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임근석 국어학회 2008 국어학 Vol.0 No.51
본고는 국어 ‘문법적 연어’가 문법화와 어떤 관계를 가지는지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법적 연어는 임근석(2005ㄱ, 2006)에서 다루었던 연어 개념을 비교 기준으로 삼고 문법화의 경우 전형적인 문법화 연구를 문법화 연구Ⅰ, 기능론적ㆍ유형론적 관점의 연구를 문법화 연구Ⅱ로 나누어 비교ㆍ대조한다. 문법적 연어 연구와 문법화 연구는 연구 대상이 겹칠 수도 있으나 도입 동기, 연구 방법 및 연구 초점, 효용성 등에서 커다란 차이를 보인다. 이는 단지 문법적 연어 연구와 문법화 연구가 다르다는 것을 보여 줄 뿐만 아니라 문법적 연어 연구와 문법화 연구가 상호 보완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ㄴ 뒤에, -기 시작하-’라는 문법적 연어를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문법적 연어 연구의 효용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환언 관계의 어휘요소간 경쟁에 대한 고찰 - 대규모 신문 말뭉치를 중심으로 -
임근석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2025 언어사실과 관점 Vol.64 No.-
본고는 9억 2천만 어절 규모의 신문 말뭉치를 활용하여 환언 관계를 이루는 어휘요소(단어, 연어, 관용표현)의 경쟁 관계를 분석하였다. 기존의 국어 어휘의미론 연구가 주로 단어 중심으로 진행되었다면, 본고는 기의에서 기표로의 방향에 초점을 두고, 단어 외에도 연어와 관용표현을 함께 다루어 이점을 제시하였다. 3절에서는 대규모 신문 말뭉치를 전처리하고, 계량적 정보와 통계적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을 설명했다. 이 과정에서 형태소 분석기를 통해 양질의 형태소 분석 결과를 도출하여 유의미한 작업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4절에서는 환언 관계를 형성하는 어휘요소들의 다양한 경쟁 관계를 분석하고, 어휘요소들의 상대 빈도 비율이 유지되고, 확대되고, 감소하는 양상을 관찰하였다. This paper analyzes the competitive relationships among words, collocations, and idiomatic expressions that form paraphrastic relationships using a newspaper corpus of 920 million eojeols. While previous research in Korean lexical semantics has predominantly focused on words, this study emphasizes the direction from meaning to text, presenting the advantages of including not only words but also collocations and idiomatic expressions. Section 3 describes the preprocessing of the large newspaper corpus and the process of extracting quantitative and statistical information. It demonstrates that meaningful work is possible by deriving high-quality morphological analysis results using a morphological analyzer. Section 4 analyzes the various competitive relationships among lexical units that form paraphrastic relationships, observing patterns of maintenance, expansion, reduction, and even obsolescence in the usage of these lexical units.
임근석,지용구 한국전자거래학회 2022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27 No.1
This paper is a study to analyze when ISV(independent software company) has more active participation in the platform ecosystem.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companies are active in technological innovation when they can appropriate the outcome of innovation and when they have complementary assets (marketing, manufacturing capabilities, etc.) that can convert the innovation into value. The effect of these two conditions to join platform ecosystem is investigated. The duplication between the ISV’s product portfolio and platform service is also includ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The two sample groups are composed of independent SW companies that signed a partner agreement with platform companies and non-participating companies in the platform. As a result of empirical study, it is found that the patent rights do not affect participation in the platform. The ISVs might have believed that the benefits from cooperation with platform companies are greater than the risks of exposure to innovative technologies and unique Biz models. On the other hand, downstream's capability and the duplication of product portfolio affect participation in the platform. If ISVs