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진단용 엑스선 장치의 안전관리 검사에 관한 연구

        이후민 ( Hoo Min Lee ),김현주 ( Hyeon Ju Kim ) 한국방사선학회 2018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2 No.7

        본 연구는 병원 및 대학교 등에 설치된 X선 발생장치를 대상으로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의 품질관리 항목을 적용하여 성능 비교를 하여 주기적인 성능관리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성능유지 및 관리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우선 재현성 및 직선성 실험결과 모든 실험조건에서 합격기준에 부합되었으며 주기적인 정도 관리가 부족한 GX-650장치의 경우 재현성 평가의 백분율 오차가 높았으며 직선성 평가에서는 관전압을 100 kVp로 설정 시 0.105로 백분율 오차에서 벗어나게 측정되었다. 또한 관전압 및 관전류의 정확도 평가 결과 상대적으로 X선 발생횟수가 낮은 장치에서 백분율 오차가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반가층 실험은 모든 장치에서 관전압 별 반가층 기준에 모두 포함되었다. 따라서 병원용, 실습용 구분보다는 모든 장치의 정도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적극적으로 장치의 성능관리를 시행하여 장치를 유지 관리해야 할 것이며 특수의료장비처럼 짧은 주기의 정도관리 제도를 마련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erformance of X-ray generators installed in hospitals and universities and apply the quality control items of diagnostic X-ray generator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periodic performance management. First, the reproducibility and linearity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PAE of the reproducibility evaluation was high for the GX-650 devices that met the acceptance criteria in all the experimental conditions and lacked the periodic quality control. In the linearity evaluation, when the tube voltage was set to 100 kVp, It was measured to deviate from the error.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PAE in the low-accuracy evaluation results relative to an X-ray tube voltage and tube current of the device low occurrence frequency. The HVL experiment was included in all of the devices at the HVL by tube voltag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quality control of all devices rather than hospital and laboratory, and to manage the device performance by actively managing the device, and to establish a short - term quality control system like special medical devices

      • KCI등재후보

        MDCT에서의 Convolution Kernel 종류에 따른 공간 영역 필터링의 영상 평가

        이후민(Hoo-Min Lee),유병규(Beong-Gyu Yoo),권대철(Dae-Cheol Kweon)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08 방사선기술과학 Vol.31 No.1

        T 영상은 커널의 종류와 재구성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며, 관심 영역의 CT감약계수 및 노이즈는 정밀도에 영향을 준다. 커널의 종류에 따른 노이즈, 공간분해능 및 MTF를 측정하여 영상을 평가하였다. 다중채널CT 스캐너를 이용하여 팬텀 및 복부를 스캔 하였고, 커널은 B10(very smooth), B20(smooth), B30 (medium smooth), B40(medium), B50(medium sharp), B60(sharp), B70(very sharp), B80(ultra sharp)으로 재구성하여 물, 공기, 간의 실질 조직, 근육, 지방 부위를 ROI 기능을 이용하여 평균의 CT감약계수와 표준편차인 노이즈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영상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CT 감약계수는 물(1.1~1.8HU), 공기(-998~-1,000HU)이고, 물에서의 노이즈(5.4~44.8HU), 공기(3.6~31.4HU)이다. 인체에서 간 실질 조직과 지방, 근육의 CT 감약계수와 노이즈를 커널에 따라 측정하였다. 지방의 CT 감약계수(-2.2~0.8HU), 간의 실질 조직에서 CT감약계수(60.4~62.2HU), 노이즈(7.6~63.8HU), 근육의 CT감약계수(53.3~54.3HU), 노이즈(10.4~70.7HU) 사이에서 분포하였고, 커널이 높아질수록 노이즈도 증가하였다. 영상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검사부위에 따라 노이즈를 감소하기 위해 적절한 커널을 선택하여 CT 검사를 하여야 한다. Our objective was to evaluate the image of spatial domain filtering as an alternative to additional image reconstruction using different kernels in MDCT. Derived from thin collimated source images were generated using water phantom and abdomen B10(very smooth), B20(smooth), B30(medium smooth), B40 (medium), B50(medium sharp), B60(sharp), B70(very sharp) and B80(ultra sharp) kernels. MTF and spatial resolution measured with various convolution kernels. Quantitative CT attenuation coefficientand noise measurements provided comparable HU(Hounsfield) units in this respect. CT attenuation coefficient(mean HU) values in the water were 1.1~1.8HU, air(-998~-1000HU) and noise in the water(5.4~44.8HU), air(3.6~31.4HU). In the abdominal fat a CT attenuation coefficient(-2.2~0.8HU) and noise(10.1~82.4HU) was measured. In the abdominal was CT attenuation coefficient(53.3~54.3HU) and noise(10.4~70.7HU) in the muscle and in the liver parenchyma of CT attenuation coefficient(60.4~62.2HU) and noise (7.6~63.8HU) in the liver parenchyma. Image reconstructed witha convolution kernel led to an increase in noise, whereas the results for CT attenuation coefficient were comparable. Image scanned with a high convolution kernel(B80) led to an increase in noise, whereas the results for CT attenuation coefficient were comparable. Image medications of image sharpness and noise eliminate the need for reconstruction using different kernels in the future. Adjusting CT various kernels, which should be adjusted to take into account the kernels of the CT undergoing the examination, may control CT images increase the diagnostic accuracy.

