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요하 상류 유목문화의 유입과 변용 : 정구자문화를 중심으로

        이후석(Yi, Hu Seok) 부산고고학회 2020 고고광장 Vol.- No.27

        춘추말~전국초 무렵 요하 상류 일대에는 유목문화가 새로 유입되는 한편 주변 문화와도 일부 복합되었는데, 이는 최근들어 정구자문화로 규정되고 있다. 여러 하위유형이나 유적군이 설정되었는데, 토광묘계 무덤, 동물순생, 초원계통 장식류와 쌍이관이 공통되는 문화요소이다. 유목문화적인 면이 강한 ‘정구자유형’의 계통성이강조되나, 연하도문화의 요소들이 확인되는 ‘철영자유형’의 계층성이 주목되며, 십이대영자문화와 복합되는 ‘수천유형’은 농경문화적인 면도 나타나고 있어 다른 유형들에 비해 가장 많이 변용되었다고 할 수 있다. 정구자문화는 정착 과정에서 토착적인 기층문화나 주변 문화와 다양하게 복합된다. 초원계통으로 추정되는합장묘가 보이지만, 간략화된 석관묘도 확인된다. 동물순생은 말·양·소 위주지만, 돼지 역시 확인된다. 또한 야생동물을 표현하는 동물형장식품이 주류지만, 토착적인 장식품도 있다. 청동단검이나 동과, 토기 등의 유물에는 정구자문화의 것과 함께 연하도문화나 십이대영자문화에 속한 것도 확인되고 있어 주변 문화와도 다양하게교류하였음을 알 수 있다. 정구자문화의 사회 관계에는 철영자유형이 주목된다. 철영자유형의 수장묘는 무덤 규모와 순장, 위신재적 부장유물 등의 측면에서 다른 유적군을 압도한다. 철영자유형의 엘리트층은 연하도문화나 십이대영자문화의 집단들과 교류·경쟁하는 과정에서 권력 기반을 강화하며 정구자문화의 집단들을 주도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 종족 정체성은 흔히 ‘동호 집단’으로 추정되나, 그 중심집단이라 하기에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점이 많아 현재로는단정하기 어렵다고 생각된다. The Jinggouzi Culture appeared during the settling process of nomadic cultures, which were newly introduced to the upstream Liaohe basin from the late of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to the early of the Warring States Period. Its major cultural elements included pit-tombs, burial of domesticated animals with the deceased, steppe style ornamentation, and pots with twin-rings. Various subculture were identified considering the complex relationship this culture had with its surrounding cultures. While the origin and characteristics of the “Jinggouzi Assemblage”-which has strong nomadic cultural aspects-are often emphasized, attention is also placed on the aspects of external interaction and hierarchal differentiation from the “Tieyingzi Assemblage,” which has elements from the Yanxiadu Culture. In addition, the “Shuiquan Assemblage,” which is mixed with the Shiertaiyingzi Culture, is differentiated from other assemblages through its aspects of a strong agricultural culture. The Jinggouzi Culture blended with existing native cultures or surrounding cultures during its settling process. While tombs with two or more buried people-which are suspected to be in the Steppe style-are found, the simplified stone coffin tombs that were native to the area are also excavated. Although the domestic animals that were buried mainly included horses, lambs, and cows, pigs were also discovered. In addition, while ornaments in animal forms using wild animal motifs were mainstream, there were also native ornaments. Artifacts such as bronze daggers, bronze halberds, and pottery were found from the Jinggouzi Culture as well as from the Yanxiadu Culture and the Shiertaiyingzi Culture. This shows that the Jinggouzi Culture had various interactions with its surrounding cultures. The Tieyingzi Assemblage is notable for understanding the social relationships of the Jinggouzi Culture. The tombs of chiefs in the Tieyingzi Assemblage eclipses other cultural assemblage in terms of tomb size, burial of the living with the deceased, and in the prestige artifacts that are buried. It is likely that during the process of interacting and competing with the Yanxiadu Culture or the Shiertaiyingzi Culture, the elite group of the Tieyingzi Assemblage strengthened their power base and led Jiggouzi Culture groups. The identity of that ethnic group is usually assumed to be Donghu groups ; however, there are still many aspects that have not been determined that would allow us to conclude that they indeed were the central group.

