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과학교사의 탈북학생 가르치기 경험의 교육적 이해

        임미연(Lim, Miyo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5

        본 연구는 6명의 예비 과학교사들이 ‘탈북학생 가르치기’의 경험을 통해 어떠한 교육적 이해를 만들어 나가는가를 질적 연구방법에 기초하여 탐색적으로 살펴보고자하였다. 다음의 3개의 연구 질문을 근거로 수행되었다: ‘탈북학생 가르치기’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1) 예비과학교사들은 학생다양성에 대해 어떠한 인식과 이해를 보이는가? 2) 예비과학교사들은 스스로의 과학교육 경험에 대해 어떠한 반성적 고찰을 보이는가? 그리고 3) 예비과학교사들은 학습자로서의 탈북학생들에 대해 어떠한 맥락 적 이해를 보이는가? 연구 결과는 예비과학교사들이 탈북학생 가르치기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맥락적 상호작용 속에서 본인들이 가지고 있던 학생 다양성에 대한 인식을 재고하고, 그들이 경험하며 당연시 여겨왔던 과학교육에 대하여 반성적으로 돌아보고, 또한 교사의 입장에서 학습자들에 대한 연결적이고 실천적 이해를 만들어 나가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음을 보여주었다. 탈북학생 가르치기 경험이 가진 맥락적 실제성은 예비교사들로 하여 학생 다양성이라는 주제와 다양한 방식으로 (즉, 관찰자 적, 관계적, 반성적, 그리고 실천적) 상호작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 것으로 보여진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예비교사들의 경험중심 현장교육의 이해와 개념화에 필요한 지식기초 생성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Drawing upon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the study employed an exploratory approach to examine how six pre-service science teachers have developed educational meanings out of their experiences of teaching science for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Three research questions guided the study: 1) What perceptions and understandings do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develop about student diversity? 2)What reflective critique do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develop about science education practices that they have experienced? 3) What kinds of contextual understandings do pre-service science teachers develop about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as learners? Results showed that the contextual interaction that the project provided for the pre-service teachers have provided opportunities to revisit and revise their perceptions about student diversity, to critically reflect on taken-for-grantedness of current science education, and to develop connective and practice-based understandings of learners, taking a teacher’s perspective. This contextual authenticity of the project seems to have afforded diverse ways (i.e., observational, relational, reflective, and practice-based) to make sense of student diversity. It could contribute to the knowledge base for conceptualizing and developing experience based, field education components for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An Exploration of Elementary Children’s Place Experience in a Low-income City Neighborhood

        Miyoun Lim(임미연) 한국환경교육학회 2013 環境 敎育 Vol.26 No.2

        본 연구는 환경교육이 직면하는 근본적 어려움 중 하나인 자연과 인간 사이의 이분법적 시각을 극복하기 위한 접근으로 장소 기반(place-based) 교육을 근거로 한다. 어린이들의 장소 경험에 대한 선행연구 경향 역시 이러한 이분법적 시각의 영향을 반영하여 왔다. 그러나 최근 들어 도시 환경과 도시 어린이에 대한 결핍적 시각을 넘어, 어린이들의 장소 경험의 다양성과 이질성을 조금 더 포괄적이고 생태적으로 접근하는 연구의 필요성이 강조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 맥락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미국 뉴욕시의 저소득층 이민자 동네에 거주하는 초등학생 10명을 대상으로 그 학생들이 어떠한 장소감(sense of place)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그 도시 맥락이 학생들의 장소 경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다음의 질문을 통하여 탐색을 수행하고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1) 학생들은 근린지역 내의 무엇을 인식하고 표상하는가? (장소의 표상); 2) 학생들은 근린지역 내에서 어떻게 활동하는가? (활동범위); 3) 학생들의 근린지역에서의 장소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요인분석); 4) 학생들은 어떠한 장소감을 가지고 있는가? (장소감의 유형화). 연구 결과는 학생들의 장소 경험에 대한 다면적, 포괄적 이해에 근거하여 초등학생들이 가진 다양한 장소감을 서술한다. 학생들의 장소 경험과 관련한 이야기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다양성은 학생들이 자신들의 장소들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며, 또한 학생들이 자신들의 장소에 대한 어떠한 이해와 인식을 만들어 나가는가에 대한 유용한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거주지역 생태탐사 프로그램에서 보이는 학습자와 자연 간의 상호작용 양상의 탐색

