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심리극 치료효과에 대한 연구

        임계원,이근후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81 신경정신의학 Vol.20 No.3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ttempt a positive introduction of psychorama to therapy. The subject were 6 patients who had attended at 12 psychodrama sessions in Ewha Medical College Hospital,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from Dec. 1980 to Feb. 1981. The instruments used was Self Actualization Test (SAT) as a pretreatment and posttreatment measure. As subjective test, assessments of therapist and patients himself on clinical scales were used.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Changes from pretreatment to postreatment were all in the positive direction in the positive direc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except for only one scale, Self regarding (Sr), showing remarkable improvements especially in scales of Time competence (Tc) and Self acceptance (Sa). 2. In each experimental case, changes between pre and post treatment were as follows; case 1-All scales were changed in the positive direction. case 2-Means were increased. Seven of Self actualization scales were increased except Existentiality (Ex), Feeling reactivity (Fr), Nature of man (Nc). Especially Time competence (Tc), Self acceptance (Sa) and Spontaneity (S) value scales were increased. case 3-Mean were decreased. Two of Self actualization scales were increased; Self acceptance (Sa), Nature of man (Nc), especially Self acceptance (Sa). case 4-Means were increased. Especially Feeling reactivity (Fr) and Self acceptance (Sa) scales were increased. case 5-Means were increased. Five of Self actualization scales were increased, especially Spontaneity (S), Self regard (Sr), and Feeling reactivity (Fr), but Time competence (Tc) scales showed excessively high profile. case 6-Means were decreased. Four of Self actualization scales were increased; especially Time competence (Tc), Self actualizing value (Sav), Feeling reactivity (Fr), Nature of man(Nc). 3. Therapist's clinical assessments; There were improvements especially in emotional express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social functioning. Insight scales and spontaneity were also improved. 4. Assessments of patient himself; They responded positively with emotional expression, self acceptance, social functioning, spontaneity scales and especially with insight scales. 5. Assessments about interaction of therapeutic effects and role distribution; Role of protagonist was usually assigned to 1 or 2 patients for one session. Rates of participation in protagonist and auxiliary ego roles were related to therapeutic effects, though not proportionally.

      • 여대생과 여성산업근로자의 우울에 관한 연구

        정성덕,임계원,김융일,김성이 가톨릭대학교 학생생활상담소 1983 聖心生活 Vol.2 No.-

        불안이나 우울은 정도의 차이는 있을지라도 생활하는 모든 사람이 겪는 정신의학적 증세이다. 불안은 개인적인 내적 심리나 사회환경적인 외적 여건에 따라서 사람마다 경험이 다르고 증세의 발현 양상도 다양하다. 즉 불안증세의 발병율이 일반인구중 2-4% 라고하는 보고서도 있고 여러가지 신경증 발병빈도인 전체인구의 1/0-1/10이라는 숫자가 불안빈도에 해당된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그리고 우울은 일반인구중 15 %가량되며 정신병동 입원환자중에는 23%나 된다고 한다.(DSM Ⅲ 1980) 이 우울은 신체화하여 가변적으로 표현되는 경향이 강하며, 불안과 우울이 중첩되는 경향이 짙다고 보는 연구자도 있다. (Stoeck1e 1962, 정학송 : 1977 ) 또 우울증이 불안을 동시에 갖거나 불안신경증이나 우울신경증 환자의 약 1/3정도는 판결이 불가능하다는 보고도 된 바 있다.(Lopez : 1972, 김명호 : 1981) 그리고 신체척인 만성질환이 있을때도 불안이나 우울은 쉽게 경험된다고 한다. 이러한 우울이 20대전후의 연령군인 여대생들은 어느정도로 경험하고 있는지 측정해보는 것도 흥미있는 연구이다. 특히 이 연령군은 미성년에서 성인이 되는 과정이라는 점이나 가정과 사회생활의 조화와 더 나아가서 교우관계나 졸업후의 진로문제 등 자아통일성을 확립해 나가 는시기이다. 이들이 겪고있는우울을 측정하여 그원인을 사회정신의학적 견지에서 분석해봄으로써 이들이 정신증적으로 흐르는 경향을 미리 예방하는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보는바 본조사를 실시 하였다.또한 동일 연령군에 놓인 여성근로자들을 택하여 그 성적을 비교검토해 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