wives and wise mothers, and it has been maintained until recently. Regarding the historical review on the change of women smoking affected by gender-specific social norms and policies as well as the current concern of potential room for women smoking with the under-reporting due to social stigma and increasing tobacco use by younger age groups, tobacco control policies without a gender difference, focus on addiction and harmful effects on health by tobacco use, offering cessation with tailored programs for women, and continuous monitoring of tobacco company marketing for women, including novel tobacco introduction, should be conside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