        정해림(Hae Rim Jeong),임미연(Miyoun Lim) 한국환경교육학회 2017 環境 敎育 Vol.30 No.1

        이 연구는 장소기반교육에 근거하여, “우리마을 생태 바로 알기”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습자들이 자연과 어떠한 상호작용을 하는가를 탐색해 봄으로써, 학습자들이 도시 속 자연을 어떻게 경험하며, 관계를 형성해 나가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학습자들은 자연과 직접 접촉하고, 자연의 입장을 취해보고, 자연을 나의 일상과 연결하는 다양한 상호작용의 양상을 보였다: 1) 도시 속 자연과 직접 접촉하며, 다양한 감각적 탐색과 풍부한 감정적 경험을 통해 자연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발전시켜 나갔고, 2) 자연의 입장에서 감정을 느껴보고 상황을 이해하는 인지적, 정의적 관여를 통해 자연과 공감하며, 자연을 자신과의 관계성 속에서 바라보고, 3) 자연을 자신의 생활세계와 연결 지으면서, 일상을 통해 자연과 상호작용하고, 자연을 다시 일상으로 확장하는 자기 환경화를 통해 자연과의 관계를 발전시켜 나가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와 자연 사이의 상호작용이 보이는 다차원적, 내러티브적, 공동체적 특징을 살펴보고, 동네라는 장소가 제공하는 교육적 함의를 고찰하였다. Drawing upon place based-education, this study explores in what ways students interact with nature, i.e.,how they experience nature and how they develop their relationship with nature, as they participate in a local ecosystem investigation program, called “getting to know my town’s ecology”. Engaging in diverse modes of interactions such as contacting with nature, nature’s perspective-taking, and connecting lifeworld with nature, students 1) developed their interests in nature as they contact nature through sensory and affective exploration, 2) perceived nature in connection with self as they empathize with nature cognitively and affectively, and 3) developed relationship with nature as they make sense of nature in connection with their lifeworld. Then based on the findings, we discuss multidimensional, collective, and narrative aspects of student-nature interaction and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place- based education.

      • KCI등재

        대안학교 학생들의 실천공동체를 통한 과학 학습자로서의 성장에 대한 사례연구

        김지혜(Kim, Ji-Hye),임미연(Lim, Miyo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1

        본 연구에서는 제도권 학교의 과학학습에 적응하지 못하고 소외된 경험을 가지고 있는 대안학교 학생들이 참여로서의 학습을 강조하는 과학수업을 통해 과학과 어떤 관계를 형성하며, 이 과정에서 과학수업이 실천공동체로서 어떤 역할을 하는 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시 소재 도시형 대안학교인 소망학교의 과학수업에 참여한 과학수업에 참여했던 학생 세 명에 대한 사례연구로, 한 학기 동안의 과학수업에 대한 동영상, 관찰일지, 학생 면담 등을 통해 연구 자료를 생성 하였으며, 과학에 대한 태도, 수업참여 양상, 과학과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각 참여 자에 대한 연구텍스트를 구성한 후, 반복적 비교 분석 접근을 통해 사례를 재구성 하였다. 과학과 단절적 관계로 시작했던 연구 참여자들은, 과학 수업에 참여하면서 과학과의 관계에 긍정적 변화를 보여주었으며, 특히 과학에 대한 인식과 자신 감의 변화를 보였으며, 과학 속 일상 그리고 일상 속 과학을 찾아나가면서 과학교 육의 당위성을 인정하고, 과학 학습자로서 정체성을 발전시켜 나가고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의 과학 정체성 변화가 보여주는 역동성과 행위자성은, 모든 학습자들이 과학 공동체의 구성원으로, 스스로에게 의미있고, 유용하고, 실천 가능한 방식 으로 과학과의 관계를 만들어 나가는 과정을 통해 “모든 이를 위한 과학”을 추구 해야 할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participants who have experienced marginalization from traditional science education, develop relationships with science as they participate in a science class which emphasizes “learning as participation” and also how the science class as a community of leaners supports students’ science learning. This case study was carried out with three participants who attended an urban alternative high school located in Seoul. The science course as research context was designed, Informed by situated learning theory, focusing on active problem solving, peer interaction, and real world connection. Research data were generated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fieldnote, and student interview, then were analyzed into research text using participants’ attitudes, engagement and relationship with science as analytic guidance which was used to reconstruct cases using constant comparative approach. Participants have demonstrated changes in their relationships with science over the semester, exhibiting positive and confident attitude toward science, identifying meaning of science education as they find lifeworld in science and also science in lifeworld, and developing identity as science learners. It suggests that we can pursue “science for all” as all learners can define and practice personally meaningful science.

