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홍도의 여성인물화 고찰

        임미현(Im, Mihyun) 백산학회 2020 白山學報 Vol.0 No.118

        단원(檀園) 김홍도(金弘道, 1745~1806 이후)는 풍속화, 도석인물화, 기록화 등에서 기녀, 시녀, 여염집 아낙, 여선(女仙), 여협(女俠) 등에 이르는 다양한 여인상을 그려내 여성인물화분야에서 주목할 만한 업적을 남겼다. 이전 시대의 화가에 비해 양적으로도 많은 여성상을남겼을 뿐만 아니라, 중국에서 전래된 화보나 선배화가들의 작품들을 참고하여, 자신만의화풍으로 재탄생시켰다. 이는 시대양식이 되어 동시대 및 후대 화가의 여성인물상에도 지대한영향을 미쳤다. 이같은 중요성에 주목하여, 본 논문은 김홍도의 여성인물상을 살펴보고, 조선후기 여성인물화에 그가 끼친 영향력에 대해서 고찰해보았다. 김홍도의 여인상은 도상적으로 중국에서 전래된 명대 사녀화풍의 미인상과 풍속화 속에등장하는 조선식 여인상으로 나눌 수 있다. 먼저, 김홍도는 『군선도병』, 〈사녀도〉 등의 작품에서 중국 사녀화풍의 여인상을 그렸는데, 중국화보나 판화, 선배화가들의 도상 등을 참고하여습득하고, 그것을 자신만의 화풍으로 재해석하여 표현하였다. 이전의 도상들을 단순히 모방한것이라 아니라 여인의 얼굴형과 이목구비를 한국적 정서에 맞는 친근한 이미지로 변화시켜표현했다는 점이나 구도나 배경, 인물의 자세 등에서 변화를 주어 자신만의 스타일로 차별화해서 표현했다는 점이 그 예이다. 한편, 김홍도는 풍속화나 기록화 등에서 조선식의 여인상을 다양하게 표현하였는데, 크게어염집 아낙과 기녀로 나눌 수 있다. 유교적 이미지가 강한 가사노동에 집중하는 여성상은전 시대에도 그려졌지만, 김홍도에 의해 상업이나 수산업에 종사하는 여성들까지 확대해서그려졌을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 속 여인들의 감정이나 표정 등까지도 세밀하게 관찰되어 사실적이면서도 생동감 넘치게 표현되었다. 또한 김홍도의 기녀상은 이전에 기록화에 비해 화면상차지하는 비중과 역할이 커지고, 여러 주제에서 다채로운 모습으로 등장하여, 이후 신윤복에의해서 단독 제재로 발전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였다. 이같은 김홍도의 여성상들은 김득신과 신윤복, 이재관, 유운홍, 백은배 등 동시대 및 후대화가들의 여성인물화에 주제 및 소재, 기법과 형식면에서 많은 영향을 미쳤다. 뿐만 아니라민화로까지 저변화되어 지방화가 및 무명화가들에 의해서 계속적으로 답습되어 하나의 시대양식이 되었다. During his time, Danwon Kim Hong-do(1745~1806) drew women figure paintings in genre painting, Daoist and Buddhist figure painting, and documentary paintings. Using various women figures such as Gisaeng, maid, ordinary woman, Daoist goddess, and female knight errant, he left a remarkable achievement in women figure painting history. Not only did he produced considerable numbers of women figure paintings compared to previous generations, he created the paintings with unique style with references of painting catalogues from China and preceding artists of his generation. Thus recognizing these significance, this paper attempts to look thoroughly into Kim Hong-do’s women figure paintings, and influences of his art works to Late Joseon Dynasty’s painting field. Generally, Kim Hong-do’s women figure paintings can be classified into two iconographic styles; Beauty figure style introduced from court women’s portrait of Ming Dynasty and woman figure style appeared in genre paintings of Joseon Dynasty. First, Kim Hong-do drew few pieces such as Folding Screen Paintings of Daoist Immortals and Painting of a Lady in Palace with Chinese court women portraits’ style. For these works, Kim Hong-do studied painting catalogues, woodblock prints, iconograhy from former artists of his time, then adopted and developed into his unique style. Switching objects held in hand between Mago(麻姑) and Haseongo (何仙姑) and modification of women’s facial features with more intimate expression, are instances of his development of style, rather than imitating previous painting. On the other hand, Kim Hong-do also presented a variety of Joseon Era’s women figures in genre paintings and documentary paintings, mainly into two subjects in Gisaeng and ordinary woman. Paintings of ordinary woman in household chores or working already existed before his era, but Kim Hong-do gave detailed observation to even women’s emotions and facial expressions and was able to carry out realistic and dynamic women figures. In addition, Kim Hong-do’s paintings of Gisaeng had women figures occupied larger proportion in pictures and superior roles in variety of scenarios. Due to his foundation, Gisaeng paintings later became separate topic by Shin Yun-bok. As mentioned above, Kim Hong-do’s women figure paintings influenced to other well known artists at his era and later, such as Kim Deuk-Sin, Shin Yun-bok, Yi Jae-gwan, Yu Un-hong, Baek Eun-bae. Kim Hong-do’s paintings have affected with his women figure painting’s theme, subject, technique, and general format. His painting style has expanded not only to the wellknown artists, but to local and nameless painters. Thus his painting style even influenced to folk paintings, and represented to later as one of the style in era.

