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유아체육 연수교육이 유아교사의 체육목표 중요도에 미치는 영향

        이희선,이정숙 한국유아체육학회 2002 한국유아체육학회지 Vol.3 No.-

        본 연구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현직교사들 중 유아체육 연수프로그램에 참가한 집단(연수교사)과 그렇지 않은 집단(비연수교사)에 대해 유아체육목표 중요도에 대한 인식을 설문조사하고, 두 집단간의 목표에 대한 인식 차를 핵심개념, 주요개념 및 개념요소로 나누어 비교 분석한 것이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사들은 유아체육 핵심개념 목표에서 「개인적 발달」에 가장 높은 의미를 두고 있으며, 「환경의 대처」가 그 다음으로 나타나고 「사회적 상호작용」을 중요도에서 가장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2) 유아체육 주요개념 목표에서는, 생리적 효율성과 심리적 안정성 및 집단 상호작용에 대한 중요도는 다른 주요개념 보다 비교적 높게 인식되고 있는 반면에 의사소통과 문화적 참여에 대한 중요도는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3) 교사들은 개념요소별 중요성에 대해서는 「움직임의 즐거움」을 가장 중요한 목표로 인식하고 있었다. 4) 주요개념 중 「생리적 효율성」에 관해서는 연수교사와 비연수교사 간의 인식 차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심리적 안정성」, 「물체조작」 및 「의사소통」의 개념에 대해서는 연수교사가 비연수교사 보다 목표의 중요도를 유의한 차이로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유아체육 목표에 대한 22개의 개념요소 대부분에서 연수교사는 비연수교사보다 유아체육목표를 유의한 차이로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유아교사들은 「움직임의 즐거움」을 유아체육의 최우선 목표순위로 인식하고 있으며, 유아체육 연수교육은 유아체육목표를 구체적으로 인식하는 데 대해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study, we make up questions about the importance of the goal of child physical education to the teachers, some of them have attended a child physical education workshop (the trained group) and the others have not (the non-trained group), who have been involved in preschool education, and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of the goal of child physical education between these and those in concerning with the 「key concepts」, the 「major concepts」 and the 「elem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mong the key concepts, the teachers consider the 「individual development」 as the first thing, the 「environmental coping」 as the second and the 「social interaction」 the last. 2) The 「physiological efficiency」, the 「psychic equilibrium」 and the 「social interaction」 are highly appreciated by them, and the 「communications」 and the 「culture involvement」 are thought as lesser important things than others in the major concepts. 3) In the 22-elements, the 「joy of movement」 is cognized as the most important thing by the teachers. 4) It can be known that there are no difference between the trained and non-trained in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physiological efficiency」, but those also 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psychic equilibrium」, the 「object manipulation」 and the 「communications」 more or less than these did. 5) From the almost of the 22-question-elements about the goal of child physical education, it is known that the trained have better recognized in the goal of child physical education than the non-trained. From the point of view, they have recognized 「joy of movement」 as the most important requisite for the goal of the education, and therefore the workshop for child physical education can be thought to have made great effects on the recognitions of preschool teachers in the goal of child physical education.

