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규 학점과정으로서 K-MOOC의 활용가능성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분석

        이훈병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연구논총 Vol.4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ossibility of using K-MOOC in credit courses. This study analyzed the use and activation method of K-MOOC as a credit course. In this study, the opinions of university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text network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ositive opinions about K-MOOC as a regular credit course were more numerous than negative ones. Second, The main positive opinions are about the free course enrollment and the activation of interaction in parallel learning. Third, the semantic structures of negative opinions revealed the problems of the school's schedule and the fairness of the evaluation.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 study summarized the opinions of using K-MOOC. On the positive side, the efficiency of teaching and learning was important, and on the negative side, fairness important. Next, the following is a suggestion for the utilization of K-MOOC in credit courses: First, provide a system to give credit to K-MOOC and develop a guide on how to take these courses. Second, in order to ensure the fairness of the evaluation and the credit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K-MOOC operation evaluation system for granting credits and to establish a minimum system to prevent cheating. Third, there is a need to consider various semester management systems (intensive semester, etc.)to encourage K-MOOC utilization. 본 연구는 학점과정으로서 K-MOOC의 활용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K-MOOC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을 분석하고, K-MOOC을 학점과정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에서 정규과정으로 K-MOOC을 활용하는 것에 대한 긍정적 의견은 부정적 의견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다. 둘째, K-MOOC 활용에 대한 주요 긍정적 의견은 온라인 무료수강신청과 온오프라인 병행학습에서 교수학생간의 상호작용 활성화로 나타났다. 셋째, K-MOOC 활용에 대한 부정적 의견의 의미구조는 학사 일정 불일치와 평가의 공정성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K-MOOC 활용에 대한 의견을 종합해보면 긍정적 측면에서는 교수·학습의 효율성, 그리고 부정적 측면에서는 공정성이 중요한 키워드라고 할 수 있다. 정규학점과정으로 K-MOOC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K-MOOC 이수를 수강방법에 대한 철저한 안내 및 비교과프로그램을 연계할 필요하다. 둘째, 학점부여를 위한 K-MOOC운영결과에 대한 평가제도를 마련하고 평가의 공정성확보를 위한 최소한의 부정행위 방지 시스템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셋째, 대학은 K-MOOC 활성화를 위하여 몰입학기 등 다양한 학기운영제도를 고려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IPA분석을 통한 교수역량개선 방안 연구

        이훈병 한국인격교육학회 2023 인격교육 Vol.1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factors to strengthen teaching competence, which has recently become an issue. This study diagnosed teaching competency of 138 professors at two small universities and examined the contents of improving teaching competence using IP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components of teaching competence, the improvement factor was the student guidance factor. Second, after COVID-19, e-learning content creation competence is becoming more important. Third, professors should make efforts to reflect the latest content in lectures and apply various teaching methods. In higher education, teaching competence is a decisive factor of increasing the reliability and satisfaction. Therefore, universities and professors should make efforts to improve their teaching capacity to meet the changed educational needs after COVID-19. Therefore, to strengthen professors' teaching competence, universities should develop counseling support programs, support training programs to ensure the quality of e-learning content, provide content production manuals, present best practices, and conduct monitoring. Also, it is necessary to support teaching research groups, teaching&learning method training and special lectures. 본 연구는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교수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 요인을 찾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에 연구는 2개 소형 대학교 교수 138명을 대상으로 교수역량을 진단하고, IPA를 사용하여 교수역량 개선을 위한 개선내용을 추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역량 구성요인 중 중점개선 요인은 학생지도 요인이었다. 둘째, 코로나19 이후 이러닝 콘텐츠 제작 역량은 교수자의 역량 제고를 위한 주요한 요인으로 그 중요성이 부각 되고 있다. 셋째, 교과 전문성 향상을 위해 교수는 강의에서 최신 내용 반영과 다양한 수업 방법 습득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교수지원프로그램을 제안할 수 있다. 교수역량은 대학교육의 신뢰성과 만족도를 결정하는 결정적 요인이다. 이에 코로나19 이후 변화된 교육 환경과 요구에 부합할 수 있는 교수역량 제고를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대학은 교수들의 교수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상담지원 프로그램 개발, 이러닝 콘텐츠 질 보장을 위한 연수프로그램 지원, 콘텐츠 제작 매뉴얼 제공, 우수사례 제시, 모니터링 실시, 그리고 수업의 질 제고를 위한 수업연구회 지원, 교수학습방법 연수 및 특강 제공 등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창의역량에 대한 네트워크 구조 탐색

        이훈병 한국인격교육학회 2022 인격교육 Vol.16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analyze the network structure of creative competence concepts and to suggest the directions for competence-based education. This study analyzes the planning report on the University Innovation Support Project. In this study, Text Network Analysis and CONCOR Analysis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semantic structure of creative competence and to extract the factors of creative competence.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The semantic structure of creative competence is complex. In the analysis result, the nodes that show high centrality were problem solving, problem, thinking, knowledge, diversity, convergence, creativity, and utilization. Next, creative competence consists of problem solving, knowledge fusion, information utilization, value creation, and so on.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ethods, learning activities, and extra-curricular programs to enhance creative competence.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s a cooperative system for universities to share and spread best examples of creative competence.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의 주요 핵심역량 중 하나인 창의역량의 네트워크 구조를 탐색함으로써 대학교육의 나아갈 방향성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혁신지원사업계획서를 분석하였으며, 텍스트 네트워크분석을 실시하여 창의역량의 의미구조를 분석하고, CONCOR 분석을 통하여 창의역량의 구성요인을 추출하였다. 네트워크분석 결과 창의역량은 복합적 의미구조로 문제해결, 문제, 사고, 지식, 다양, 융합, 창의, 활용 등이 높은 중심성을 보여주었다. 다음으로 창의역량은 문제해결, 지식융합, 정보활용, 가치창출 등이 주요 클러스터로 구성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창의역량 향상을 위해 교수법, 학생들의 학습활용 활동, 그리고 다양한 비교과프로그램 개발과 사례들을 공유·확산할 수 있는 체계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육아정책 통합 중요도 분석