      • KCI등재

        대안학교 학생들의 과학수업 참여 요인 분석

        김지혜(Kim, Ji-Hye),임미연( Lim, Miyo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6

        본 연구의 목적은 대안학교에서의 과학수업을 통해 나타나는 학생들의 수업참여 양상을 살펴보고 그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론에 기반을 두었으며, 서울시 소재의 도시형 대안학교인 소망학교의 과학수업에 참여한 8명의 학생들과 함께 수행되었다. 제공된 과학수업은 상황인지론의 관점에서 학습을 정의 하고, 실천공동체에서의 상호작용 그리고 실생활과의 연관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수업영상, 수업일지, 관찰노트, 학생면담, 수업평가서 수집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생성된 자료들을 이론적 코딩 접근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대안학교 학생들의 과학수업 참여 양상을 5개로 범주화된 요인들을 통해 - 교사 요인, 공동체 요인, 수업주제 요인, 교수방법 요인, 그리고 내적동기 요인- 설명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describe factors that shape students’ participation in science class at an alternative school. Employing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8 students in a science class at an alternative school called Somang School located in Seoul. In the science class learning was defined and framed based upon situated learning theories and the instructional emphasis was put on contextualization of science learning within students lifeworlds and also students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in the science class i.e. fostering the community of practice in the class. Data were generated through multiple methods including classroom videos observation notes teacher s journal entries student interviews and course evaluation results by students and analyzed through theoretical coding processes. Using 5 key categories developed from the data analysis the results describe how the alternativ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cience class and what aspect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have shaped and facilitated their participation in science learning.

      • KCI등재

        간호사를 꿈꾸는 탈북청소년들의 진로탐색과정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신영 ( Shin Young ),임미연 ( Lim Miyoun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7 교육인류학연구 Vol.20 No.1