      • 한국의 유아체육 지도자 양성 문제와 발전적 활동 영역

        이희선 한국유아체육학회 2003 한국유아체육학회지 Vol.4 No.-

        본 연구는 한국의 유아교사 및 체육 지도자의 지위와 역할 모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국가적 양성제도와 발전적 활동영역을 고찰한 결과, 첫째, 한국의 유아교사 및 체육지도자 양성제도는 크게 세 가지 영역으로 구분된다. 1) 한국의 국가적 수준에서의 유아교사는 행정적 제도상 크게 교육인적자원부와 보건복지부의 법령에 따라 이원병행체계로 운영되고 있다. 교육인적자원부의 유치원 교사자격에는 유치원 2급 정교사, 1급 정교사, 원감, 원장 자격이 있고, 보건복지부의 보육교사자격에는 보육교사 2급, 1급, 시설장 자격이 있다. 2) 현행 국가공인의 체육지도자는 교육부에서 자격을 발급하고 학교체육을 담당하는 초, 중등 1급, 2급 정교사(체육)와 문화관광부 산하 체육과학연구원에서 관장하고 자격을 발급하는 경기지도자 2급, 1급과 생활체육지도자 3급, 2급, 1급이 있다. 3) 유아체육지도교사 자격증은 문화관광부 등록법인과 교육인적자원부 산하인 서울시교육청 등록 비영리 공익법인에서 발급하는 유아체육지도교사 2급, 1급 자격이 있다. 둘째, 유아체육지도교사의 발전적 활동영역은 유아교육기관과 사회체육기관에서의 활동 뿐만 아니라 현대사회의 여가생활과 문화 프로그램을 접목하여 조화를 이루며 직접 운영할 수 있는 새로운 활동영역으로 발전하고 있다. 1)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체육 지도교사의 활동영역은 형식적 교육과정과 비 형식적 교육과정에서의 역할이 있고, 유아교육의 전문화 추세에 따라 특성화된 유아교육기관을 운영하는데 주도적 역할을 할 수 있다. 2) 사회체육 센타에서의 유아번을 담당할 뿐만 아니라 유아체육학교 운영은 유아체육지도교사의 발전가능성 있는 활동영역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3) 유아체육지도교사의 새로운 발전적 활동 영역으로 방과 후 및 주말체육이 있다. 방과 후 혹은 주말에 잠시 시간을 내어 즐거운 시간도 보내고 건강관리도 하며 신나게 뛰어 놀도록 하는 어린이 스포츠 교실에서 유아체육지도교사는 각종의 체육 프로그램 진행뿐만 아니라 현대사회의 여가생활과 조화를 이루며 직접 경영할 수 있다. 4) 유아 및 아동의 스포츠 멤버 쉽 클럽으로 스포츠 레저 뿐 만 아니라 사회문화, 다양한 캠프와 이벤트 프로그램 등을 골고루 경험할 수 있게 하고, 유아 및 아동들이 평소 접할 수 없는 뉴 스포츠프로그램 및 다양한 문화 프로그램운영도 유아체육지도교사의 새로운 활동영역으로 발전할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training systems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children's physical education leaders in Korea. Also, this study attempted to bring up with the expanded spheres of activity for the teachers and the lead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three kinds of education systems to train kindergarten teachers and children's physical education leaders in Korea. 1) Systems to train early education teachers are put into operations by coexistent laws; the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Law, and the Ministry of Health & Welfare Law. The former qualifies for kindergarten teachers, deputy directors of kindergartens, and directors of kindergartens. Also, the latter qualifies day-care center teachers and directors of day-care centers. 2) There are two national organizations in charging of training physical education leaders. The organizations are the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nd Korea Sport Science Institute, a subsidiary research organization of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The first issues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qualifications for physical education. The next issues licences for Atheletic Coach (Level 1,2) and the leader of Sports for All(Level 1,2,3). 3) Training system for children s physical education leaders are developed and maintained non-profit organizations enrolled to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or the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 representative example is Korean Federation of Child physical Education. From this organization, the qualification for children s physical education leaden are granted. Secondly, the activities of early education teachers and leaders of sports are growing into four independent spheres in Korea. 1) At an educational institution, things required for early education teachers and leaders of sports are different whether the institution offers formal curriculum or informal curriculum. Whether the curriculum is formal or informal, the teachers and leaders can play leading roles in managing the institution due to the specialization trend for educating children. 2) Being in charge of preschool classes at sports centers or running physical education schools for children can be a practicable and favorable sphere of activity for the teachers and the leaders. 3) Early education teachers and leaders of sports can meet the children's need of physical education at their spare time, after-school and weekend. For children, early education teachers and leaders of sports can arrange programs for spending enjoyable time, learning sports, and managing health. Also, the teachers and the leaders can run these leisure sports institutions for themselves. 4) Early education teachers and leaders of spats can work for sports membership clubs and cultural enterprises for child. In these organizations, they can plan and coordinate programs and events in order to help children have various sociocultural experiences and learn newly-introduced sports in Korea.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보육교사의 역할인식에 관한 연구

        이희선(Lee Hee sun) 한국보육학회 2003 한국보육학회지 Vol.3 No.2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role perceptions of teachers in day care centers. The subject were 163 teachers in day care centers in Kyunggi-do. The instrument was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Saracho et al (1997). The data was analyzed by t-test and F-test.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l)The teachers perceived the role as a counselor and adviser ranked best and the role as a researcher least. 2) Teachers role percep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ype of day care center and teachers educational levels. Those who worked at public child care centers, who had higher educational level were better aware of the roles as a curriculum designer, teaching planner and performer and researcher.