have the downstream capability to transform cooperation into value creation, ISVs are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platform. In addition, cooperation is active when the product portfolio is complementary to platform service rather than competition. This study is the empirical study of open innovation between Korean independent software companies and digital platform companies. There are similar prior studies abroad, but there are no similar studies in Korea. It is meaningful in that the determinants of platform ecosystem participation were investigated through empirical analysis by composing a sample group of companies participating in the platform ecosystem and companies not participating in the platform ecosystem. 본 논문은 국내 독립 SW기업(ISV, Independent Software Vendor)이 어떤 조건을 갖추었을 때 플랫폼 생태계 참여에 더 적극적인가를 분석한 연구이다. 기업은 기술혁신의 결과를 전유할 수 있을 때와 해당 기술을 가치로 전환할 수 있는 보완자산(마케팅, 제조역량 등)을 보유한 경우 기술혁신에 적극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두 조건이 플랫폼 생태계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 SW기업이 보유한 제품 포트폴리오와 플랫폼의 서비스간 경쟁관계가 플랫폼 참여에 영향을 준다고 보고, 해당 요인의 영향도 분석하였다. 디지털 플랫폼 기업들과 파트너 협약을 한 국내 독립 SW기업 그리고 이에 대응하는 비슷한 수의 플랫폼 미참여 기업으로 표본집단을 구성하여 플랫폼 참여, 특허 및 개발 후 사업화 역량, 경쟁관계 등의 데이터를 취합하고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특허 보유 여부는 플랫폼 참여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혁신기술과 사업모델의 노출에 따른 위험보다 플랫폼 기업과 협력으로부터 발생하는 효익이 크다고 판단한 결과로 여겨진다. 반면, 사업화 역량 보유와 경쟁 관계는 플랫폼 참여에 영향을 주었다. 협력의 결과를 가치로 전환할 수 있는 사업화 역량을 보유한 경우 플랫폼 참여 가능성이 커진다. 또, 제품 포트폴리오가 플랫폼 서비스와 경쟁보다 보완관계가 될 때 협력에 적극적이다. 본 연구는 국내 독립 SW기업과 디지털 플랫폼 기업간 협력을 다룬 실증연구로서 해외에는 유사 선행 연구가 있지만 국내에는 유사한 연구사례가 없다. 플랫폼 생태계 참여 기업과 미 참여 기업을 표본집단으로 구성하여 플랫폼 생태계 참여 결정요인을 실증분석을 통해 규명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임근석 한국어학회 2022 한국어학 Vol.95 No.-
This paper aims to show the characteristics of Meaning-Text Theory(MTT) and examine its benefits in dealing with Korean idiomatic expressions. MTT is a theoretical frame for the description and explanation of Meaning-Text model of natural languages. According to Igor Mel’cuk, who is one of the founders of the theory and eagerly advances it, idiomatic expression is a sub-category of phrasemes. Following his approach we examined the categorical position of Korean idiomatic expression in the domain of phrasemes and the definitional properties of idiomatic expressions and the related sub-categories. It seems very useful for Korean scholars to consider the approach in studying Korean idiomatic expressions. Firstly, the rigorous discussion on compositionality, non-restrictedness, regularity as the criteria of phrasemes could broaden our understanding about the sub-categories of phrasemes. Secondly, the insightful concept, or semantic pivot, would assist researchers to distinguish and compare the sub-types of idiomatic expressions: full idiom, semi-idiom and quasi-idiom. 본고는 의미-텍스트 이론의 특성이 무엇인지 살피고 그 방법론이 한국어 관용표현 연구에 어떤 이점을 제공하는지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의미-텍스트 이론은 자연어의 의미-텍스트 모형을 기술하고 설명하기 위한 이론 틀이다. 의미-텍스트 이론의 창시자 중 한 명이며, 이 이론을 열정적으로 발전시키고 있는 멜축에 따르면, 관용표현은 성구소의 한 하위 범주이다. 본고에서는 그의 방법론에 따라, 한국어 관용표현의 범주적 위치와 그 정의적 특성을 관련 범주와 함께 검토하였다. 한국어 관용표현을 연구함에 있어 의미-텍스트 이론은 다음의 두 가지 측면에서 유효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첫째, 성구소의 판별 기준으로 제시된 합성성, 비제약성, 규칙성은 성구소의 하위 범주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둘째, 의미적 중심축이라는 통찰력이 돋보이는 개념은 관용표현의 하위 유형인 정관용표현, 준관용표현, 의사관용표현을 구분하고 비교하는 데 도움이 된다.
