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논문 : 건축 환경 진화에 따른 집단 에너지 플랫폼 제안

        김민우(주저자) ( Minwoo Kim ),임경란(교신저자) ( Kyungran Lim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5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4 No.4

        오늘날 건축 환경은 기술의 발전으로 지능화되고, 에너지 절약과 지속가능한 건축이 요구됨에 따라 사람과 건축 환경, 구성요소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을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성을 지닌 새로운 개념의 건축적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첫째, 건축 환경의 진화과정 및 한계를 파악한다. 둘째, 적정기술의 고찰을 통해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특성을 사례분석을 통해 도출한다. 셋째, 도출된 특성이 적용된 시스템 디자인을 통해 건축적 시스템을 제안하고 그에 따른 시나리오를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집단 에너지 플랫폼은 적합성, 실현가능성, 지속성, 능동적 참여, 가치공유, 친환경성 특징을 지닌다. 이러한 특성이 적용된 집단 에너지 플랫폼은 사회 구성원의 의식변화를 통해 능동적 참여를 이끌고 지속적인 생산과 소비를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사회적 가치를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의 개발을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해 건축 환경이 갖추어야할 특성 및 개발 방향과 시나리오를 구축함으로써 향후 건축적 시스템의 개발을 위한 기반연구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oday, according to development of ICT and latest architectural environment, development of technology has made an intelligent, energy-saving, and sustainable architecture. This flow needs new manage system to control the energy efficiently along with interaction between users and components of architectural environment. Purpose of this research is proposing sustainable architectural platform. For this, first, explore process of evolution and limitations in architectural environment. Second, analyse characteristics with case study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rough consideration of appropriate technology. Lastly, propose a new architectural platform through system design with characteristics above and propose a scenario for it. The sustainable collective energy platform in this research is desirability, feasibility, viability, active participation, value-shareable and eco-friendly. It lead member of society to participate actively through change of awareness and let them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with continuous production and consumption furthermore share the social value. As build a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nd direction of development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propose scenario,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be a guideline for development of architectural system in this field.

      • KCI등재

        NFT ART의 유형과 특징 분석 연구

        송수빈(Su-Bin Song),임경란(Kyungran Lim)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3

        최근 미술시장에서 NFT ART가 많은 대중의 관심을 받고 있다. 먼저 NFT ART의 개념과 미술사적 의의를 살펴본 후, NFT ART의 사례와 형식적 특징을 중심으로 유형을 분류 및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NFT ART의 특징을 정리하고, 수반되는 변화와 가치, 전망을 논하였다. NFT ART는 변동성이 존재한다는 한계가 있으나 작품의 자산적 가치를 보장하고, 접근 및 거래의 용이성과 투명성 등의 구조적 변화를 만들어가고 있다. 본 논문을 통해 NFT ART의 법적, 기술적 측면에 집중되었던 연구범위를 예술적인 측면으로 그 범위를 확장하는데 본 논문의 의의를 둔다. Recently, NFT ART is receiving a lot of public attention in the art market. The concept of NFT ART and its significance in art history were examined, and the types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based on cases and formal characteristics. The prospects were discuss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NFT ART derived through this. Although NFT ART has a limit of volatility, it guarantees the asset value of the work, and is making structural changes such as ease of access and transaction and transparency. The significance of this thesis is to expand the scope of research on NFT ART to the artistic aspect.

      • KCI등재

        영유아 어린이집 공간설계 시 자연광 도입의 방향성

        장진하(Jinha Jang),임경란(Kyungran Lim)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11

        인간이 외부 환경으로부터 일련의 식별과 적응 단계를 거치는 것은 생존과 깊은 관련이 있으며, 육체적 정신적 발달 과정은 각 성장기의 과제를 가지고 있다. 특히 영유아는 주변 환경에서 다양한 정보를 받아들이며 균형 잡힌 행동과 사고를 개발하는 가장 활동적인 시기이다. 따라서, 영유아의 발달을 지원하는 공간은 다양한 감각과 경험을 제공하는 공간으로 미적, 기능적 역할을 넘는 의미 있는 환경으로 조성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자연광 유입의 적극적인 도입은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첫째, 영유아 발달과 ‘빛 환경’의 개념을 이해하고, 필요성을 분석하였다. 둘째, 자연광이 영유아에게 기능하는 관계성을 파악하였다. 셋째, 파악 된 기능이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우수 건축가의 연출을 분석하여 공간에 적용되는 자연광 유입의 특성을 도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어린이집 현황을 분석하여 ‘자연광 도입’의 필요성과 방향성을 논의하였다. Human beings going through a series of identification and adaptation steps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is deeply related to survival, and the physical and mental development process has the task of each growth period. In particular, infants and children are the most active time to take various information from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develop balanced actions and thinking. Therefore, the space that supports the development of infants and children should be created into a meaningful environment beyond aesthetic and functional roles as a space that provides various senses and experiences. First, this study understood the concept of infant development and light environment and analyzed the need.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al light and infants was identified.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flow of natural light applied to the space were derived by analyzing how the identified functions could be utilized, and based on this, the current status of daycare centers was analyzed to discuss 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introduction of natural light’.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meaningful basis for the active introduction of natural light in the future space design of daycare centers.

