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언어능력의 성격과 문법층위의 구분에 대하여

        임동훈 형태론 2007 형태론 Vol.9 No.2

        Lim, Dong-hoon. 2007. On the nature of linguistic competence and the division of grammatical levels. Morphology 9.2, 311-329.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theories concerning the linguistic competence as an object of linguistic inquiries, and how they could have an influence on the division of grammatical levels in studying languages. On the one hand the theories of linguistic competence are the base on which linguistic studies are performed and on the other hand they would place a certain constraint on these linguistic studies. The chomskyian ideas on language and mind developed into language faculty hypothesis. This paper has discussed three points at issue and then presented alternative theories on language and mind. In the course of argument we have contended that linguistic competence has not only the part which is language-specific but also the part which is related to general cognitive capacities, at least from the aspect of basic structure of languages. In this respect this paper has evaluated the theories on Korean honorifics which was put forward in Lim(2000). 본고는 언어학의 연구 대상인 언어능력의 성격과 관련된 주장들을 검토하고 이러한 견해들이 실제적인 언어 연구에서 문법층위의 구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논의하였다. 언어능력에 대한 이론들은 연구 활동의 기반이 되면서 동시에 연구 활동에 일정한 제약을 가한다는 점에서 이를 다양한 각도에서 종합적으로 살펴보는 것은 언어 연구에 긴요하다. 언어와 정신에 관한 촘스키 학파의 주장은 언어기능 가설로 정리되었는데, 본고는 언어기능 가설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고 이 가설이 안고 있는 세 가지 논쟁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리고 이어서 이와 다른 시각에서 언어기능 가설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논의들을 제시함으로써 언어능력에 대한 균형 잡힌 시각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고는 이 과정에서 언어능력에는 언어만의 특수한 부분도 있지만 인지구조와 상관관계에 있는 부분도 있음을 주장하였다. 적어도 거의 모든 언어에서 발견되는 기본적인 문장구조는 인지구조와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음을 보이려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관점에서 한국어 경어법에 관한 임동훈(2000)의 주장을 재조명하려 하였다.

      • KCI등재

        통계적 영상처리를 이용한 과일 선별시스템 개발

        임동훈 한국통계학회 2003 응용통계연구 Vol.16 No.1

        This study was to develop a fruit sorting system using statistical image processing. Histogram was used to compare fruit colors to standard fruit color and edge detector using Wilcoxon test was used to calculate an accurate geometrical characteristics of fruit including perimeter, area, major axis and minor axis length and roundness. The experimental result obtained from using our system for sorting apples was presented. 본 논문은 통계적 영상처리를 이용하여 과일 선별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히스토그램으로부터 과일 영상의 색깔에 대한 분포를 파악하고 이 표본 위치문제에서 Wilcoxon 검정을 이용하여 에지를 검출한다. 체인코드로부터 과일 영상의 면적, 둘레, 장ㆍ단축의 길이와 원형도 등 기하학적 특성값을 얻는다. 우리는 과일에 대한 영상실험을 통하여 통계적 에지검출 방법에 토대를 둔 시스템과 기존의 Sobel 연산자에 토대를 둔 시스템과의 비교 분석한다.