      • KCI등재

        조선후기 미인도와 일본 에도시대(江戶時代, 1603-1867) 우키요에 미인화와의 관계성 고찰

        임미현(Im, Mi-hyun) 호서사학회 2018 역사와 담론 Vol.0 No.88

        조선후기 미인도는 동아시아 미인도의 유행이라는 조류 속에서 성립되었다. 풍속화와 기록화에서 등장했던 기녀들이 점차 그 역할과 비중이 커지다가 결국 단독 제재로 발전하게 되고, 무배경에 기녀 한 사람을 초상기법으로 나타낸 신윤복의 〈미인도〉가 등장하면서 한국적인 미인도의 전형이 나타나게 된다. 동아시아 회화의 관계성 측면에서 조선후기 미인도는 중국 사녀화, 소설이나 희곡 등의 통속문학 삽화 및 화보류, 일본 에도시대 우키요에 미인화 등의 다소간의 영향을 받았다. 특히 중국 문학 독자의 증가와 함께 이루어진 소설 삽화의 대중적 파급은 문인, 화원이나 여항화가들만이 아니라 일반 대중에게도 큰 자극을 주었고 조선후기의 회화양식에도 일정한 영향을 미쳤다. 이와 마찬가지로 에도시대의 우키요에도 미인화가 성행했을 뿐만 아니라 대량생산이 가능해 조선에 직·간접적으로 유입되어 조선화단에 자극을 주었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동아시아 회화의 관계성 측면에서 조선후기 미인풍속화, 미인도를 에도시대 우키요에 미인화와 비교·고찰해 보면서, 조선후기 미인도의 성립 배경에 대해 규명해 보았다. 조선후기 미인풍속화는 유흥문화와 남녀의 애정행각 등의 소재와 장면구성, 인물배치와 자세, 시선처리 등에서 에도시대 우키요에는 물론 명·청 통속문학 삽화와도 유사점을 찾을 수 있었다. 또한 조선후기 미인도는 단독 미인도로 이행되는 과정이나 ‘무배경의 단독 여인입상’ 형식, 인물의 자세와 세부표현 등에서 우키요에 미인화와 공통적인 요소를 보였다. 이런 점에서 조선후기 미인도는 중국 명·청 통속문학 삽화와 더불어 일본의 우키요에 미인화에 자극을 받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동시대의 이상적인 미인을 몰개성으로 표현한 동시대 동아시아 미인도와는 다르게, 실물처럼 보이는 이미지 즉 실제 모델이 있는 초상화적인 성격으로 신윤복의 〈미인도〉가 그려진 이유는 사실성을 추구하는 한국 초상화의 전통과 18세기 조선화단의 영향이 있었다. 이와 같이, 조선후기 미인도는 당대 동아시아 화단과 교류 속에서 동아시아의 미인도의 보편적 요소를 수용하면서도, 조선시대 사실적인 초상기법의 전통과 18세기 초상화단의 영향으로 그것과 구별되는 독자적인 양식을 확립하여 인물화의 한 장르로서 미인도를 완성시켰다. Beauty painting of the late Joseon Dynasty developed gisaeng, whose role and significance had gradually been increasing in genre painting and documentary painting within the current of East Asian trends, into an independent topic. As well, beauty painting developed its own Korean style when Shin Yun-bok’s Portrait of a Beauty presented a gisaeng in portraiture with no background. From the perspective of relationship among East Asian paintings, beauty painting of the late Joseon Dynasty was more or less impacted by Chinese painting of women, illustrations in popular literature such as novels and plays, and art books, as well as Ukiyo-e beauty painting of Japan’s Edo Period. Particularly, not only was the beauty painting prevalent during Ukiyo-e of the Edo Period, mass production was also available, leading to conjecture that its inflow to Joseon could have stimulated the writers, court artists and middle-class artists’ conception of painting and their works. Having both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the Joseon Dynasty’s painting, this seems to have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ransitioning from the late Joseon Dynasty’s genre painting to the independent beauty painting. Hence,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background of how beauty painting of the late Joseon Dynasty was established while comparing and studying genre painting of beauties and beauty painting of the late Joseon Dynasty with Ukiyo-e beauty painting of Edo Period from the perspective of relationship among East Asian paintings. Genre painting of beauties of the late Joseon Dynasty bears similarities to not only Ukiyo-e illustrations of Edo Period, but also those in popular literature of China’s Ming and Qing Dynasties in topics of merrymaking culture and affectionate actions between men and women, spatial compositions, positioning and poses of the figures and how and where their eyes are fixed. As well, beauty painting of the late Joseon Dynasty displays common elements with Ukiyo-e beauty painting in terms of the process of transitioning to the independent beauty painting, the form of ‘a lone woman standing without a background’, poses and expressions of the figures, etc. Based on these, this paper surmises that beauty painting of the late Joseon Dynasty was influenced by Ukiyo-e beauty painting of Japan, as well as illustrations in popular literature of China’s Ming and Qing Dynasties. In conclusion, beauty painting of the late Joseon Dynasty established its own style by adopting general elements of East Asian beauty painting, while interacting with the East Asian art scene of the day under the influence of realistic portraiture tradition of the Joseon Dynasty.

