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Low Power Digital Logic Gate Circuits Based on N-Channel Oxide TFTs

        임도,박기찬,오환술,Ren, Tao,Park, Kee-Chan,Oh, Hwan-Sool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 2011 電子工學會論文誌-SD (Semiconductor and devices) Vol.40 No.1

        N-channel 산화물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이하 TFT)만을 이용한 저소비전력 inverter, NAND, NOR의 논리 게이트 회로를 제안한다. 제안된 회로는 asymmetric feed-through와 bootstrapping을 이용해서 pull-up, pull-down 스위치가 동시에 켜지지 않도록 설계하였다. 그 결과로 출력신호 전압 범위가 입력신호 전압과 동일하고 정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인버터는 5 개의 TFT와 2 개의 capacitor로, NAND 및 NOR 게이트는 각각 10 개의 TFT와 4 개의 capacitor로 구성된다. 산화물 TFT 모델을 사용하여 SPICE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제안된 회로의 동작을 성공적으로 검증하였다. Low-power logic gates, i.e. inverter, NAND, and NOR, are proposed employing only n-channel oxide thin film transistors (TFTs). The proposed circuits were designed to prevent the pull-up and pull-down switches from being turned on simultaneously by using asymmetric feed-through and bootstrapping, thereby exhibited same output voltage swing as the input signal and no static current. The inverter is composed of 5 TFTs and 2 capacitors. The NAND and the NOR gates consist of 10 TFTs and 4 capacitors respectively. The operations of the logic gates were confirmed successfully by SPICE simulation using oxide TFT model.

      • KCI등재

        후발효차(보이차) 보관 조건에 따른 주요 성분 변화

        임도 한국상품학회 2019 商品學硏究 Vol.37 No.4

        보이차와 같은 후발효차는 일반적인 차와 마찬가지로 장기간 보관하며 이용하지만 후발효차 고유의 특성으로 인해 보관 중에도 일부 성분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보이차의 특성에 적합한 보관 조건을 확인하고자 일상적인 보관 조건 중 다양한 용기 보관 조건에 따른 성분 변화의 차이를 액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보이차의 대표적인 성분인 카페인, 테아닌, 갈산, 카테킨류 등을 분석한 결과에서 카페인과 테아닌의 경우 보관 조건에 따른 차이가 크지 않음을 확인하였으며, 카페인의 경우 모든 용기 보관 조건에서 거의 동일한 함량을 나타내었다. 반면, 갈산과 카테킨류의 경우 용기 보관 조건별로 차이가 나타났는데, 갈산은 모든 용기 보관 조건에서 함량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카테킨류 성분 중에서는 epigallocatechin gallate가 용기 조건에 따라 가장 변화가 크게 나타났으며, gallocatechin gallate와 epicatechin gallate 등 gallate 기를 포함하는 카테킨류가 그 다음으로 조건별로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빛을 차단하는 차광의 조건보다는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는 밀폐의 조건이 함량의 변화에 더 큰 영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결과적으로 장기간 보관을 요하는 보이차의 경우 상품성 유지를 위하여 밀폐 조건을 기본으로 하여 차광 등 부가적인 보관 조건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In this study, the differences in the composition of post fermented tea according to various container storage conditions were confirmed by liquid chromatography - mass spectrometry. Analysis of caffeine, theanine, gallic acid, and catechins, which are typical components of post fermented tea,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affeine and theanine depending on storage conditions.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gallic acid and catechin,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ontainer storage conditions, and the content of gallic acid decreased in all container storage conditions. Among the catechins, epigallocatechin gallate showed the greatest change according to the container conditions. Catechins including gallate groups such as gallocatechin gallate and epicatechin gallate showed the greatest change after each condition.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dition of the airtightness to block the contact with the air had a greater influence on the change of the content than the condition of the light shielding to block the light in the overall result.

      • KCI등재

        리어 왕의 바보광대와 예이츠: 『리어 왕』과 『마음이 열망하는 곳』을 중심으로

        임도 한국중세근세영문학회 2016 고전·르네상스 영문학 Vol.25 No.1

        This essay explores the correlation between Lear’s Fool and Yeats (both his Fool and himself as a dramatist). The Fool in King Lear is an artificial fool who wears a motley coats and a cockscomb for his job. But compared with other typical artificial fools, he might look like a natural fool who loses his wits because of his unusual attitude: he devotes himself to Cordelia sincerely and suffers from Lear’s tragedy together. In spite of this fact, however, he is eventually estimated as a supremely wise fool who follows some value different from a secular one. Yeats’s Fool, on the other hand, is an Irish village fool as shown in his The Hour-Glass. He is a natural fool who has lost his wits, but he is also a holy fool who retains supernatural wisdom. Hence, though he is apt to be treated as a fool in the visible world, he can be evaluated as a wise man if our life is expanded to the invisible world. This evaluation is true of Mary the heroine of the play The Land of Heart’s Desire, who may be useless in her reality as a result of her aspiring to Fairyland. In conclusion, this essay argues that Yeats as a dramatist can be differently estimated according to the point of view. He desired the symbolic theater instead of following the realistic theater, popular among his contemporaries because he believed it was more valuable to stir the audience' imagination than to be popular. Thus, he may be considered as an unpopular dramatist, whereas he can also be judged as a great artist who has “the untamed and untamable mind of the world.”