      • KCI등재후보

        X선 진단장치의 고압정류방식이 대조도 향상에 미치는 영향

        이후민(Hoo-Min Lee),윤준(Joon Yoon),김현주(Hyun-Ju Kim)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14 방사선기술과학 Vol.37 No.3

        본 연구는 X선 진단장치의 고압정류방식이 그리드 성능을 측정하는 선택도(selectivity)와 대조도 향상능력 (contrast improvement ability : K factor)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산란선 함유율을 측정하였다. 정류방식이 서로 다른 X선발생장치를 대상으로 각 장치의 관전압과, 관전류량을 측정하여 출력선량의 정확도를 측정 및 교정한 후 각 장치별 노출조건을 동일하게 설정하고 형광량계를 이용하여 아크릴을 투과한 X선의 산 란선 함유율을 측정하였다. Grid 미사용 시 피사체를 투과한 X선의 산란선 함유율 측정 결과는 단상정류방식장치에서 가장 낮은 함유율(34.158%)이 측정되었고, 인버터 정류방식(37.043%)과 삼상24피크 정류방식(37.447%)은 산란선 함유율이 증가하였다. 각 장치들의 산란선 함유율 차이는 최저 0.404%에서 최고 3.289%의 차이를 보였다. 8:1 Gird 사용 시 피사체를 투과한 X선의 산란선 함유율을 측정한 결과는 단상정류방식장치에서 가장 낮은 함유율(18.258%)로 측정되었고, 인버터정류방식(25.502%)과 삼상24피크정류방식에서 산란선 함유율 (24.217%)이 증가하였다. 그리드 선택도에 따라 단상정류방식과 정전압(인버터와 삼상24피크)정류방식에서 산란선함유율의 차이는 최저 1.285%에서 최고 7.244%의 차이를 보였다. 통계분석 결과 단상정류방식 및 정 전압정류방식에서 대조도 향상계수(K factor)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그리드 선택도와 대조도 향상계수는 정전압정류방식보다는 단상전파방식에서 모두 증가하여 그리드의 사용으로 선택도 향상과 대조도의 개선효과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n the selectivity on of high-voltage rectification device that measured the performance of the grid, and the contrast improvement ability (K factor) by measuring the scattered radiation content of the transmitted X-rays. The scattered radiation generated when the X-ray flux comes from the diagnostic X-ray generator that passes through an object. Targeting four dif-ferent rectifications of X-ray generators, the mean value of the tube voltage and the tube current was measured in order to maximize the accuracy of the generating power dose within the same exposure condition. Using fluorescence meter, the content of the scattered rays that are transmitted through the acrylic was measured depending on the grid usage. When grid is not used, the content of the scattered rays was the lowest (34.158%) with the single-phase rectifier, was increased with the inverter rectifier (37.043%) and the three-phase 24-peak rectification method (37.447%). The difference of the scattered radiation content of each device was significant from the lowest 0.404% to the highest 3.289% while using 8:1 grid, the con-tent of the scattered ray was the lowest with the single content of the scattered ray was the lowest with the single-phase rectifier (18.258%), was increased with the rectifier (25.502%) and the 24-peaks rec-tification (24.217%). Furthermore, there was difference up to content 7.244% to the lowest content 1.285% within three-phase 24-peaks rectification, inverter rectifications, and single-phase rectifier depending on the selectivity of the grid. Drawn from the statistical analysis, there was a similar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rast improvement factor and the K factor. As a result, the grid selectivity and the contrast were increased within the sin-gle-phase rectifier rather than the constant voltage rectifier.

