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계단축조에 관한 소고

        임경미(원영) 한국정토학회 2007 정토학연구 Vol.10 No.-

        인도에는 간단한 표시와 결계에 의해 계단이 설치되었다. 지금처럼 고정설비를 갖추지는 않았다. 하지만 중국에서는 달랐다. 중국에서는 탑형식의 특정 모형물이 축조되었던 것이다. 그런데 도선에 의해 성립되었다고 하는 계단은 그 규모가 인도와는 다른 형태였다. 현장의 역경사업에도 참여하고 있었던 도선이 인도풍의 계단에 대해 전혀 모르고 있었다고는 생각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선은 인도풍에 따르지 않고 중국풍의 새로운 계단을 이루어 낸 것이다. 중국불교에 맞는 계율을 평생 모색해왔던 도선은 계단축조에 있어서도 그 나름대로의 독자성을 발휘하였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도선의 계단축조는 이후 한반도와 일본열도에도 전해져 현재에 이르기까지 출가수계에 사용되고 있다. 특히 통도사의 금강계단은 도선의 영감계단보다 빨리 성립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그렇다고 도선의 영향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도선이 최후에 완성했다고 하는 영감계단보다는 이르다고 말할 수 있다. 본 소고에서는 주로 계단의 설정방법과 그 형태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러나 실제 현존하는 계단 위에서 수계가 얼마나 이루어졌는지는 의문이다. 대개는 상징적인 축조물로서 남겨두고, 실제 수계는 그 앞이나 법당 등에서 이루어진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The ordination platform was established by the simple sign and limited area in India. This wasn't in accordance with fixed equipment like now. However it was different in China. There was the specific model of tower style there. Though the ordination platform established by Tao-hsǔan was differentiate from the platform's size of India. It doesn't seems that Tao-hsǔan who participated in the adverse business on the spot didn't know about India style's ordination platform. Although Tao-hsǔan didn't follow the India style and completed new ordination platform of chinese style. Tao-hsǔan tried to find Buddhist percepts which suited for Chinese Buddhism for entire life and he might display originality itself about ordination platform construction The ordination platform construction of Tao-hsǔan is handed down at the Korean Peninsula and Japan' chain of islands and used in the disciple of Buddha of Buddhist priesthood. Especially it is highly expected that Tongdosa Diamond Ordination platform had established earlier than Ling-gan ordination platform of Tao-hsǔan. Even if it is affected by Tao-hsǔan, it is completed earlier that Ling-gan ordination platform that Tao-hsǔan finished the last. In this piecemeal consideration, I mainly inspected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ordination platform. However I wonder how many ordinations got accomplished on the existed ordination platform. Nearly this remained to be symbolic structure and real ordination might realize in front of it or the sanctuary etc.