      • KCI등재후보
      • 다차원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공간디자인의 공감각적 표현 연구 : 2010 상하이 엑스포 파빌리온의 공간표현 중심으로

        정수미(Sumi Jeong),임경란(Kyungran Lim) 한국HCI학회 2012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1

        하드웨어와 콘텐츠의 결합은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여 공간에서 심리스(Seamless)한 경험을 강화한다. 이는 공간에 대한 물리적 한계를 발상의 전환과 문화적 양상들의 융합을 통해 확장하고 있음을 인식하여, 공간의 확장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서 공간의 개념을 개념적 관점과 관념적 관점의 연장으로서 바라보고 속성을 도출하였으며, 공간 패러다임의 변화 특성을 상하이 엑스포 파빌리온 공간표현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공간은 이용자의 감성과 구성체계의 다차원 화를 통해 상호작용성, 이야기, 정보, 소통 등이 공간 안에서 매쉬 업(mash-up)되어 비가시적인 형태로 공명하는 개념 확장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The coupling of the hardware and contents by creating the new value intensifies the seamless experience in the space. Through the change of conception and the conversions of cultural aspects, it enables inspector to consider expandability about the physical limit in the space. The method of research is regarded as the concept of the space is to enlarge concept and idea, so that deducting characteristic about the concept of space also the characteristic of change of the space paradigm is realized with Shanghai Expo pavilion spatial representation. The expansion of the concept of space is grasped through the sensibility of the user and multi-dimensional of the hierarchy as interaction, story,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uld be enlarge to mash-up with the non-visual form in the space.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자연구조개념 주제의 창의융합조형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동향분석

        최한희(HanHee Choi),임경란(KyungRan Lim)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1

        본 연구는 자연구조 개념의 창의융합조형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 관련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자연구조 개념은 프렉탈(fractal), 키네틱(kinetic), 바이오미미크리(biomimicry)로 한정하였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를 활용하여 자연구조개념과 관련한 최근 10년간의 국내 연구동향을 분석한 결과, 편차는 있으나 교육 관련연구는 이 세 주제 모두 미흡하였으며 프랙탈의 경우는 수학 교과에 편중되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형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조사이기 때문에 프랙탈, 키네틱, 바이오미미크리를 주제로 한 조형 관련 연구 동향을 추가로 분석하였고 이 세 주제가 다루어지고 있는 분야와 상세내용을 파악하였다. 자연의 가진 원천적 특성을 이해하고 무한에 가까울 만큼의 방대한 조형원리를 교육주제로 활용함은 매우 유의미하다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 자연구조개념의 교육프로그램이 매우 미흡함을 파악하였기에 후속으로 국외에서의 자연구조개념을 주제로 한 교육 관련연구동향을 살펴보고 체계적 창의융합조형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trends of related research as a basic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e convergent formative education program of natural structure concept.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research trends present in previous studies. The nature structure of the preliminary research was limited to the three concepts: (ⅰ) fractal ; (ⅱ) kinetic and (ⅲ) biomimicry. In this study, the trends of domestic research in the last 10 years related to the concept of natural structure were analyzed using academic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It was found that, to date,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three concepts across education fields. In relation to the fractal concept, previous research has focused on mathematics. This preliminary study sought to review the abovementioned three concepts or the development of a modeling education program. It should be significant, if an education program adopted unlimited modeling principles to understand the innate features of the nature structure. However, very few education programs have adopted the three concepts of the nature structure. Future studies would seek to review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based on the three concepts of the nature structure and combine the results on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with the results on domestic research trends found in this study.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