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유치원 일반학급 순회교육 지원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연구

        이효신,이순주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5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4 No.1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invigorating the itinerant education at the kindergarten level and helping it settle in the right direction through the survey on the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on the itinerant education support for kindergarten general classes that is provided centrally by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Research goal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first is to check whether teachers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have perceived the definition and the concept of the itinerant education. The second is to see the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on the itinerant education support for the kindergarten general classes. The third is to investigate how to improve the itinerant education support for kindergarten general classe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110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who have had experiences in the education of children in their early childhood eligible for the special education and with the exclusion of 3 providing unfaithful answers out of 97 returned questionnaires, total of 94 return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o draw out the conclusion of the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regarding whether to have perceived the definition and the concept of the itinerant education or not, mos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have been aware that a provision on the itinerant education support is specified in the special education law and children eligible for special education placed in kindergarten general classes can get the itinerant education support. Secondly, with respect to the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he itinerant education support for kindergarten general classes, although most of th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itinerant education was needed, the number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had received th itinerant education support was actually small. Thirdly, regarding the perception of early chilhood teachers on the improvement measures to help the desirable itinerant education settling down, they answered that the improvement should be made in public relations about the itinerant education support, the recruitment for reinforcing itinerant teachers for the itinerant education support, the placement of qualified professional itinerant teachers and regular full-time teachers, the cooperation between itinerant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support of relevant services including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Itinerant education needs to settle in the right direction in order for the education to be suitably performed to children eligible for the special education placed in the kindergarten general classes for the purpose of th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and for this purpose, it is considered that the improvement measures on the itinerant education suggested in this study should be reviewed as sons as possible. 본 연구는 유치원 순회교육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질문지를 통하여 특수교육대상유아가 있는 유치원 일반학급의 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순회교육의 정의와 개념, 그리고 순회교육 운영과 개선방안에 대한 인식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대구광역시에서 특수교육대상유아를 교육한 경험이 있는 유아교사 110명을 1차 선정하여 질문지를 배포하였고 수거된 94부를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분석결과, 유아교사들의 75% 이상이 순회교육의 정의와 개념에 대해 인지하고 있었으며, 80% 이상이 순회교육이 필요하며 도움받기를 희망한다고 답하였다. 특수교육대상유아를 교육함에 있어 가장 어려운 점으로는 교사 자신의 전문성 부족을 가장 많이 들었으며, 도움 받기를 원하는 영역은 사회성이 가장 많았다. 순회교육의 수업일수는 현재 규정된 수준이 적정하다고 답하였으며 1일 수업시간은 1시간이 적당하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순회교육 지원형태는 일대일수업과 통합환경의 병행 방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순회교육계획안 작성은 특수교사, 일반교사, 학부모가 협력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는 의견이었다. 순회교육의 개선방안으로는 순회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협력방안이 구체화되어야 한다는 것과 순회교사의 전문성 등이 언급되었다.

      • KCI등재

        또래모델링역할놀이가 ADHD 성향 유아의 놀이참여에 미치는 영향

        이효신,함명실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9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8 No.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는 흔히 학령기에 진단되는 장애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유아기에 그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것은 아니다. 최근 이 장애의 높은 출현율로 인해 유아교육기관 교사들은 유아지도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교사의 지시에 잘 따르지 못하고 산만하여 다른 또래들의 학습도 방해하게 되는 ADHD 성향을 가진 유아를 대상으로, 역할놀이를 구조화하여 시청하게 하고 그대로 시연하게 함으로써 ADHD 성향 유아들이 학업을 방해함이 없이 놀이에 잘 참여하는지를 보고자 하였다. 놀이참여는 놀이 중 바른 태도를 갖는 것과 놀이에서 요구하는 과제를 잘 수행하는지의 여부로 측정하였다. 사용된 연구설계는 AB설계로서 또래모델링역할놀이가 놀이참여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하나의 요인이 될 수 있는지를 알아볼 수 있는 설계이다. 연구결과, ADHD 성향을 가진 2명의 대상 유아들이 일관적으로 중재이후에 긍정적인 행동변화를 나타냈고 중재가 철회된 유지기간에도 중재단계에서의 변화된 행동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일관적인 행동변화를 볼 때, 또래모델링역할놀이가 ADHD 성향 유아의 놀이참여 행동을 변화시키는 하나의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인터넷 중독 실태

