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대장자유형의 계층 분화와 그 의미

        이후석(Whoseok Yi) 한국상고사학회 2016 한국상고사학보 Vol.94 No.-

        동대장자유형은 전국시대 전기부터 중기까지 요서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유행했던 십이대영자문화의 하위유형이다. 다른 지역문화와는 달리 다수 기종에서 전국연계 유물들이 높은 비중으로 확인되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기본적으로는 청동단검문화에 기반하는 토착문화라는 점을 고려할 때 이는 토착집단의 권력 기반이나 대외적인 상호작용이 강화되는 양상을 반영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동대장자유형은 십이대영자문화의 여러 하위유형 중에 분묘 규모와 부장유물의 복합도가 가장 다양하여 계층 분화의 양상들이 더욱 뚜렷하게 확인된다. 동대장자유형은 동대장자 유적을 중심으로 유적 간은 4등급, 유적 내에서는 최대 6등급으로 각각 분화되어 있었는데, 이 가운데 최고 등급 분묘들은 동대장자 유적에만 밀집되어 있다. 동대장자유형의 집단들은 동대장자 유적 근처에서 최고 거점을 형성하여 건창 일대를 중심으로 성장하였고, 이 과정에서 각각 객좌 일대와 금주 일대를 거점화하면서 발전하였다. 이는 결국 동대장자 집단의 영향력이 주변 지역으로 확대되는 과정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동대장자 집단은 전국시대 요서 남부지역에서 가장 영향력이 큰 정치체를 형성하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동대장자 집단은 연과 직접 교류하였으며, 정가와자 집단과도 일정하게 교류하였는데, 이는 고조선의 관계망과 일정부분 관련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e Dongdazhangzi Culture Pattern is a sub pattern of the Shiertaiyingzhi Culture which was popular in the Southern Laoxi region of the Warring States Period. Unlike other regional cultures, it was characterized a high proportion of Yan system’s artifacts. Considering that the Dongdazhangzi Culture Pattern was based on an indigenous culture that was itself based on the Bronze Daggers Culture, it seems to indicate that the power base or the interaction was strengthened. The Dongdazhangzi Culture Pattern is the most diversified in the Shiertaiyingzhi Culture in terms of the tomb’s size, and the complexity of the excavated artifacts, from which the diversification of classes is clearly identified. The Dongdazhangzi Culture Pattern has been divided into 6 classes among the sites, and up to 6 classes inside the site with a focus on the Dongdazhangzi Site. Among them, the highest class tombs are concentered in the Dongdazhangzi Site only. The groups of the Dongdazhangzi Culture Pattern formed hubs in the Dongdazhangzi site and was developed centering on the Jianchang. It spread its territory to focus on areas of Kazuo and Jinzhou. This means that the influence of the Dongdazhangzi group expanded to surrounding areas. Hence it is likely that the Dongdazhangzi group formed the most influential polity in the southern Laoxi region of the Warring States Period. As described above,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polity made direct exchanges with the Yan, and in this process, related information was transmitted to. Therefore, its relation to the history of Gojoseon shall als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 KCI등재

        고고자료를 통해 본 만번한

        이후석(Yi Whoseok) 동북아역사재단 2017 東北亞歷史論叢 Vol.- No.57

        고조선과 연의 경계는 기본적으로 문헌 기록에 근거하여 찾아야만 한다. 그렇지만 서술 내용이 소략하고, 그나마도 일치하지 않는 내용으로 인해 연구자 간 많은 이견들이 있어 왔다. 그러므로 고고학적 물질문화의 분포 정형이나 그 변화양상을 문헌 기록과 대비하여 합리적인 대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문헌 사료만을 보면 연은 소왕 때에 동북 방면으로 영역을 확장하는 과정에서 ‘동호’는 장성지대 이북으로, ‘조선’은 만번한 이동으로 각각 물러나게 했다. 이때 고조선과 연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는 ‘연(도읍)↔(동호)↔요수↔양평↔만번한↔조선’이었다고 할 수 있다. 먼저 기원전 4세기대 하북지역과 요서지역의 물질문화는 일정하게 구분된다. 이때 연은 연산산지의 융적집단을 동화시킨 후에 난하유역으로 진출하기 시작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내몽고 동남부의 철영자유형과 요서지역의 동대장자유형 집단들과 다양하게 상호작용하게 된다. 이때 철영자유형은 초기동호 또는 그 일파와 관련되는 문화이며, 동대장자유형은 맥(또는 발)과 관련되는 문화라고 생각된다. 두 지역문화 모두 중원문화 요소들이 적지 않게 확인되나, 토착문화의 정체성은 유지하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그러므로 이는 연의 거점 확대 또는 영역화의 과정으로 볼 수 없다. 요서지역과 요중지역의 정치체는 문화 배경을 공유하며, 활발하게 교류하고 있어, 고조선의 정치체제가 연맹체적 결속 관계하에 있는 초기국가라는 점을 고려할 때 당시 중국인은 동류 집단으로 인식했을 수도 있다. 그러므로 전쟁 전의 고조선과 연의 경계는 하북-요서의 접경지역으로 인식했을 수도 있다. 다음으로 기원전 3세기대 요동~서북한지역의 물질문화는 천산산맥 일대에서 그 이서지역과 이동지역으로 뚜렷하게 구분된다. 요중지역에는 연의 물질문화가 대거 확산되고 있어 요동군이 설치되었다는 문헌 기록에 부합한다. 요동동부지역과 서북한지역은 세형동검문화의 계승성과 연속성이 확인되고 있어 고조선의 물질문화로 볼 수 있다. 고조선이 요하 방면에서 한반도의 서북 방면으로 이동하였다면 요동지역의 물질문화가 서북한지역에 등장하는 것이 쉽게 이해된다. 서북한지역은 토착적인 한국식 세형동검문화와 요하 방면에서 들어왔던 요령식 세형동검문화가 공존하는 문화 점이지대였다. 그러므로 전쟁 후의 고조선과 연의 경계는 천산산맥일대라고 생각된다. Attempts to find a border between Old Joseon and Yan should be found in an archeological border of material culture, compared with such a border in extant records, and select a rational alternative. According to historical records, the relative location of the relations of Old Joseon and Yan were in “Yan ↔ (Donghu) ↔ Liaoshui ↔ Xiangping ↔ Manfanhan ↔ Joseon.” There was a clear distinction in the material culture of Hebei and Liaoxi in the fourth century BCE. It is difficult to see the Maek (or Bal) groups in Liaoxi and Liazhong as the same political body. However, they might have been placed in the same category in the eyes of Chinese people of that period since the political system of Old Joseon was an early state in confederacy relations during that period. It can be thus assumed that the border between Old Joseon and Yan before war was the border between Hebei and Liaoxi. There was also a clear distinction in the material culture of Liaodong and northwestern Korea around the Qianshan mountain range in the third century BCE. The eastern area of Liaodong and northwestern Korea were connected together within the Slender Bronze Daggers Culture, and can thus be considered within the territory of Old Joseon. This means that the border between Old Joseon and Yan after the war was the western area of the Qianshan mountain ran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