      • KCI등재후보

        3T 고속스핀에코 T2강조영상에서 지방소거 반전회복기법의 유용성 연구

        이후민(Hoo-Min Lee),윤준(Joon Yoon),여영복(Young-Bok Yeo)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10 방사선기술과학 Vol.33 No.1

        본 연구는 T2고속스핀에코 3.0T 자기공명영상에서 지방조직 소거기법인 SPAIR와 STIR기법의 임상적 유용성에 관한 비교연구를 시행하였다. SPAIR와 STIR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뇌의 축방향 영상(20개), 요추의 시상단면영상(20개), 고관절의 관상단면영상(17개), 무릎관절의 축방향 영상(25개)을 획득하였다. 검사부위별로 지방억제기법의 지방소거능력과 화 질을 파악하기위해 지방조직의 신호강도와 불균일성을 측정하였다. 지방조직에서 불균일치는 측정된 지방 신호의 평균치(mean)에 대한 표준편차(SD)로서 그 산출은 SD/mean으로 계산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뇌 검사는 SPAIR가 STIR보다 지방억제능력과 화질면에서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둘째, 요추, 고관절, 무릎관절 검사는 지방의 신호억제능력은 STIR가 우수하고, 화질면에서는 SPAIR가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clinical usefulness of SPAIR (Spectral Adiabatic Inversion Recovery) and STIR (Short TI Inversion Recovery) to evaluate the fat tissues precisely. The images of brain axial (n = 20), lumber spine sagittal (n = 20), hip joint coronal (n = 17) and knee joint (n = 25) were obtained by turbo spin echo T2 weighted method on 3T magnetic resonance image. The signal intensity (SI) values were measured using region of interest in fat, muscle tissue, and background noise. The inhomogeneity values were measured using the standard deviation (SD) value divided by the mean values. SD signifies the amount of error which is similar to the imaging heterogeneity. In brain axial images, the SPAIR showed more superior SI and inhomogeneity results than the STIR. In spine, hip and knee images, STIR showed more excellent SI results, but poor inhomogeneity than the SPAIR.

      • KCI등재

        뇌의 고속스핀에코 T2강조영상에서 지방조직 억제를 위한 SPAIR의 반전시간(TI) 결정 및 STIR 영상과의 비교 연구

        이후민(Hoo-Min Lee) · 김함겸(Ham-Gyum Kim) · 공석교(Seok-Kyo Kong)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09 방사선기술과학 Vol.32 No.1