      • KCI등재

        요동지역 비파형동검문화의 청동 네트워크와 교류

        이후석(Yi Hu-Seok) 한국고대학회 2021 先史와 古代 Vol.- No.66

        요동지역 비파형동검문화의 변동 과정에서 확인되는 상호작용의 네트워크에는 정치체의 교류 또는 권력 관계가 반영되어 있어 주목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특히 청동 네트워크에는 엘리트층의 권력 기반으로 연결되는 기술이나 이념 등이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어 주목된다. 비파형동검문화의 형성 단계에는 요하 평원지역과 요하 상류 방면과의 청동 네트워크가 주목된다. 비파형동검문화는 요하평원 동쪽 구간에서 기원전 10세기경부터 형성되기 시작하였는데, 이는 장인집단과 엘리트층이 청동 제련기술을 바탕으로 검의 이념 체계를 수용하여 비파형동검을 만든 것이 직접적인 계기였다. 비파형동검문화의 전기 단계에는 요동지역에서 길림~남한지역으로 청동 네트워크가 확장되며, 요북 동부지역(철령)과 요동 남단지역(대련)에서 거점 유적군이 확인된다. 무기류와 공구류는 요북지역에서 남한지역까지 확산되며, 선형동부 같은 일부 공구류는 요남지역을 거쳐 산동지역까지 전해진다. 요동 남단지역에는 요서계통 유물들도 확인되고 있어 광역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비파형동검문화의 후기 단계에는 요중지역을 중심으로 청동 네트워크가 재편된다. 청동 유물들은 요동계통 위주에서 요서계통 중심으로 일변하며, 요중지역에서 주변 지역으로 확산되는 양상들이 뚜렷하게 확인된다. 특히 정가와자유형의 네트워크가 북한 방면으로 확산되는 한편 산동지역과도 동검 같은 무기류를 교류하는 것이 보이는데, 이는 고조선의 발전 과정과도 밀접하게 관련되는 양상으로 추정된다. The interaction network identified in the process of change in Liadong Area the Mandolin-shaped Bronze Dagger Culture is notable for its reflection of polities’ exchanges or power relations. The Bronze Network deserves particular attention because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elite reacting, new technology, or ideologies connected to the power base. The bronze network that arose between the Liaohe Plains and the upper region of the Liaohe River during the formation of the Mandolin-shaped Bronze Dagger Culture is noteworthy. The Mandolin-shaped Bronze Dagger Culture began as the artisan group around 10 BCE in the eastern part of the Liaohe Plains, where the elite adopted the ideological system of the sword to create mandolin-shaped daggers using bronze-smelting technology. In the early the Mandolin-shaped Bronze Dagger Culture, the bronze network expanded from the Liadong area to the region between Jilin and South Korea; central sites have been identified in the eastern part of Liaobei(Tieling) and the southern tip of Liaodong(Dalian). Weapons and tools spread from the Liaobei area to South Korea. Some tools, including the fan-shaped bronze axe, reached Shandong through the Liaonan area. Liaoxi-style artifacts have also been found in the southern tip of Liaodong, implying that there was a broad network at the time. In the later the Mandolin-shaped Bronze Dagger Culture, the bronze network was reorganized around the Liaozhong area. Bronze artifacts shifted from Liadong-style to Liaoxi-style, with a wide diffusion from the Liaozhong area to surrounding areas. It is noteworthy that the network of Zhengjiawazi Assemblage, which is estimated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Old Joseon, spread toward North Korea and exchanged weapons such as bronze dagger with Shandong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