      • KCI등재

        도선율사와 율종계보에 대한 논의

        임경미(원영) 한국정토학회 2010 정토학연구 Vol.13 No.-

        본고는 오늘날 한국불교가 전승해오고 있는 율종과 그를 완성시킨 도선에 대해 먼저 살펴보고, 이 시대에 맞는 진정한 율맥의 전승은 무엇이며, 율 계보의 필요성에 대해 숙고해보려는 의도에서 작성되었다. 고찰의 결과, 남산도선(南山道宣:AD.596-667)은 사분율 이 중국불교에서 확고한 위치를 구축할 수 있도록 힘썼던 인물이라는 것이 그의 생애나 저술활동 등을 통해 밝혀졌다. 중국에서는 구마라집(鳩摩羅什:AD.344-409)을 중심으로 한 십송율 이 가장 먼저 번역되었을 뿐만 아니라 앞서 성행하였다. 그러나 다른 율장들이 번역됨에 따라 율장의 비교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게 되었고, 그에 힘입어 가장 잘 정비되었다고 하는 사분율 이 율종의 구심점이 되었던 것이다. 지역적으로 보면, 남부지역에서는 십송율 , 관중(關中)지역에서는 마하승기율 의 연구가 활발하였다. 뒤늦게 자리 잡은 사분율 은 초기에는 그다지 연구되지 않았다. 다만, 그 후 계율연구가 점차 활기를 띠게 되고, 율종이 성립되면서 사분율 의 연구가 북부지역을 중심으로 확대되어갔다. 그런 반면, 그 외의 율장은 점점 그 지위를 잃어가게 되었던 것이다. 이렇듯 비교적 늦게 연구되어진 사분율 은 법총(法聰)이 깊이 연구하면서 율종의 기초를 다졌다. 이후 혜광(慧光)이 더욱 융성시켰는데, 그에 힘입어 법려(法礪)의 상부율종(相部律宗), 회소(懷素)의 동탑율종(東塔律宗), 도선의 남산율종(南山律宗)이 성립하게 되었다. 이 외에도 법원(法願)을 개조로 하는 병부율종(幷部律宗)이 사분율종의 한 파를 이루었다. 하지만 모든 율종이 다 지속적으로 율맥을 이어가지는 못했다. 대부분 한쪽으로 통폐합되거나 힘이 미약해져 자멸해갔다. 그런 가운데에서도, 도선의 남산율종만큼은 제도화된 승가집단으로서 중국불교의 기반 위에 확고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한국불교 또한 그러한 남산율종의 영향권 아래에 들어있다. 이와 같이 성립된 남산율종은 지금까지도 그 계보가 전해진다. 일반적으로 족보나 계보라고 하는 것은 스승의 권위를 중시하는 제자들이 스승에게 인정받기를 염원하는 마음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또 옛것을 숭상하고 스승의 권위를 높이고자 하는 중국인들의 태도가 만들어낸 것이기도 하다. 율종계보를 만들어 명단을 나열하고, 그 계통을 주장하는 행위가 곧, 나와 내 스승의 정통성을 강조하는 가치가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계보중심의 사고는 종파주의로 인해 복합적이고 다양해진 불교정체성을 단순화시켰다. 그리하여 조직화된 승단을 만들어내는데 일조했고, 오랜 전통의 불교사를 더욱 빛나게 해주었음은 말할 것도 없다. 하지만 종교집단이 가진 지나친 계보중심의 태도는 오히려 잘못된 이해관계를 형성하고, 특정인들에 대해 배타적으로 작용될 우려가 있다. 불교 본래의 가르침과는 무관하게 말이다. 따라서 자신이 소속된 문중의 율맥을 강조하기 보다는 계율정신의 회복에 더 중점을 두어야 한다. 다시 말해, 이해관계를 떠난 불교계율의 보편적 가르침을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그것이야말로 현실적으로 더 바람직한 종교인의 자세가 될 것이다. First of all this thesis is written in the purpose to look into the Vinaya School that the today Korean Buddhism has handed down and Tao-hsüan(道宣:AD.596-667) that was completed it. Also it considered what the true tradition of Vinaya genealogy for this generation is and about the necessity of Vinaya genealogy. As the result of contemplation, which Tao-hsüan was figure trying for Ssŭ-fen lü 四分律(T1428) to build the firm position in the China Buddhism was discovered through his life and work. In China Shih-sung lü 十誦律(T1425) focused on Kumārajīva(鳩摩羅什: AD.344-409) was not only translated uppermost but also was prevalent earlier. However at translation of another Vinaya Pitaka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Vinaya Pitaka was made actively and Ssŭ-fen lü 四分律(T1428) that organized the best with the support of this became pivot of the Vinaya School. Looking into the regional, the study of Shih-sung lü 十誦律(T1425) in the south area, Mo-ho-seng-ch'i lü 摩訶僧祇律(T1425) in the middle area was active. Just after that, precepts study being active gradually and the Vinaya School being valid the study of Ssŭ-fen lü 四分律(T1428) was enlarged around the north area. Whereas other Vinaya Pitaka became lost its position by degrees. Every Vinaya School continuously didn't keep Vinaya genealogy. Mostly they became merged to one side or destroyed themselves being weakened. When it happened only the Nan-shan School of Tao-hsüan was occupied with the firm position on the base of China Buddhism as the institutionalized Buddhist group. Korea Buddhism was also under the influence of the Nan-shan School The Nan-shan School established like this handed down the genealogy until now. Generally something like pedigree or genealogy was started from the mind longing for pupils placing emphasis on the authority of teacher to stick from the teacher. Also the attitude of chinese to revere the old and raise the authority of the teacher made this. The deed that made and listed the Vinaya School genealogy and insisted the system was which became the value to emphasize legitimacy of me and my teacher. This idea of genealogy focus made the Buddhism identity that was compositive and varied because of religious principle simple. And then it played a part to make the organized Buddhist monk group and made the old traditional Buddhism history illustrious. Though the excessive attitude of genealogy focus builds the wrong connection and is concerned to work exclusively about the certain people. This is irrelevant to the original lesson of Buddhism. Therefore we shouldn't place emphasis the Vinaya School of family but keep the accent on the recovery of religious precepts mind. In other words, the suggestion of the universal lesson of Buddhism religious precepts is more important. And right this will be the attitude of desirable religion practically.