      • KCI등재

        한국어의 문장 유형과 용법

        임동훈 국어학회 2011 국어학 Vol.60 No.-

        문장 유형은 화행과 관습적으로 연관된 문법적 형식에 의해 표시되며, 일정한 체계를 이루고 상호 배타적이라는 특징이 있다. 한국어도 이러한 정의에 따른 다수의 문장 유형이 존재한다. 한국어에서 문장 유형의 일차적 분류 기준은 간접인용절에도 나타날 수 있느냐 높임, 중간, 안높임의 세 화계에 두루 나타나느냐의 두 가지이다. 이에 따라 한국어는 평서문, 의문문, 명령문, 청유문의 4가지 문장 유형을 설정할 수 있다. 한국어 문장 유형은 주로 종결어미에 의해 표현되고 특징적인 억양 패턴이 이에 동반된다. 종결어미가 나타내는 문장 유형의 문법 범주는 서법에 포괄될 수 있다. 의미상 서법은 단언적인 것과 대립되는 측면뿐만 아니라 평서적인 것과 대립되는 측면이 있으며 분포상 필수성과 상호 배타성을 띠기 때문이다. 서법은 크게 서실법과 서상법으로 나뉘는데, 평서문과 의문문은 전자에, 명령문과 청유문은 후자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한국어에서 평서문은 다른 문형에 비해 무표적이지 않으며 반말체에서는 담화 참여자 간의 담화적 관계에 따라 세분되는 모습을 보인다. 감탄문은 독자적인 문형으로 간주할 만한 근거가 충분치 않으며 평서문의 일종으로 볼 수 있는데, 이는 경계문이나 약속문도 마찬가지다. 의문문은 크게 판정의문문, 선택의문문, 설명의문문으로 나뉘는데, 판정의문문은 화자가 어떠한 답변을 기대하는지에 따라 중립 의문문과 편향 의문문으로 나뉜다. 판정의문문과 달리 의문사가 쓰이는 설명의문문은 억양 패턴이 평서문과 동일하다. 의문사는 그대로 부정사(indefinites)로 쓰이거나 ‘-ㄴ가’나 ‘-ㄴ지’가 붙어 부정사로 쓰일 수 있다. 그리고 설명의문문에 부정극어가 나타나면 반대의 극성을 단언하는 수사의문문으로 해석이 고정되는 모습을 보인다. 명령문은 수행 주체의 인칭에 따라 세분되기도 하나 한국어는 명령문과 청유문이 독자적인 문형으로 간주될 수 있다. 명령문의 서술어는 주로 동사이지만 사람의 성품이나 태도를 나타내는 형용사에는 명령형 어미가 결합할 수 있다. 또 기원이나 허락을 나타내는 문장도 명령문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한국어는 개별화되지 않은 청자에게 쓰이는 문장들이 존재하는데 평서문은 ‘-다’ 형이, 의문문은 ‘-ㄴ가’ 형이, 명령문은 ‘-으라’ 형이 이를 담당한다. 그리고 청유문은 화자와 청자의 공동 수행뿐만 아니라 화자나 청자의 단독 수행 장면에도 쓰이는데, 이는 1인칭 복수의 특수성에 기인하는 현상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후보

        국어 양태 체계의 정립을 위하여

        임동훈 한국어의미학회 2003 한국어 의미학 Vol.12 No.-

        Lim Dong-hoon. 2003. On the Modal System in Modern Korean. Korean Semantics, 12. The concept of ‘modality’ and ‘speaker attitude’ should be redefined on the basis of linguistics proper even though they are useful in the field of philosophical psychology and logic. The modality could be divided into subjective modality and objective modality, but the objectivity of modality is very restricted in discourse contexts and the subjectivity of modality is much more basic. Imperative is distinct in terms of both its grammatical realization through verbal inflection and its function of expressing speech acts although it has been usually considered a member of deontic modality. But this kind of phenomenon concerning imperative is widespread in Korean. So the distinction between speech acts and modaltiy, sentence type is very important and necessary in Korean. A lot of differences between epistemic modality and deontic modality is superficial and they can be reinterpreted as another similarities between them. The basic difference exists in epistemic truth vs. social normality division, and the other differences are derivative. Evidential modality is a special kind of epistemic modality, and evaluative modality and deontic modality concerning the agent's ability and intent should be excluded from modality. In Korean the category of modality is expressed grammatically by verbal endings, some periphrastic constructions, and then adverbs and particles considered to express modal meanings should be excluded from modality category. Particles expressing topic, focus should be studied in terms of the theory on information structure.