        본 연구는 뇌의 T2고속스핀에코 3.0T 자기공명영상에서 지방조직의 억제능력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지방조직의 불균일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SPAIR의 적정 반전시간(TI)을 찾아보고, 지방억제기법인 STIR기법과도 비교하고자 한다. SPAIR 프로토콜의 반전시간(TI)은 SPAIR TR(420 msec)의 1/2, 1/3, 1/6, 1/12, 즉 210 msec(8명), 140 msec(26명), 70 msec(26명), 35 msec(18명)로 설정하고, STIR의 TI는 250 msec(26명)로 설정하여 뇌의 축방향 영상(104개)을 획득하였다. 출력영상의 지방조직, 근육조직, 백그라운드의 ROI(50 mm2)를 설정하여 신호강도(SI)를 측정하였고, 지방과 근육조직과의 CNR을 산출하고, 지방조직에서 불균일치는 측정된 지방 신호의 평균치(mean)에 대한 표준편차(SD)로서 그 산출은 SD/mean으로 계산하였다. 측정결과는 첫째, SPAIR TI가 70 ms일 때, 지방조직의 신호강도가 TI가 140 ms 보다 낮게 측정되어 지방억제능력이 우수하였다. 둘째, SPAIR TI가 140 ms일 때, 영상의 질 측면에서 지방조직의 불균일치는 70 ms 보다 낮아서 영상의 질은 우수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SPAIR TI의 선택은 TR(420 ms)의 1/3인 140 ms와 1/6인 70 ms에서 결정되어야 하는데 지방조직의 억제능력과 지방조직의 불균일치에서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 < .001)를 보여 화질 측면에서 TI : 140 ms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한편, SPAIR(TI : 140 ms)와 STIR의 비교는 지방억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으나(p < .252), 화질측면에서 SPAIR가 STIR보다 우수한 결과를 보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eek SPAIR’s reversal time (TI) which satisfies two conditions ; maintaining the suppression ability of fat tissue and simultaneously minimizing the inhomogeneity of fat tissue in T2 high-speed spin echo 3.0T magnetic resonance image (MRI) of the brain, and to compare SPAIR with STIR which is fat-suppression technique. The reversal times (TI) of SPAIR protocol are set to 1/2, 1/3, 1/6 and 1/12 of SPAIR TR (420 msec), namely 210 msec (8 people), 140 msec (26 people), 70 msec (26 people) and 35 msec (18 people) and STIR TI is set with 250 msec (26 people). With these parameter sets, we acquired the axis direction 104 images of the brain. In ROI (50 mm2) of output image, signal intensities of the fatty tissue, the muscular tissue, and the background were measured and the CNRs of fatty tissue and the muscular tissue were calculated. The inhomogeneity of the fatty tissue is SD/mean, where SD is the standard deviation and ‘mean’ is a average fatty tissue signal. Consequently, SPAIR TI is determined on either 1/3 or 1/6 of TR (420 ms) ; 140 ms or 70 ms. Because the difference of statistics in fat-suppression ability and inhomogeneity of fatty tissue is very small (p < 0.001), Selecting 140 ms seems to be better choice for the image quality. Meanwhile, Comparing SPAIR (TI : 140 ms) with STIR, the fat-suppression is not able to be considered statistically (p < 0.252), but the image quality is able to be considered statistically (p < 0.01). In conclusion, SPAIR is better than STIR in the image quality.

      • 유전 알고리즘을 사용한 진자 동적진동 흡수장치 위치 최적화

        이후민(Hoo Min Lee),한솔지(Sol Ji Han),김덕수(Deok-Soo Kim),윤길호(Gil Ho Yoon) 대한기계학회 2021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21 No.11

        In this study, genetic algorithm is introduced to determine optimal locations of pendulum dynamic vibration absorbers (PDVAs) in vibrating structures. A PDVA is composed of a pendulum and spring-mass system, and aims to attenuate structural vibrations at two resonance frequencies. With the incorporation of genetic algorithm, an optimization method involving non-linear transient analysis is appli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PDVAs. Optimization example is solved using the proposed method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PDVAs in suppressing structural vibration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