      • KCI등재

        조선 후기 미인도의 영향과 변형

        임미현(Im, Mi Hyun) 한국사학회 2019 史學硏究 Vol.0 No.133

        조선 후기 미인도의 영향과 변형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작품으로 OCI 미술관 소장 8폭 병풍《八道美人圖》가 있다. 물론 전대의 전통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완전히 도식화, 양식화된 모습을 보여 회화성은 약하나, 제재나 구성면에서 ‘무배경의 단독 기녀입상’이라는 신윤복의 〈미인도〉를 대표로 하는 조선 후기 미인도의 계보를 잇는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뿐만 아니라《팔도미인도》는 동시대 중국과 일본의 미인도에서 나타나는 경우처럼 미인도를 세트로 만들어 병풍으로 제작되었다는 점에서 조선 후기 미인도와 다른 특징도 가지고 있어 주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팔도미인도》를 중심으로 조선 후기 미인도의 영향과 변형에 대해 생각해보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팔도미인도》의 성격과 의의를 파악하는 것은 물론 한국과 동아시아의 회화사에서 조선 후기 미인도의 위치를 재조명해 보고자 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春意的기녀 이미지를 그린 ‘무배경의 단독 여인입상’ 형식인 조선 후기 미인도는 총 7작품이 존재하는데,《팔도미인도》는 이들 작품들과 제재나 양식 등 여러 방면에서 공통적인 요소를 보인다. 무배경의 단독 여인입상이라는 점과 안면을 측면으로 틀어 7·8분면으로 표현했다는 점, 전체적인 포즈나 손동작, 여인의 얼굴 윤곽과 복식, 머리모양 등이 유사하다는 점에서 그 영향관계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팔도미인도》는 미인도를 세트화하여 팔도 미인을 시리즈로 표현했다는 점에서는 변형된 모습을 보인다. 미인들을 세트화하여 畵冊이나 병풍으로 제작한 예는 동시대 동아시아 미인도에서도 나타난다. 중국의 경우 명 말에 여러 폭이 한 벌을 구성하는 미인도 제작이 늘어나고 특히 淸初의 궁정회화에는 12폭이 한 세트가 되는 미인도 형식이 화책이나 병풍 형식으로 제작되는 경우가 많았다. 일본의 경우도 중국 명·청시대에 보이는 절기별로 세트화된 풍속미인도가 江戶時代(1603~1868)에 성행한다. 조선의 경우도 시리즈물 혹은 세트화된 미인도가 중국에서 수입되어지거나, 국내에서 모사·모본을 떠 지속적으로 감상되어졌음을 문헌자료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재관의 미인도 시리즈와 같이 현존하는 예도 찾아 볼 수 있다. 한편, 미인도는 그 용도에 따라 축·첩·권·병 등으로 다양하게 粧䌙되어 제작되었다. 그 가운데 제작비용 면이나 보관에 있어서도 부담이 가장 큰 병풍 형식으로《팔도미인도》가 장황된 것은 조선 후기를 기점으로 병풍이 크게 유행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19세기에 이르러 병풍이 유행한 것은 양반 의식을 갖춘 양인 계층이 증가하면서 병풍을 활용한 의례가 증가한 것과 민간의 문화가 발달하면서 실내 장식과 놀음 무대에 병풍이 활용된 것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팔도미인도》는 미인도를 일종의 시리즈물로 세트화하여 그려왔던 한·중·일 미인도의 사례를 적용하여 집안이나 술집 및 기방 같은 공공장소의 장식이나 무대 장식용으로 사용되기 위해 병풍으로 제작되지 않았을까 싶다. 8-folding screen ‘Paldomiindo’, a collection of OCI Museum, is a representative piece which shows tradition and transformation of Korean Beauty Paintings of Late Joseon Dynasty. Even though the piece does not fully apply traditional aspect and rather shows stylization and schematization (which makes the piece to be weaker in pictoriality), its content and compositional aspect of ‘Standing painting of single Gisaeng with non-background’ continues a long pedigree of Late Joseon Dynasty’s beauty paintings. Furthermore, ‘Paldomiindo’ shares a similarity with Chinese and Japanese beauty paintings by setting a