        이 연구는 간호사가 되기 원했던 여섯 명의 탈북청소년들의 이야기를 통해 간호사라는 진로의 의미와 이들이 경험하는 진로탐색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내러티브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연구 참여자가 이야기한(narrated) 경험에 주목하였으며, 문화역사적 시각에서 탈북청소년들의 진로선택과정을 이들이 상호작용하는 사회적 공간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들에게 간호사는 이주민으로써 남한 사회에 보다 안정적인 정착을 가능하게 해주는 진로이자, 탈북이라는 사건을 경험하면서 돌봄과 봉사로 의미화 되는 탈북청소년으로서의 정체성을 담아낼 수 있는 진로로써 의미를 가진다. 다양한 사회적공간은(가족, 학교, 탈북공동체, 교회, 직장, 대학) 이들에게 기회와 지지를 제공하고 권한을 부여하기도 하며 동시에 억압과 배제, 그리고 주변화를 경험하게 하고 있었으며, 탈북청소년들은 이러한 공간 안에서 진로탐색에 필요한 자원 획득을 위해 접근 가능한 사회적 자산과 생애사적 경험을 전략적으로 활용하며 항행하고 있었다. 즉, 이들의 진로선택은 다양한 사회적 공간에서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통합적 성찰의 결과이며, 또한 탈북이라는 생애사적 경험을 단절적 시각으로 바라보지 않고, 진로선택을 통해 자신의 과거를 현재와 미래로 연결하며 자신의 역사성을 회복하려는 통합적 정체성 구성의 시도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interested in exploring how six North Korean Defector (NKD) students in pursuit of their dreams of becoming a nurse experience their career development process. Employing the narrative inquiry approach, we paid attention to participants` narrated experience, and drawing upon cultural historical perspectives, we tried to explore how NKD students interacted with/in their social spaces during their career development process. Nursing means a career that affords settling down in South Korea as an immigrant and also allows them to practice their “identity of caring” that emerged through their “lived experience” of escaping North Korea as a Defector. Social spaces such as family, NKD community, school, and South Korean society in general including church, job, & university provided them with opportunity, support, and power yet at the same time, with experiences of oppression, exclusion, and marginalization. As they try to navigate through duplicity of the social spaces, they exercised agency by capitalizing personal history and accessible social networks and resources, which provided them with motivation, will power, strategies, and opportunities. Finally we discuss their career development process as “identity work” for integrated career identity, which restores their truncated historicity connecting their past with their present and future.

      • KCI등재

        학생과 식물의 관계를 고려한 학교 식물원 수업의 개발과 적용

        이영주(Young-ju Lee),임미연(Miyoun Lim) 한국환경교육학회 2014 環境 敎育 Vol.27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a school botanical garden project that can foster healthy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s and plants and to examine how this project facilitated students’ participation in, sense making of, and attitudes toward learning. Employing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 in terms of generating and analyzing data, the study was carried out with two environmental science classes at a middle school located in Gyeonggi-do. Drawing upon place-based pedagogy and conceptualization of plant-human relationship by Lewis(1996), the ‘school as a botanical garden’ curriculum was developed which utilized school forests as the context of environmental learning. The project facilitated diverse student-plant interactions, progressing from being observational in nature at the beginning and then becoming more participatory as it proceeds. The study also illustrates the complexity of student-plant relationships that students showed as they participated in the project. First, it describes bidirectional interactions between students’ everyday experiences of plants and their science learning of plants in class, i.e., how the project encouraged students to bring their everyday experiences into learning while it supported students to make sense of science learning within everyday contexts. Second, the study discusses diverse aspects of student-plant relationships such as emotional connections, sense of responsibility, sense of place, and expanded meaning of place in everyday contexts. Further, it discusses how students’ attitudes toward learning has shifted to be more accommodating and active as learners during the project.

