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초임 특수학급 교사에 대한수업장학의 실태와 개선을 위한 제언

        임미빈,박승희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1 특수교육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current status, teachers’ perceptions, and improvement needs of teaching supervision of newly appointed special class teachers in general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A survey was us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teaching supervision, teachers’ perceptions of implementation levels and need levels of four areas and three steps of teaching supervision and improvement needs of teaching supervision. A total of 100 teachers’ responses to the survey were analyzed with means and SDs of each area and each item of teaching supervi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 36 teachers among 100 teachers did not have any teaching supervision opportunity during one and a half year. Most of those 64 teachers who had at least one chance of teaching supervision received the teaching supervision from their school administrators. Utility levels of teaching supervision perceived by the respondents were low. The levels of implementation of four areas and three steps of teaching supervision were low while the needs for implementing those areas and steps were high. Improvement needs of teaching supervision identified by those 64 teachers were (1) at least once a year teaching supervision; (2) as a teaching supervis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with more than fiv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s were wanted; (3) as the priority credential requirements of teaching supervisor were the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in special education.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nd institutional strategies for the most appropriate and effective teaching supervision for newly appointed special class teachers were finally presented.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 초등학교의 초임 특수학급 교사가 제공 받은 수업장학의 실태, 수업장학의 실행도와 필요도에 대한 교사의 인식, 그리고 수업장학에 대한 교사의 개선 요구를 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특수학교 여건과 비교할 때 수업장학에 대한 기회가 미흡한 일반 초등학교 초임 특수학급 교사에게 제공된 수업장학 실태와 그 문제점을 밝히고 제도적인 수업장학 제공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보다 실효성 있는 수업장학의 내용 및 절차 개발을 촉구하고자 하였다. 서울, 경기 및 인천의 초등 특수학급 교사 중 교직 경력이 3년 이하의 초임 교사 174명 전수를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초임 특수학급 교사 100명 중 최근 1년 반 동안 수업장학을 제공받지 못한 교사는 36명(36%)이었다. 수업장학을 제공받은 경험이 있는 64명 교사들 응답에 의하면, 수업장학의 제공자는 전체의 42%가 교장·교감, 21%가 연구부장 교사였다. 초임 특수학급 교사의 수업장학에 대한 활용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업장학의 4가지 영역의 실행도는 모두 낮게 나타났으며, 필요도는 모두 높게 나타났다. 수업장학의 3단계별 실행도와 필요도에서는 계획수립 단계가 수업관찰과 분석 단계와 결과 협의 단계보다 저조하게 나타났다. 셋째, 수업장학에 대한 초임 특수학급 교사의 개선 요구로는 교사의 57.8%가 1년에 1회의 수업장학을 제공받기를 원하였으며 가장 희망하는 수업장학 제공자는 특수교육 전문성을 지닌 경력 5년 이상의 특수교사였다. 수업장학 제공 요건으로 장학 제공자의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 함양을 최우선으로 지적하였다. 끝으로, 초임 특수학급 교사들이 교직에 성공적으로 정착하여 특수교육대상 학생에게 질 높은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수업장학 제공과 적합한 수업장학 방법의 필요성과 그 함의가 논의되었다. 나아가 본 연구는 교육청 수준 및 교육과학기술부 차원에서 초임 특수학급 교사에 대한 전문적 수업장학을 제공할 수 있는 행정적 방침과 절차, 초임 1년차 특수학급 교사 지원 프로그램의 필요성, 학교관리자나 장학사의 특수교육 전문성 고양의 필요성, 특수교육 전문성을 갖춘 수업장학 제공자의 수급 과제 등을 포함한 제도적 장치 수립의 필요성을 강력히 제기하였다.

      • 초임 특수학급 교사의 수업장학 현황

        임미빈,박승희 한국특수교육학회 2010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0 No.-

        본 연구의 목적은 초임 특수학급 교사의 교수의 질 신장을 지원하는 장학의 한 방법인 수업장학의 실태와 개선 요구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문제는: 첫째, 서울, 경기, 인천의 초임 특수학급 교사들이 근무하는 학교의 수업 장학 실태(수업장학의 횟수, 제공자, 수업장학에 대한 초임 특수학급 교사의 인식)는 어떠한가?; 둘째, 수업장학에 대한 초임 특수학급 교사들의 개선 요구(수업장학의 횟수, 제공자, 수업장학을 제공 받기 위해 마련되어야 하는 요소)는 무엇인가?; 셋째, 수업장학의 실행도와 필요도에 대한 초임 특수학급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이다. 본 연구대상자는 서울, 경기, 인천의 초등 특수학급 교사중 교직 경력이 3년 이하의 초임 특수학급 교사 총 174명이다. 질문지는 전수조사로 총 174부 배부되었고 104부가 회수되었으나 불성실한 응답 4부를 제외하고 수업장학을 받아본 경험이 없는 36명 교사 응답을 제외하고 최종 64부 응답이 본 연구 자료로 사용되었다. 연구도구는 본 연구자들이 개발한 질문지가 사용되었다. 응답자료 처리는 선다형 문항, 중복 응답형 문항은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 하였고, Likert 4점 평정 척도형 문항은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임 특수학급 교사가 제공받은 수업장학의 실태로, 초임 특수학급 교사가 최근 1년 반 동안 제공 받은 수업 장학의 횟수는 1회가 33%, 2회가 23%로 나타났고, 수업장학을 제공 받지 못한 교사는 전체의 36%이다. 수업장학의 제공자는 전체의 42%가 교장, 교감으로 나타났고, 교장, 교감 다음으로 전체의 21%가 연구부장으로부터 수업장학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임 특수학급 교사는 수업장학의 결과를 추후 수업개선에 거의 활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M=2.57), 만족도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M=2.45). 또한 교사는 수업장학이 교수-학습 개선에 효과가 거의 없다고 생각하고 있었다(M=2.67). 수업장학에 대한 초임 특수학급 교사의 개선 요구로는 교사의 50% 이상이 1년에 1회의 수업장학을 제공받기를 원하고 있었다. 교사가 가장 희망하는 수업장학 제공자는 특수교육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지닌 5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특수교사였으며, 가장 많은 수의 교사가 수업장학 제공 요건으로 장학 제공자의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 함양을 지적하였다. 끝으로, 수업장학의 4가지 영역 및 3단계의 실행도는 평균점수 2점으로 낮게 나타났다. 수업장학 4가지 영역과 3단계의 필요도는 평균점수가 모두 3점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경력 3년 이내인 초임 특수학급 교사들이 교직에 성공적으로 정착하여 특수교육대상 학생에게 질 높은 교육을 제공하기 위하여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수업장학 제공과 적합한 수업장학 방법의 필요성과 그 함의가 논의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