series of paintings on a folding screen. Unlike other late Joseon dynasty’s beauty painting. This piece contains such uniqueness and significance that must be examined further. Thus, this study will explore tradition and style changes of Korean beauty paintings in late Joseon dynasty along with features of ‘Paldomiindo’. This study’s objective is to reintroduce late Joseon dynasty’s beauty paintings and highlight its significances within Korean/Eastern Asian art history. There are 7 works of beauty paintings with ‘standing painting of single woman with non-background’, and ‘Paldomiindo’ has similar aspects to these paintings with such features like materials and styles. The similarities can be listed:‘standing, single, no background drawings’, face was slightly sided(seven-tenth, eight-tenth side), an overall posture and a hand expression, outline of woman’s face and dress, and hair styles. Features mentioned above certainly shows connections between the paintings. However, ‘Paldomiindo’ differentiates itself from the others by setting a series of paintings into one piece. Cases of collecting beauty paintings into a book and folding screeen can be found in Eastern Asia at the same period of time. In China, numbers of beauty paintings with a format of multiple pictures into one set were increased in late Ming dynasty era. In early Qing dynasty, numerous royal beauty paintings were placed on books and foldings screens with a format of 12 pictures into one set. In Japan, beauty paintings with the arrangement of multiple paintings became prevalent in Edo period(1603-1868). As these paintings were imported to Joseon, they have inspired viewers, and became models to new pieces. Meanwhile, late Joseon dynasty, the time “Paldomiindo” was made, was a time of luxurious trends and extravagant hobbies prevailing throughout society. Interests and social demands to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grew larger in this period of time, and folding screens with paintings of various subjects became popular commodity as a result. Therefore, ‘Paldomiindo’ is created under the influences of social demands that came along with development of luxurious goods (caused by cumulated wealth of late Joseon dynasty) and trends of various subjects of paintings on folding screens. Sin Yunbok’s ‘Miindo’ began tradition of Joseon’ beauty painting, and ‘Paldomiindo’ carries the tradition to late Joseon dynasty while following prevailing styles of Eastern As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