      • 2007년 개정 유치원교육과정과 초등교육과정 연계를 위한 수직적 통합교육과정 분석 : 표현생활과 즐거운 생활을 중심으로

        이희선 ( Hee Sun Lee ),김자형 ( Ja Hyoung Kim ) 한국유아체육학회 2009 한국유아체육학회지 Vol.10 No.1

        본 연구는 2007년 개정 초, 중, 고등학교 체육과 교육목표 및 내용의 수직적 통합 관계를 규명하고 이와 연계하여 유치원과 초등교육과정의 수직적 통합 가능성을 연구하기 위한 것으로, 초등학교 저학년(1~2학년) 교과인 `즐거운 생활`과 유치원 교육과정인 `표현생활` 영역을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 7차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유치원, 초, 중, 고등학교 교육이 추구하는 인간상은 모두 동일하므로 수직적으로 통합된 교육과정이라 할 수 있다. 2) 제 7차 개정 초, 중, 고등학교 체육과의 총괄교육목표는 건강, 도전, 경쟁, 표현, 여가 가치의 5개 목표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고, 각 목표 영역마다 인지적, 심동적, 정의적 영역의 세부 목표를 포함한다. 초, 중, 고등학교 체육과는 총괄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직적 통합교육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3) 체육교과 내용의 한 분야인 무용교육과 초등학교 저학년 교과내용인 `즐거운 생활`과 유치원 `표현생활`은 동일한 목표와 표현 생활 영역이라는 내용면에서 수직적으로 통합되었다고 할 수 있다. 4)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 유치원 `표현생활`영역은 초등학교 저학년 `즐거운 생활`의 교육내용 보다 추상적인 용어로써 행동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못하고 이해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특히, 표현생활의 하위영역인 `예술적 요소 찾아보기`와 수준별 내용에서 `다양한 예술 활동을 스스로 선택하여 시도 한다` 등은 고등교육기관에서도 난해한 교육내용으로 분석된다. 5) 유치원 교육과정의 `표현생활`은 초등학교 저학년(1~2학년)의 `즐거운 생활`교육 이전 단계이며, 이 모두는 무용을 포함한 체육과 교육에 포괄적, 수직적으로 통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plain the vertical integration of the goals and contents of physical education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under the National Curriculum revised in 2007 and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vertical integration of the kindergarten and elementary curriculums. The results of comparing `Pleasant Life,` a subject for low-grade elementary students (1st~2nd graders), and `Life of Expression,` a subject for kindergarteners, are as follows. 1) Under the 7th Revised National Curriculum, kindergarte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education pursue the same image of human beings, so they are considered a vertically integrated curriculum. 2) The general goals of physical education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under the 7th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re largely divided into health, challenge, competition, expression and leisure, and each goal contains detailed sub-goals in the cognitive, psychomotor and affective domains. Physical education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s composed of vertically integrated programs for general educational goals. 3) Dance education, which is a part of the contents of physical education, `Pleasant Life` for low-grade elementary students, and `Life of Expression` for preschoolers are considered vertically integrated in terms of goal and content, which is in the domain of the life of expression. 4) In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Life of Expression` for preschoolers uses abstract terms more frequently than `Pleasant Life` for low-grade elementary students, so it does not explain behaviors specifically and is hard to understand. Particularly in `Finding Artistic Elements,` a sub-area of `Life of Expression,` and in `Choose and attempt various artistic activities by themselves,` a content in the domain, are considered hardly understandable even to tertiary students. 5) `Life of Expression` in the kindergarten curriculum is a course prior to `Pleasant Life` for low-grade elementary students (1st and 2nd graders), and it is desirable to integrate all of them vertically into physical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