      • KCI등재

        탈북학생 가르치기 경험을 통한 예비과학교사의 학습자중심 사고 발달

        임미연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4 교과교육학연구 Vol.18 No.2

        This study explored how pre-service science teachers develop student-centered understanding through their experience of teaching science for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Drawing upon the conceptual connectedness between student-centeredness and multiculturalism, the study tried to examine affordances of student centeredness as a conceptual framework for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Using reflective interviews with six participating pre-service teachers, the study tried to describe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of learner-centeredness in two aspects. First, the preservice teachers developed contextual understandings of their students which informed their pedagogical decisions on what to teach in science. Second, the pre-service teachers developed practice-based understandings on how to teach, as they developed concrete, contextual understandings of the students’ difficulties in science learning that were both linguistic and conceptual in nature and employed connective and explicit teaching strategies to assist those difficulties. The experience of interacting with the learners within a meaningful context seems to have provided an opportunity for pre-service teachers to shift from science-centeredness into learner-centeredness in their mindsets. 본 연구에서는 예비과학교사들이 탈북학생들에게 과학을 가르치는 경험을 통해 어떠한 학습자 중심의 사고를 발달시키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학습자중심사고와 다문화주의가 가진 상호보완적 관계성을 근거로 하여, 다문화 교사교육의 맥락에서 개념적 틀로서 학습자 중심 사고방식이 제공할 수 있는 유용성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6명의 예비과학교사들과의 회고적면담을 통해, 예비과학교사들이 보여주는 학습자 중심 사고를 두 가지 양상으로 설명하였다. 첫째, 예비교사들은 상호작용을 통해 탈북학생들에 대한 이해를 발전시켜 나가면서 이러한 학습자에 대한 맥락적 이해를 어떠한 과학교육을 제공해야 할 것인가의 교수결정에 고려하고 반영하며 학습자 중심의 사고를 발전시켜 나가는 모습을 보였다. 둘째, 예비교사들은 탈북학생들이 보이는 과학학습에서의 언어적, 개념적 어려움에 대한 숙고를 통해 연결적이고 명시적인 대응 교수전략을 시도해 나가며,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실천적 이해를 발전시켜 나가는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탈북학생 가르치기의 경험을 통한 학습자와의 상호작용이 예비과학교사들에게 맥락적, 실천적 이해를 통한 학습자중심 사고 발달의 기회를 제공하였음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 KCI등재

        A qualitative analysis of authentic science teaching practices of three elementary teachers

        Lim, Miyoun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13 교과교육학연구 Vol.17 No.1

        This qualitative study explores three elementary teachers authentic science teaching practices. Two research questions guide the study: 1) in what ways do the elementary teachers address authenticity through their science teaching practices? and 2) how do the elementary teachers frame science in their teaching, drawing upon their pedagogical views. Employing three aspects of authenticity concern, the study discusses how teachers epistemological and pedagogical views ? i.e., 1) the teachers’ epistemological views of science, 2) their epistemological views of students as knowers, and 3) their pedagogical considerations of students lifeworlds in their teaching ? work together to frame science in their classes. The findings describe how the teachers present science differently in their classes, depending upon their pedagogical views and purposes: science as a goal, tool, or context. It argues how the three interconnected conceptual aspects of 'authenticity' are critical in addressing authentic science education concerns. While science educators agree on the need to connect science with students everyday experiences, often we are left without practical understandings and pedagogical tools to make the connection in our teaching practice. This study proposes 'authenticity' as having multiple aspects in science teaching practice and as a viable conceptual tool for exploring ideas of connected science. It offers a conceptual framework which can help science educators to examine their practices and guide them into authentic science teaching. 본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세 명의 초등학교 교사들의 진정성 있는 과학교수실천을 살펴보고자 한다. 두 개의 연구문제에 근거하여 연구가 수행되었다: 1) 초등 교사들은 그들의 과학교수실천을 통해 진정성을 어떻게 보여주는가? 2) 초등 교사들은 그들의 교육적 견해에 근거한 과학교수실천에 있어 과학을 어떠한 모양새로 제시하고 있는가? 본 연구는 진정성을 세 가지 양상으로 개념화하며, 교사들의 인식론적 그리고 교육학적 시각들이, 즉 1) 교사들의 과학에 대한 인식론, 2) 인식자로서의 학생들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론, 그리고, 3) 학생들의 생활세계에 대한 교사들의 교육학적 고려들, 함께 어떠한 모양새의 과학을 교실에서 제시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연구에 참여한 세 명의 교사들이 그들의 교육학적 시각이나 목적에 근거하여 과학을 어떠한 다양한 모양새로 구성하여 제시하고 있는지, 즉 어떻게 과학이 목적화, 도구화, 혹은 문맥화 되어 제시되고 있는가를 서술하고 있으며, 또한 진정성 있는 과학교수실천을 이해하고 설명하는데 있어 이 세 가지의 상호 연결된 개념적 양상들이 왜 그리고 어떻게 중요하게 작동하는가를 논의 한다. 많은 과학교사들이 과학을 학생들의 일상의 경험과 연결해야하는 필요성에 대해 동의하지만, 교사들을 위한 실질적 이해나 연결을 위한 교수실천의 도구는 제한적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진정성”이라는 개념적 도구를 제시함으로, 과학교사들의 교수실천의 분석과 반성적 고찰을 돕고, 나아가서 연결된 과학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실천적 이해를 돕고자 한다.

