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양파의 겨울철 적산온도 상승이 생육 및 분구에 미치는 영향

        이희주 ( Hee Ju Lee ),위승환 ( Seung Hwan Wi ),안세웅 ( Se Woong An ),장윤아 ( Yoon Ah Jang ),이진형 ( Jin Hyung Lee ),이희수 ( Hee Su Lee ),전희 ( Hee Chun ),이상규 ( Sang Gyu Lee ),김성겸 ( Sung Kyeom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9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4 No.1

        양파(Allium sepa L.)는 전 세계적으로 소비량이 많은 작물로 국내 1인당 소비량도 25kg 이상으로 많고, 국내 재배면적(26,425ha, ’18년)도 증가 추세로 안정적 생산이 중요하다. 양파는 노지에서 재배되는데 보통 10월경에 정식하여 다음해 6월경에 수확하기 때문에 생산량은 겨울철 환경조건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양파의 구비대가 원활하게 되기 위해서는 저온기간이 어느 정도 필요한데, 고온조건이 되면 여러 가지 생리장해 발생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지난 100년 동안 다른 국가보다 평균온도 상승폭이 커서 기후변화시나리오 RCP 8.5 조건(2100년이 되면 현재보다 온도가 약 6.0°C 상승하고, 강수량이 20% 증가하며, CO2농도는 940μmol·mol-1)을 채택하여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험은 양파 정식 후부터 외기조건과 외기보다 3.0°C, 6.0°C 고온이 되었을 때 양파의 생육과 분구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2018년과 2019년 2년간 비교분석하였다. 2018년과 2019년 재배기간(11.7~이듬해 3.20)의 적산 온도는 각각 248.8°C, 453.1°C로 2018년과 비교하여 2019년이 204.3°C가 높았으며, 일평균기온이 1.5°C 더 높았다. 그 결과, 외기조건에서 자란 양파는 온도가 높았던 2019년이 2018년보다 초장, 엽초경 및 엽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외기온도보다 6°C 고온조건에서 자란 양파가 외기조건이나 외기보다 3°C 고온조건에서 자란 양파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외기조건보다 3°C, 6°C 고온조건에서 자란 양파의 년도별 생육량에는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었다. 양파의 분구율에 있어서는 차이를 보여 외기조건에서는 1.4% 발생하였으나, 외기+3°C는 5.1%, 외기+6°C조건에서는 24.1%로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분구 발생율이 크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양파 재배시 적산온도가 많았던 2019년에 외기조건에서 자란 양파가 2018년보다 초장과 엽초경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외기조건 대비 3°C, 6°C 고온조건에서는 적산온도가 양파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양파의 분구 발생율에 있어서는 외기조건보다 6°C 고온조건에서 2018년 1% 미만이었으나 적산온도가 높았던 2019년에는 24.1%가 발생하여 적산온도의 증가가 분구발생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대응책이 필요하다.