        이훈병,윤건호 한국보육학회 2010 한국보육학회지 Vol.10 No.3

        본 연구는 육아정책의 일원화를 위한 통합 중요도를 영유아 교육 보육전문가를 대상으로 계층분석과정을 통해 고찰하였다. 육아정책에 대한 통합 중요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육아정책의 영역을 4개의 상위준거와 이에 따른 10개의 하위준거로 분류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육아정책 영역 중 상위준거의 통합 중요도는 재정 0.21, 교육 보육과정 0.16, 행정관리 0.27 그리고 교사양성이 0.36으로 나타났다. 둘째, 육아정책 재정 준거 중 하위준거의 통합 중요도는 교육 보육비용 0.43, 정부보조 0.57을 나타났다. 교육 보육과정 준거에서는 교육 보육과정 내용이 0.44, 정규 외 프로그램이 0.31 그리고 교육 보육시간 및 운영의 통합중요도가 0.25로 나타났다. 행정관리 준거를 구성하고 있는 하위준거들의 통합 중요도는 담당행정부처 0.43, 평가인증 내용 0.28, 그리고 감독범위와 정도가 0.29을 나타났다. 끝으로 교사양성 준거에서는 교사양성 기관 및 연한의 통합 중요도가 0.62로 교사명칭 체계 0.52 보다 높은 정도를 보여주었다. 중요도 종합에 있어서는 10개 하위준거 중 교사양성 기관 및 연한이 0.194로 가장 높은 중요도를 보여준 반면, 교육 보육시간 및 운영은 0.040으로 가장 낮은 중요도를 차지하였다. 이 같은 결과는 육아정책의 통합의 필요성을 나타낸 것이며, 육아기관의 일원화를 광의적으로 통찰해야함을 할 지적한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nalysed the united importance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policy. for attaining the purpose, four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covering the importance level at education and care operations. contents of study were composed of 4 high scopes(finance policy, curriculum, administration, teacher education programs) and 10 low scopes. the objects in this study were 37 selected professors who were serv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facil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the ranking of the united importance of the high criteria were "finance policy(0.21)", "curriculum(0.16)", "administration(0.27)", "teacher education programs(0.36)". 2) the ranking of the importance of the low criteria were the teaching fee(0.43), support(0.57), curriculum contents(0.44), extra curriculum(0.31), curriculum operation(0.25), charging minister(0.43), evaluation certification (0.28), supervisory scope (0.29), teacher title and system (0.52), teacher education institute and grade(0.62) 3)the ranking of the importance of the synthesis were the curriculum operation(0.040), teacher education institute and grade(0.194).

      • KCI등재후보

        유아교육과 수업개선을 위한 강의평가문항의 중요도분석

        이훈병(Lee Hun-Byoung),윤건호(Yoon Kun-Ho)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2009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유아교육과 전공강의의 강의 만족도를 제고하기 위해 강의평가 응답의 패턴과 강의평가 문항의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 강의평가결과는 3개의 강의평가영역과 10개의 평가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과 강의평가 만족도 제고를 위해서는 이론중심 강의의 경우 학생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평가기준을 명확히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반면 실습중심 강의 만족도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매체를 적절히 사용하고, 실습은 전반적으로 수업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둘째, 강의만족도 제고를 위해서는 교육 수요자의 요구와 인식의 흐름을 교육활동에 반영하여야 한다. 이론중심 강의에서 1학년은 “과제 및 평가영역”, 3학년은 “실행 판단영역”과 “과제 및 평가영역” 그리고 4학년은 “실행 판단영역”에 주의하여야 하며, 실습중심 강의에서는 2학년과 3학년의 경우 “실행 판단영역”, 4학년은 “준비도 판단영역”에서 집중하여 강의를 개선 및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 This study were to research for an Instruction Improvement. And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analysis of the importance of items for teaching evaluation. In this study, the domains for evaluating of the instruction were composed of "the instruction readiness", "the implementation", and "the task and the evaluation". And, the 10 items for evaluating of the instruction were derived from three domai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The important items to improve instruction are "require learner participation" and "definiteness of evaluation criteria" In theory-based instruction, and appropriateness of educational media utilize in practice-based instruction. 2)Different grade have different domains to improve instruction. In the university, evaluation of instruction must contribute to improve the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with professional development.

      • KCI등재

        교원 산림교육 직무연수 교육과정 평가 요인 및 준거 개발

        이훈병(Hun Byoung Lee),조규성(Kyu Sung Cho),전영우(Young Woo Chun) 한국환경교육학회 2013 環境 敎育 Vol.26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termining factors and criteria for evaluating the teacher’s forest education in-service curriculum. This study is compose of the pool of Criteria for Evaluating the Forest Education in-service Curriculum by CIPP evaluation model. And the criteria were verified through empirical studies such as ‘content validity ratio’ and ‘factor analysis’. To analyze the evaluation criteria, a survey was developed for distribution to the trainne and the trainer & manager. From what has been analysed, in trainne, the 33 items were set as the Forest Education in-service Curriculum evaluation criteria. And in trainer&manager, the 29 items were set as the evaluation criteria. Second, this study selected four factors for evaluating the curriculum. The four factors were composed of 1) context, 2) input, 3) implementation, and 4) evaluation. Third, this study determined the relative weights of the factors and the criteria. This study have significance to provide the logical basis for the evaluation criteria and the score allocation in field performance eval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