      • KCI등재

        생명공학 SSI 수업에서 나타난 영재 중학생들의 의사결정 변화의 유형 분석

        임미연,정슬아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13 교과교육학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인간복제, GMO, 인간 유전정보의 활용의 세 가지 생명공학주제에 관련된 가상상황을 사용한 SSI수업을 통해 중학생들의 의사결정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그러한 변화의 양상과 내용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울의 한 대학교 소속 영재원과학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중학생 20명에게 3회, 총 12시간에 걸친 수업을 제공하였고, 학생들에게 사전-사후에 주어진 6가지가상상황들에 대하여 입장을 선택하고 그러한 의사결정의 근거 혹은 이유를 서술하도록 하였다. 또한 추가적 정보 수집을 위하여 10명의 학생들에 대한 개인 면담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전-사 후 의사결정을 분석의 단위로 사용하여, 6가지가상상황에 대해 20명의 학생들이 내린 112개의 사전-사 후 의사결정 중에서 변화를 보인 58개를 대상으로 변화의 양상과 내용의 이해를 위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들이 보여준 의사결정의 변화는 1) 입장 생성, 2) 입장 변화, 3) 입장 강화, 4) 입장 약화, 그리고 5) 입장 철회의 다섯 가지 양상으로 나타났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공하였다. 첫째, 학생들은 SSI수업에서 제시된 생명공학 쟁점들에 대한 의사결정을 위해 다양한 의미 생성 과정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능동적 학습자로서 SSI수업에 참여하는 양상을 보였다. 둘째, SSI수업에서 제시된 생명공학 쟁점들에 대한 의사결정에 있어, 과학적 지식이나 쟁점 관련 정보뿐 아니라 의사결정 과정에 대한 이해 또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였다. 끝으로, 학생들이 수업을 통해 오히려 의사결정에 어려움을 겪게 되는 것으로 보이는 입장 철회나 입장 약화의 변화 유형의 내용 분석은 학생들이 수업을 통해 접하는 새로운 지식이나 다양한 차원의 근거를 적극적으로 의사결정에 반영하고 있는 과정임을, 즉 적극적 학습이 일어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중학생의 SSI 교육에 있어 의사결정 자체가 목표가 되는 결과 중심의 접근이 아니라, 의사결정 과정을 학습 과정으로서 바라보는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in what ways middle school students change their decisions on three socioscientific issues (SSIs) in biotechnology. Twenty middle school students who attended a gifted science education program from a university gifted education center participated in a 12-session long SSI program. The students were asked to make pre- and postdecisions over 6 biotechnology related scenarios provided during the SSI program and also to explain their decision rationale. Ten of the students were interview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s on their decision-making processes. This study used a pair of pre- and postdecisions as a unit of analysis. Of 112 decision pairs, this study used 58 cases that showed changes in the pre- and post- decisions. Analysis identified five types of change patterns including: 1) generating a position, 2) switching positions, 3) strengthening one's position, 4) weakening one's position, and 5) withdrawing a position. Further, the study offers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students were active learners, engaging in diverse sense making processes to make decisions on socioscientific issues in biotechnology. Second, not only scientific knowledge and information, but also understanding of decision-making process, seemed to affect the students' decision-making. Last, when we looked into cases of position withdrawal or weakened positions where the students exhibited difficulties in making a decision, we noted that students worked hard to make use of and integrate newly-provided information and multi-dimensional rationales into their decision making. The study thus proposes that, instead of taking an outcome-oriented perspective which puts an emphasis ondecisions, it is important to approach students' decision making on SSI as a learning process focusing on students' sense- and meaning-making proce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