      • KCI등재

        기온과 토양수분 함량에 따른 난지형 마늘의 생장, 인편분화, 생리장해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이희주(Hee Ju Lee),이상규(Sang Gyu Lee),김성겸(Sung Kyeom Kim),문보흠(Boheum Mun),이진형(Jin Hyoung Lee),이희수(Hee Su Lee),권영석(Young Seok Kwon),한지원(Ji Won Han),김철우(Cheol Woo Kim)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8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온도와 토양수분에 따른 마늘의 생육, 생리장해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실험은 온도가 6℃ 차이가 나는 온실에서 수행되었는데, 정식부터 수확까지 외기(A)보다 3℃(A+3℃), 6℃(A+6℃) 고온조건, 토양수분은 적습(OI) 대비 수확기 무렵의 다습(EI) 처리를 하였다. 그 결과, 마늘 생육특성은 온도와 토양수분 조건(0.34㎥/㎥)에 따라 고도의 유의성을 보여 고온일수록 그리고 적습 처리구일수록 컸다. 초장은 외기보다 A+6℃-OI 처리구에서 47.4㎝로 가장 컸으며, 엽장과 엽폭 역시 외기보다 A+6℃-OI 처리구가 각각 16.1㎝, 2.4㎝로 가장 컸다. 마늘재배 기간 중 외기보다 3℃, 6℃ 고온조건이 되면 스펀지마늘 발생율이 높아져 A+6℃-OI 처리구는 12.9% 발생하였고, A-EI 처리구에서는 전혀 발생하지 않았으며, 인편무게와 1쪽당 무게는 A+6℃ 고온구에서 크게 감소하여 수량이 외기대비 A+6℃ 처리구는 평균 51%, A+3℃ 처리구는 평균 22% 감소하였다. 따라서, 마늘재배시 외기보다 6℃ 고온조건과 다습조건이 되면 상품수량 감소하고, 생리장해 발생이 많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combination of air temperature and soil water contents on growth, physiological disorder rate, and yield of garlic. This experiments has been carried out in the typical plastic house (one side open and other side installed ventilation fans) which was maintained gradient air temperature (maximum different value of air temperature : 6℃). The excessive irrigation (EI) set at 0.34 ㎥/㎥ soil moisture contents. The significant differences found in the growth parameters of garlics as affected by air temperature and soil moisture conditions. The plant height of garlic with combination of ambient (A)+6℃ and optimal irrigation (OI; set at 0.22 ㎥/㎥ soil moisture contents) treatments represented 47.4 ㎝/plant, which was the highest among all the tested treatments. The leaf length and width showed the greatest, which were 16.1 and 2.4 ㎝/plant, respectively, in A+6℃OI. The physiological disorder ratio was higher as 12.9% at A+6℃-OI and was not occurred at ambient temperature with EI compared with OI treatment. The bulb and clove weight were dramatically decreased at A+6℃ temperature treatment. The yields were decreased by 51% in OI at A+6℃ and A+3℃ temperature treatment. Those results indicated that yields were decreased and ratio of physiological disorders was increased by high temperature treatments.

      • KCI등재후보

        『순자』에 나타난 통치자의 특성

        이희주(Lee Hee Ju)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09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8 No.2

        이 글은 『순자』 속에 드러난 통치자의 역할과 통치형태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순자는 공자사상을 계승하는 유가적 범주에 있지만, ‘패도의 긍정’이나 ‘성악설’ 등 그의 통치관의 특성에서 알 수 있듯이, 맹자와는 대립적인 시각을 보이고 있다. 이 글은 순자가 제시한 통치관의 특성이 어떠한 구조 속에서 발생하였는가를 텍스트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순자의 통치관의 특성은 정치사회에 대한 인식으로부터 출발하고 있다. 순자 정치사회를 ‘인간의 무리(人?)’로 규정하며, 이에 연유하여 통치자의 역할도 ‘인사(人師)’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순자의 이러한 인간중심적 사고는 ‘천도’를 매개로 하여 우주론, 정치사회론, 그리고 인간론을 연결시키는 ‘천인상관설’, ‘천인합일설’ 등의 인식과는 다르다. 이러한 현실주의적 인식에 기반으로 하여, 천인(天人)의 분리성, 통치자의 사회적 존립 의미와 역할, 패도의 긍정론, 그리고 측근통치 등 순자적 통치관의 특성이 도출되고 있다. 특히 통치의 효율성 차원에서, 순자가 제시한 측근정치는 오늘날 현대 한국정치에도 활용될 수 있는 유용성을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The objective of this essay is to analyze the assumed roles of a ruler and the characteristics of a government proposed in Xun Zi. While Xun Zi is appropriately classified as a successor of Confucianist ideals, as shown in the Affirmation of Authoritarian Political Structures and The Doctrine of Original Sin, his beliefs sharply contrast with that of Mencius. This essay incorporates a text-based approach to understand the context in which his governmental philosophy emerged. Xun Zi's governmental philosophy initiated from the ideologies of a governmental society. He defiines a governmental society as a 'cluster of people', this definition justifies the idea that the role of a ruler is to be an 'epitome citizen' among others. Such anthropocentric bent, however, differs from 'The theory of heaven-man relation' and 'The theory of the union of heaven and man' in which combines cosmology, the theory of politics and society and the theory of man that in turn have their bases on the way of heaven. Such pragmatism provides the grounds for the separability of God and men, the significance and roles of a ruler, the affirmation of an authoritarian government and the politics of ruler's aid; all in which are typicalities of Xun Zi's governmental philosophy. Notably, in regards to governing efficiency, the politics of ruler's aid is a valuable tool that is applicable to even modem Korean politics.