      • KCI등재

        율장과 조계종법의 이해

        임경미(원영) 한국정토학회 2013 정토학연구 Vol.20 No.-

        불교가 인도의 토양에서 자라나 보편적인 세계 종교로 자리 잡은 지 어언 2600년이다. 최초의 불 교는 새로운 공동체의 형성이라는 점에서 당시 인도사회에 큰 반향을 일으켰던 종교였다. 그렇 게 불교가 출가 수행자들의 공동체를 이루었다는 점에 우리는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 종교공동 체가 지금까지도 ‘승가(僧伽, Saṃgha)’라고 하는 특수종교집단의 형태로 유지 전승해오고 있기 때문이다. 불교수행공동체를 가리키는 이 ‘승가’라고 하는 단어에는 ‘어떤 목적을 위해 사람들이 함께 사는 공동체’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처음에는 불교와 무관한 용어에 불과했으나, 점차 불교공동 체를 지칭하는 단어로 사용되었다. 그러한 승가내부에는 조직을 구성하는 출가자의 존재가 있다 . 승가구성원들은 세속의 번잡한 삶으로부터 벗어나 ‘출가(出家)’라고 하는 행위를 통해 승가 내 부로 들어왔다. 이때부터 출가자들은 승가의 규율에 관한 것들을 익히고 실천하며 일상생활을 영위하게 된다. 이렇게 출가자가 승가 내부에서 일상 수행생활을 하는데 있어 행동규범의 기준 이 되는 것, 그것이 바로 ‘율장(律藏)’이다. 따라서 이 율장에는 2600년 전 인도의 생활상이 그대 로 들어 있으며, 그 시대와 사회상을 여실히 반영하고 있다. 그러나 그렇게 부처님 당시의 온갖 상황과 사회상을 풍부하게 담아내고 있는 율장이기에 오히려 세월이 흐를수록 그에 대한 고민도 점점 깊어갔다. 율장의 현실 적용에 관한 문제가 그것이다. 율장에 관한 논쟁은 길고긴 불교사 위에서 분열을 초래하기도 했고, 때로는 정체성을 가름하는 커다란 이슈로 등장하게 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연유로 본고에서는 지금의 여러 가지 복잡한 상 황을 규율하고 있는 몇 가지 율과 종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21세기 조계종단에는 현대에 맞는 율이 필요하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단순히 지금의 종 헌종법에만 의존하는 태도는 옳지 않다. 현재의 종헌종법은 장점도 많지만 여러모로 소략한 내 용과 형식으로 되어 있어 많은 개선과 보완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시대 출가자들은 종헌의 문제 점을 파악하여 합리적으로 현대사회에 맞게 효율적인 법령들을 율에 맞게 제정·개정해 나가야 할 것이다. 진정 시대에 맞는 변화와 압축의 힘은 본질을 훼손시키지 않으면서도, 오히려 본래의 의도를 더 욱 또렷하게 살려주는 법이다. 그러니 과거의 율장만을 강조하거나 현대의 종법만을 중시해선 안 된다. 어느 한쪽만을 지팡이로 삼아 의지할 일은 아닌 것이다. 현대에는 지금 시대에 맞는 규 율과 제도가 필요하고, 우리는 그것을 통해 지금 현재 드러나 있는 현상의 난제들을 깨끗이 정리 해야 한다. It has been 2,600 years for Buddhism to be one of the general religions from birth in India. At that time in India, the initial Buddhism was an arousing religion in that it had formed a new community. W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Buddhism had formed the communities of the ascetics. Because, so far, the communities have still been 'Saṃagha' as an special religious group. The term of Saṃagha, which represents a community for practicing asceticism, implies 'a community of people living together for a specific aim'. At first, though it hadn't been relevant to Buddhism, it was getting used to refer to the communities of Buddhist. Inside the Saṃgha are Buddhist monks and nuns consisting of an organization. The members of Saṃagha had entered the Saṃagha out of the chaotic secular lives through the behavior of 'renunciation‘. From that on, Buddhist monks have led the regular lives learning, practicing about the disciplines of Saṃagha. 'Vinaya-pitaka', the cannon of buddhist precepts, acts as a base for a standard of behavior for the monks to practice asceticism daily inside Saṃgha. Consequently, 'the Vinaya-pitaka' not only contains in itself the Indians' lives past 2600 years ago but faithfully reflects the times and the social aspects. However, due to the richness of 'the Vinaya-pitaka' retaining all the social life and background in the Buddha's lifetime in detail, the more it gets old, the more the problems of it are revealed in a stream. They are how to apply 'the Vinaya-pitaka' to everyday life. A controversy about 'the Vinaya-pitaka' had caused devisions in Buddhist factions in the long history. Then it has also become a big issue to define an identity of Buddhist association of the Jogye order. It boiled down to a conclusion that vinaya fitting today is needed for the 21st century's Buddhist association of the Jogye order. it is not appropriate just to rely on Constitution law of the Jogye order of the present only. Though it has many virtues, the fact that it is much more concise in terms of form and contents requires lots of improvement and supplement to it. So, contemporary monks have to grasp the problems of Constitution law of the Jogye order, and to enact and revise efficient laws which are appropriate for our social life. The power of change and condensing that really fit contemporary life is supposed to illuminate original intentions without any damage to essentials. Therefore, we have not to focus on 'the Vinaya-pitaka' of the past, and to lean on it only. We need discipline and institutions that fit our time, and by them we should clear up a conundrum of phenomena appearing above the surf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