        이효신,김유미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5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4 No.4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인터넷 중독 실태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경우 다른 사람과 함께 하는 활동보다 혼자 즐기는 활동에 더 빠지기 쉬운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학령기가 되면서 인터넷 중독을 가질 가능성이 크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의 인터넷 사용 실태와 인터넷 중독 실태를 파악하였고 인터넷 사용 실태의 변인에 따라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인터넷 중독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6세에서 17세 아동의 110명에게 설문지를 보내어 회수된 81명의 설문지를 조사대상으로 하였다. 인터넷 사용 실태와 중독 실태에 대한 빈도분석이 이루어졌고, 사용 실태 변인에 따라 일상생활장애, 현실구분, 긍정적 기대, 금단, 일탈, 내성에 대한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였다. 도출된 연구 결과에 따라 논의를 통하여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인터넷 중독에 대한 향후 지도 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대학 영어교육 개선방안 연구 : 지방 A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이효신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2014 영어교과교육 Vol.13 No.3

        This research aims at improving the current English education system in a local Korean university. It is based on the critical awareness that the current English education system in Korean universities is not satisfactory despite a variety of efforts made by the universities. Three research objectives are set: to evaluate the environment of the current English education, to identify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among different departments, and to provide the direction of improving the English education system in the university. The researcher collected and analyzed the data in two stages. Firstly, closed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the 200 students from the university and 144 was collected. Secondly, an open-ended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14 professors and was used to interpret the students’ responses. Based on the findings, it suggests that the current English language curricular be restructured to include the English subjects for academic purpose and occupational purpose. It also suggests that the student-oriented English courses for general purpose be provided and the supporting system reflecting students’ characteristics and demands be established.

      • KCI등재

        Analyzing the Effects of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from the Teacher Identity Perspective

        이효신 한국영어교육학회 2010 ENGLISH TEACHING(영어교육) Vol.65 No.1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has contributed to a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It built a framework from the teacher identity perspective, aimed at deriving further insight into the effects of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as a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It is a case study of a Korean primary school English teacher who conducted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ing English writing. The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from teaching logs, written accounts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then analysed. The study found that the teacher experienced growth in teacher identity based on his capacity building through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The factors affecting the growth of teacher identity are positive attitudes to address vulnerability in teaching English, participation in the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continuous reflection and establishing ownership during the research. Theoretically, this study suggests the development of teacher identity perspective and its application to design, execute and evaluate teacher education programs for in-depth understanding. Practically, it provides implications for English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반성적 저널 쓰기를 통한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수업 방해행동 개선

        이효신,임미향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6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2 No.1

        This study performed to improve class interrupting behavior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ASD) through reflective journal writing. Two ASD children were selected and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was used. Also, through the whole experiment term, data was collected by partial interval recording and analysed by visual inspection using analysis of means and percentage of non-overlap data(PND). Reflective journal writing was modified as picture diary writing and structured, in which A4 size paper was used and three kinds of sentence were included. As a result of this study, class interrupting behaviors of subjects were obviously improved. Mean line was definitely decreased and PND of subject A was 90%, that of subject B was 80%. Two points were discussed; One was application possibility of reflective journal writing for ASD children, and the other one was validity of this study. Use of picture, organization of writing, and question prompts providing were considered as factors of successive application. Although weakness of this study on external validity, internal validity and social validity, this study had its meaning in the aspect that respective journal writing can be effectively applied for ASD children. 본 연구는 반성적 저널쓰기를 ASD 아동에게 적용하여 그들의 수업 방해행동이 개선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명의 ASD 아동을 선정하여 대상자간 중다간헐 기초선 설계를 적용하였다. 자료수집은 교육실의 35분 수업 중 10분 동안 간격기록법으로 이루어졌고 30간격에 대한 행동발생 간격의 백분율로 방해 행동의 발생율을 산출하였다. 자료분석은 시각적 분석을 이용하였다. 반성적 저널쓰기는 수업 종료 후에 수행하였으며 대상아동의 특성과 수준을 고려하여 그림일기 쓰기로 변형하였다. 그림일기는 A4용지를 이용하였고 글의 구성은 설명문과 조망문 그리고 평가문이 포함되도록 하였으며, 각 문장을 쓰기 전에 문장에 맞는 질문을 제공하였다. 연구결과, 대상 아동들은 각각 중재가 시작된 이후 방해행동이 감소되는 양상을 보였으며 2주 후의 유지단계에서도 습득된 행동이 기초선 수준으로 복귀되지 않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2명 모두 기초선 단계의 평균선과 중재 단계의 평균선이 뚜렷한 차이를 나타냈고 PND도 2명 모두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반성적 저널쓰기는 ASD 아동의 방해행동 감소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ASD 아동에게 반성적 저널쓰기를 적용한 결과가 긍정적으로 나타난 이유에 대한 논의와 타당도 측면에서의 논의가 이루어졌고, ASD 아동의 행동 통제에 대한 내적 동기부여와 자기 통제 방법의 필요성이 제안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