타동성의 관점에서 살펴본 ‘-을/를, -에 대해, -을/를 가지고’ 비교 연구
임근석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2016 언어학 Vol.0 No.75
This paper aims to show and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eul/reul’, a typical objective marker in school grammar, and ‘-e daehae, -eul/reul gajigo’ which are grammatical collocations and can be substituted for ‘-eul/reul'. as many preceding literature, we prepose that transitivity is composed of many grammatical components and can be explained by the prototype theory. This paper follows the approach of Lim(2014) and analyzes the real data of ‘-eul/reul, -e daehae, -eul/reul gajig’ based on the 8 grammatical features: substitution of other case markers and grammatical collocation, passivization, serial verb construction, relative clause, intentionality, effectedness, perfectivity, individuation. Finally we gain the result that ‘-eul/reul’ has 4.9 scores for its transitivity, ‘-e daehae’ 3.95 and ‘-eul/reul gajigo’ 3.01 respectively.
임근석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9 한국어 교육 Vol.20 No.3
Geun-Seok Lim. 2009. Grammatical Collocations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focused on Josajeok Yeoneo(postposition-like collocation).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20-3: 161-184. This paper aims to show the list of Josajeok Yeoneo and examine three dictionaries which might be looked up frequently by Korean language learners. Josajeok Yeoneo is a subtype of grammatical collocation and functions as a Josa(postposition) like any other regular Josa. To achieve these goals, we suggest the criteria briefly, which was originally discussed in Lim(2005, 2006), to judge Josajeok Yeoneo and show the process of applying them to stochastically extracted data. Through this way, we can get 71 constructions of Josajeok Yeoneo. Finally we can see a table showing how the three dictionaries deal with the list suggested in this paper. (OLST at Montreal University)
서술어의 분류와 언어유형론 연구의 상관관계에 대한 검토
임근석 한국어의미학회 2014 한국어 의미학 Vol.46 No.-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how verbal classification helps the development of linguistic typology and how linguistic typology can be used to building universal predicate classification. Compared to nominal classes, predicate classes are not studied systematically in terms of quality and quantity particularly because of the difficulties of classifying predicates. In section 2, two different approaches― ontological and pure linguistic approach―are examined in verbal classification. In section 3, I will deal with some basic issues which must be argued for predicate classification. It contains the universal existence of verbal class, and the target of predicate classification. In section 4, I will examine two examples that show somehow the positive possibility of heuristic research between predicate classification and linguistic typology.
준술어 개념을 이용한 어휘관계 기술 - 전문용어 데이터 구축의 관점에서 -
임근석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2023 언어사실과 관점 Vol.58 No.-
본고는 Mel’cuk & Polguère(2008)과 Polguère(2012) 등에서 제안된 준술어(quasi-prédicat) 개념을 소개하고 그 특징에 대해 한국어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의미소(sémantème)’는 온전한(plein) 어휘 요소(불. lexie, 영. full lexical unit)의 기의(signifié)를 가리키는 것으로, 뽈귀에르 교수는 의미소를 ‘결속(liant)’의 유무와, 사태와 존재의 구분이라는 두 가지 기준을 이용하여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본고에서 다루는 준술어는 결속의 의미를 가지며 존재를 지시하는 유형이다. 이러한 논의 과정에서 개념적 유사성이 있는 준술어와 술어명사의 개념과 특성에 대해서도 비교하였다. 기존의 전문용어 기술이나 데이터 구축에서는 언어학적 관점에서 언어 정보가 충분히 반영되지 않고 있다는 반성과 함께 본고에서는 준술어를 이용할 경우 전문용어의 언어학적 정보를 더 풍성하게 기술할 수 있다는 점을 밝히었다. 첫째, 검토대상이 되는 전문용어가 준술어일 경우 뜻풀이에 준술어와 내재적 술어(prédicat inhérent)가 표상하는 사태를 이용하여 정의항을 기술할 것을 제안하였다. 둘째, 준술어인 전문용어가 가지는 어휘 결합의 특성을 준술어적 특성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다루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