      • KCI등재후보

        유교의 정치사회에 있어서 통치자의 자질

        이희주(Lee Hee Ju)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07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6 No.2

        이 글은 유교의 정치사회에서 통치층의 자질이 정치적 안정과 통합에 어떻게 구조적으로 연관되어 있는가를 『논어』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여기서 의미하는 통치층의 자질이란 그들이 함유하고 있는 규범의식과 행위양식을 말한다. 통치층의 규범의식과 행위양식은 그 시대의 통치이념과 통치행위와 구조적인 연관성을 지닌다. 통치층의 규범의식은 먼저 통치자로서의 정체성 확립, 자연인과 구별되는 공인에 대한 인식이 전제되어 있어야 한다. 『논어』에서 제시되고 있는 대표적인 형태가 군자상이다. 이 글을 통하여 필자는 『논어』에 언급되어 있는 정치사회의 안정과 통합이 통치층의 공적 인식, 즉 정체성 확립으로부터 출발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통치층의 정체성 확립은 ‘수기(修己)-정기(正己)-정인(正人)’과 ‘수기(修己)-안인(安人)-안백성(安百姓)’이라는 두 유형의 통치과제를 수행할 수 있게 하여 정치적 안정과 통합의 달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정치적 안정과 통합은 통치자가 수기를 깃점으로 하여 정인할 수 있는 도덕적 능력은 물론, ‘족식(足食)’ㆍ족병(足兵)’하여 ‘안인(安人)’ㆍ‘안백성(安百姓)’ 할 수 있는 능력을 도출하였을 때 가능하며, 이는 전적으로 사욕을 억제시킬 수 있는 통치층의 절제력에 기인하고 있다. 또한 통치이념을 시행하고 통치기반을 확대하고자 하는 통치의 효율성도 지인(知人)할 수 있는 통치자의 능력과 밀접한 연관성을 지닌다. 지인할 수 있는 능력이란, 실제의 정치사회에서 요순과 같이 완벽한 통치능력을 갖춘 인격체가 존재하지 못하는 현실적 한계를 극복하는 것으로, 인재풀을 활용하여 완벽한 통치층을 구성하는 것이 통치자의 자질이다. 결국 인사의 적실성도 통치자의 자질과 밀접한 연관성을 지니면서 정치적 안정과 통합에 기여하고 있다. 본 논문은 정치적 안정과 통합에 기능하는 통치이념, 통치과제, 통치행위 등의 제반요인이 통치자의 자질과 구조적으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은 오늘날 정치사회에 있어서 통치층의 자질중 도덕성, 즉 공인으로서의 정체성 확립이 가장 중요한 덕목이라는 점을 재환기시키는 데 유용하리라 여겨진다. This thesis analyzes the structural relations between the qualities of the ruling class in the Confucian political society, and political stability and integration, with its focus on the Confucian Analects. Characteristics of the ruling class in this context refer to their norm consciousness and social actions that they value. These characteristics also are structurally related to the ruling ideology and deeds of the time. The norm consciousness of the ruling class must first and foremost base its foundation on the establishment of the ruler's identity and the recognition of between the common class and the public class. The representative form of the Analects is the concept of the noble man. In this thesis, the assertion of how the stability and integration comes from identity establishment and the recognition of the public class by the Analects is being criticized. The identity establishment of the ruling class allows the execution of the various ruling tasks, which plays a major role in the accomplishment of the political stability and integration. Political stability and integration result from the ruler who has a moral ability that leads the others to a man of honor and that makes the people satisfy with food / military security and that lets the others/people lead a comfortable life. That is totally resulted from the temperate ability of the ruling class which controls a selfish desire. Also, the desire to practice ruling ideology and expand its territory is in close relations with the ruler's ability to make acquaintance. This ability of making acquaintance allows one to leap over the limitation of having a perfect ruling character, using various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people, and thus forming a perfect ruling class; this is the quality of the ruling class. Therefore, the precision of the recruiting policy and its close relations with the ruler's quality contribute to political stability and integration. Through analysis, it's been revealed that the ruling ideology and deeds, which function within political stability and integration is structurally in close ties with the ruler's quality. Hopefully these observations will be of some aid in reawakening the importance of one's moral qualities as an official in the ruling class.