      • KCI등재

        한국어의 서법과 양태 체계

        임동훈 한국어의미학회 2008 한국어 의미학 Vol.26 No.-

        The aims of this paper are to overview and examine the typological, cross-linguistic studies on the mood and modal systems, and to set up the Korean mood and modal systems. The summary of this paper is as follows. First, the modality can be defined to be the grammatical category which indicates the speaker's attitude toward the factuality and actualisation of the proposition. Second, the mood is realized into the inflectional form of the main verb and should carry distributional obligatoriness, and the other realm of modality is considered into the grammatical modality. Third, evidentials can be included into the realm of epistemic modality because they indirectly indicate the speaker's belief toward the proposition through marking the source of the information. Fourth, agent-oriented modality has a shortcoming since it is almost impossible to tell permission from permissives. Fifth, both epistemic modality and deontic modality can be characterized by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real world and the possible world, but the nature of the possible worlds and the direction of the fit differs. Sixth, deontic modality in Korean is realized into periphrastic constructions, and permission and obligation have a mirror image with regard to the scope of the negation. Seventh, irrealis mood can be defined as a scalar concept which includes the meaning of unreality, non-referring, low certainty. Eighth, the mood in Korean is realized into embedding endings such as ‘-um, -ki’, ‘-n, -l’. Ninth, the modality in Korean is realized into prefinal endings such as non-assertive ‘-keyss-, perceptionally evidential -te-’, and terminal endings ‘-kuna, -ney, -ci’. Tenth, ‘-ci’ indicates the speaker's attitude of knowing toward the proposition, and ‘-kuna, -ney’ indicate the speaker's attitude of newly perception toward the proposition.

      • KCI등재

        임의의 불완전 순위자료 분석을 위한 비모수적 방법

        임동훈 한국통계학회 2000 응용통계연구 Vol.13 No.1

        본 논문에서는 모든 판정자(judge)들이 모든 객체(object)들에 대해 순위를 부여할 수 없는 경우에 얻어지는 불완전 순위자료에서 판정자들의 처리 효과에 대한 유의성을 검정하는데 관심이 있다. 이를 위해 불완전 순위자료를 완전자료로 바꾸는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알고리즘에 의해 얻어진 완전 순위자료에 Friedman 검정법을 적용하고자 한다. 제안된 검정법은 결측 객체에 순위를 부여하는데 있어서 완전순위를 갖는 판정자들의 정보를 이용함으로서 효율적이며 검정을 시행하는데 기존의 Friedman 통계량에 대한 분포표를 사용할 수 있어 간편하다. 그리고 몬테칼로 모의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검정법과 기존의 평균 순위법, 최대/최소 Friedman 검정법과 검정력을 비교하였다.

      • KCI등재

        안전한 장중첩증 공기압정복장치의 제작 및 임상적 이용

        임동훈 대한영상의학회 1998 대한영상의학회지 Vol.39 No.5

        Purpos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sign a safe air-pressure reduction system which can absorb rapidly rising intraluminal pressure during intussusception, and comparison with other reduction systems to test its clinical availability. Materials and Methods : The air-pressure reduction system consisted of a pressure gauge, air insufflators, a pressure controller, buffers, and rapid exhaustion devices, and to determine its absorbability, it was connected with a bowel model. By using it in 20 infants with intussusception, we compared the absorbability of our air-pressure reduction system with preexisting systems.Results : While extraluminal pressure was applied to the bowel model in which baseline intraluminal pressure was set to 120mmHg, this rose to176mmHg (56mmHg high to standard, 100%) in the direct infusion system, but to only 130 mmHg (10mmHg high to standard, 17.9%) in a system connected to a large buffer of 10,500mL capacity. Immediately after the application of extraluminal pressure for less than 1 sec, this air-pressure reduction system showed better absorbability than the hydrostatic reduction system. Applying this system to 20 infants with intussusception, this was successfully reduced in 19 cases(95%), without complications.Conclusion : In this experiment, it was proved that the system absorbed rapid intraluminal pressure elevation. Its use would help prevent bowel perforation during air reduction occurring during intussuscep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