      • KCI등재

        상품성 증진을 위한 아크릴릭 네일 재료의 휘발성 유해성분 연구

        임도 한국상품학회 2018 商品學硏究 Vol.36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emical components of nail art materials that are likely to have harmful effects on the human body and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 related industries. Especially, during the process of nail ar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inflow into the body through the respiratory system of workers and customers. This results in potential hazards from long-term exposure, even at low levels or concentrations. Therefore, by studying the volatile constituents of the materials used in the work, we sought to determine the level of risk involved. As a research method, volatile components of each product were analyzed using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which is frequently used in volatile components research, and n-hexane was used as an extraction solvent to detect the maximum volatile components in consideration of safety. The products used in nail art are classified by type and the products of the three countries are mainly studied by manufacturers who are frequently used in domestic. As a result, volatile components such as methacrylic acid were detected as major components in each product group. Most of these ingredients are known to be relatively safe and less harmful to human body. They are ingredients that can be used as raw materials for cosmetics including nail art materials, but they are not problems as nail art materials. However, Considering the nature of the work done at close range of the worker's respiratory system, long-term hazard analysis should be considered. 본 연구는 미용 분야에서 최근 그 활용도가 증가되고 있는 네일아트에 사용되는 재료 중에 포함되어 있는 다양한 화학 성분들 중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은 성분들을 파악함으로써 관련된 제품들의 상품성 증진 및 개선 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특히 아크릴릭 네일아트 실시 과정 중 작업자의 호흡기를 통한 체내 유입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낮은 유해성이나 농도에도 장기적인 노출에 의한 위해가능성이 있으며, 피작업자의 경우에도 작업의 빈도에 따라 비례적인 위해가능성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에 사용되는 재료의 휘발성 성분을 연구함으로써 관련된 위험성의 수준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서 휘발성 성분의 연구에 빈번히 사용되고 있는 기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각 제품의 휘발성 성분을 분석하였으며, 안전성을 고려하여 최대한의 휘발성 성분을 검출하기 위해 추출 용매로서 n-hexane을 사용하였다. 네일아트에 사용되는 제품을 종류별로 구분하고 현재 국내에서 사용빈도가 높은 제조사를 중심으로 3개 국가의 제품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에서는 제품군별로 methacrylic acid 등 휘발성 성분이 주요 성분으로 검출되었다. 해당 성분들의 경우 대부분은 인체 유해성이 보통 이하로 비교적 안전한 성분으로 알려져 있으며, 네일아트재료를 포함한 화장품의 원료로서 사용이 가능한 성분들로서 네일아트 재료로서도 문제가 되지는 않지만 실제 네일아트 실시 환경에서 작업자와 피작업자의 호흡기와 근접한 거리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의 특성을 감안한다면 장기적인 유해성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KCI등재

        HPLC와 DPPH radical 소거능 측정 방법의 결합에 의한 약용 식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비교

        임도연(Do-Youn Im),표병식(Byoung-Sik Pyo),김선민(Sun-Min Kim),이경인(Kyoung-In Lee) 한국생명과학회 2017 생명과학회지 Vol.27 No.1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분리 및 분석에 가장 빈번히 사용되고 있는 C18 column과 UV 검출기가 장착된 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와 항산화 활성 측정에 사용되는 1, 1-diphenyl-2-picryl hydrazyl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 방법을 결합한 HPLC-DPPH 동시 측정법의 최적화와 유용성 확인을 약용식물의 추출물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적용된 HPLC-DPPH 동시 측정법의 유용성은 갈근, 건강, 유근피, 모과, 황기 등 5종 약용식물의 열수추출물과 대조군으로서 ascorbic acid의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여 확인하였다. HPLC-DPPH 동시 측정에 앞서 추출액 중 고형분 함량을 refract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함으로써 추출 수율에 따른 활성 차이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갈근, 모과, 유근피 열수추출물의 라디칼 소거능이 대조군으로 사용된 ascorbic acid와 비교하여 7.77%, 4.71%, 4.19%로서 다른 열수추출물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측정법은 실제 활성 성분의 분리 및 분석에 있어서 불필요한 시간 및 시약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유용한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Natural anti-oxidative compounds have important disease prevention and food preservation properties, in addition to anti-bacterial, anti-inflammation, anti-cancer, and skin whitening effects.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with an ultra vilolet (UV) detector coupled to a reverse phase C18 column and an online measurement system for 1, 1-diphenyl-2-picryl hydrazyl (DPPH) radicals, was used to search for potent antioxidative compounds in crude extracts. The online HPLCDPPH assay was then applied to confirm antioxidative compounds in water extracts from Radix of Pueraria lobata, Rhizoma of Zingiber officinale, Fructus of Chaenomeles sinensis, Cortex of Ulmus pumila, and Radix of Astragalus membranaceus. To determine the yields of the extracts, the Brix% of each extract solution was measured using a refractometer. When the relative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values of the water extrac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a positive control (ascorbic acid), the water extracts of P. lobata, C. sinensis, and U. pumila were 7.77%, 4.71%, and 4.19%, respectively. The results suggest that this method provides a useful assay for rapid measurement of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ies and conformation of antioxidative compounds in natural products. Moreover, it can reduce the time spent on the separation of active compounds from natural materials, such as medicinal plants, in addition to the use of reagents for sepa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