      • KCI등재후보

        『맹자』에 나타난 통치자의 자질론

        이희주(Lee Hee Ju)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08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7 No.2

        본 논문은 정치적 통합성에 주요 요인으로 작동하는 통치자의 자질을 『맹자』 속에 제시된 통치자의 사회적 직분, 통치자의 정체성 확립, 통치목표, 통치양식, 인사정책 등을 통하여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동시에 조선 후기 실학사상의 기저가 되었던 맹자의 ‘민본주의’가 통치의 어떤 과정 속에서 도출될 수 있었는가도 분석하였다. 국가를 경영하는 자로서, 권력의 최고 정점에 있는 자로서, 통치자의 역할이 어떻게 규정되는가에 따라 통합성을 이끌어내는 통치양식은 다르게 나타날 수밖에 없다. 즉 정치적 통합성을 달성하는 데 있어서, 공자와 맹자가 제시한 통치자의 사회적 직분의 상이성은 통치양식의 차별성을 초래하는 요인이 되고 있음을 고찰하였다. 즉 공자에 있어서 통치양식은 통치자의 덕에 의거하는 주관주의적 성향이 강하였다면, 맹자에 있어서는 통치가 통치자의 본성에 의거한 주관주의적 성향과 함께, 통치자의 역할이 ‘민의 부모’로 규정됨으로서, ‘보민(保民)’을 위한 제도와 정책을 실시할 수 있는 통치자의 통치능력, 통치술을 중시하는 객관주의적 성향이 동시에 드러나고 있으며, 통치과정의 전반에 ‘민본주의’가 중요한 구성체로 기능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brought up by Mencius, of a ruler, through whose social duty, identity establishment, governing purpose and style, personnel policies and so forth, causes political unification. At the same time, it also examines how Mencius' min-bon-joe-ui(political ideology for caring people), which had become a base of practical-science ideology in the later Choson dynasty, could be drawn into the process of reigning. A ruler is a man who manages the country and who has the most authority. The ruling styles that lead to the unification could appear to be different, depending on how the ruler regulates. Therefore, this work examines the differentiation of governing style caused by the differing social duty for the rulers, stated by Confucius and Mencius, in the case of achieving the political unification. Confucius' way of looking at the governing style is subjective inclination that depends on the virtues of the ruler, whereas Mencius' perspective is, not only subjectivity, but also the objective tendency, since the ruler's duty is to regulate the country as the "min-ui-boo-mo" (parents of people). Therefore, according to Mencius, a ruler's governing ability and strategy to design the system and policies for "bo-min" (protection and care of the people),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 and Min-bon-joo-ui plays a very essential role in the whole process of ruling.

      • KCI등재후보

        고려 태조 왕건의 리더십과 국가

        이희주(Lee, Hee Ju)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5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14 No.2

        본 논문은 고려가 475년 동안 왕조국가로서 지속성이 유지될 수 있었던 그 근원에는 건국한 창업군주의 역량이 전제되어 있다는 관점에서 출발하였다. 창업군주로서 왕건의 역량은 475년이라는 오랜 동안 국가권력의 지속성과 연계되어 있다는 의미이다. 이것은 군주의 개인적인 역량이 국가의 힘으로 전환이 될 때, 군주의 권력은 국가의 지속성과 함께 유지된다는 중요한 점을 시사해 주고 있다. 이러한 관점은 마키아벨리 『군주론』에서 제시되고 있듯이, ‘군주의 역량’이 ‘국가의 역량’으로 전환될 때, 군주의 권력도 유지된다는 것과 궤를 같이 한다. 그러나 모든 사상이나 정치의 형태가 그러하듯이, 그것은 시대적, 공간적 개체성(특수성)이 반영되어 나타나기 마련이다. 따라서 ‘고려’라는 ‘한국의 시공간적 특성’에 기인하여, 창업군주 왕건의 개인적 역량이 어떻게 국가 힘의 증대에 매개 역할을 하였는가를 미시적으로 분석하는 것은, ‘한국적 지도자상의 모형 구축’이라는 측면에서 의미있는 작업이라 생각된다. This thesis starts from a viewpoint which assumes the first monarch"s capability made Goryeo dynasty able to exist as a dynasty nation for 475 years. This means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Wang Geon"s capability as the first king and the continuity of national power for 475 years. It can be implied that when the monarch"s personal power transforms into the nation"s power, the monarch"s power sustains together with national power. Such point of view shares thoughts with Machiavelli"s “The Prince”, which proposes the monarch"s power is maintained when the monarch"s capability turns into the nation"s capability. As every idea and political form does, however, periodic and spacial individuality(uniqueness) are reflected on them. Thus, we will run a microscopic analysis on how Wang Geon"s capability mediated the nation"s growth, resulting from one of "Korea"s visuospatial characteristics" called "Goryeo". This analysis earns its meaning in constructing a model Korean lea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