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Fe/Ni 합금전착에 의한 다공성 그물군조 방열재료의 제조 연구

        이화영,이관희,정원용,Lee, Hwa-Young,Lee, Kwan-Hyi,Jeung, Won-Young 한국전기화학회 2002 한국전기화학회지 Vol.5 No.3

        다공성 그물구조 금속을 반도체 칩 방열재료로써 활용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다공성 그물구조 구리와 반도체 칩 사이의 열팽창 차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시도로써 다공성 구리에 대한 Fe/Ni 합금전착을 수행하였다. Fe/Ni 합금전착 실험으로 표준 Hull Cell을 구성하고 전류밀도 분포에 따른 Fe/Ni 합금층 내의 조성변화를 관찰하였으며, 실험결과 합금전착시 이상공석현상으로 인하여 전해액의 교반정도에 따라 합금층 조성이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에서는 paddle type 교반기를 사용하여 전해질의 확산을 제어하는 방법으로 원하는 조성의 Fe/Ni 합금층을 얻을 수 있었으며, 얻어진 Fe/Ni 후막을 대상으로 TMA 열분석을 실시한 결과 구리에 비해 훨씬 낮은 열팽창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실험에서 Fe/Ni 합금전착을 통하여 제작한 다공성 그물구조 금속을 대상으로 방열성능을 측정한 결과 구리 평판 대비 최대 2배 이상의 방열성능을 보여 반도체 칩 방열재료로의 활용 가능성을 높여 주었다. An attempt was made for the application of porous reticular metal to a heat dissipation material in semiconductor process. For this aim, the electrodeposition of Fe/Ni alloy on the porous reticular Cu has been performed to minimize the thermal expansion mismatch between Cu skeleton and electronic chip. Preliminary tests for the electrodeposition of Fe/Ni alloy layer were conducted by using standard Hull Cell to examine the effect of current density on the composition of alloy layer. It seemed that mass transfer affected significantly the composition of Fe/Ni layer due to anomalous codeposition in the electrodeposition of Fe/Ni alloy. A paddle type stirring bath, which was employed to control the mass transfer of electrolyte in the work, was found to allow the electrodeposition Fe/Ni with a precise composition. result showed that the thermal expansion of Fe/Ni alloy layer was much lower than that of pure copper. From the tests of heat dissipation by using the apparatus designed in the work the heat dissipation material fabricated in the work showed the excellent heat dissipation capacity, namely, more than two times as compared to that of pure copper plate.

      • KCI등재

        廢自動車 ASR의 風力 및 比中選別에 의한 處理 硏究

        이화영,오종기,Lee, Hwa-Young,Oh, Jong-Kee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05 資源 리싸이클링 Vol.14 No.2

        폐자동차 ASR으로부터 염소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풍력선별 및 비중선별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ASR플라스틱만을 분리하여 물을 매체로 한 비중선별을 실시하였다. ASR 시료는 모두 8 mm이하로 재분쇄하여 선별실험에 사용하였으며, 플라스틱은 3가지 입도로 나누어 비중선별 실험을 하였다. 풍력선별은 공기유량 9~20 M$^3$/hr 범위의 1단계와 공기유량 25~34 M$^3$/hr 범위의 2단계로 나누어 실시하고 각 산물의 비율과 재질분포를 조사하였다. 1단계 풍력선별후 underflow 산물의 비율은 62~66%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기유량이 큰 2단계 풍력선별에서는 overflow 산물의 비율이 크게 증가하였다. 폐플라스틱만을 대상으로 한 비중선별 실험결과 부유물질이 침강물질에 비해 다소 많게 나타났으며, 염소함량에 있어서는 최대 수백개의 염소함량 차이를 보여 순수 플라스틱의 경우 매우 우수한 염소함유 재질의 분리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A study on the air and gravity separation has been performed for the removal of chlorine containing materials from ASR of end-of-life vehicles. The gravity separation was also conducted on waste plastics collected from ASR. In this work, ASR were previously shredded to pass through 8 mm sieve prior to separation tests and the gravity separation of waste plastics was conducted for three different particle sizes. The two-stage air classification was conducted with the range of air flow rate of 9~20 M$^3$/hr at first stage and 25~34 M$^3$/hr at second stage, respectively. The fraction of overflow product was remarkably increased in the 2nd stage air classification because of high air flow rate while that of underflow product obtained from 1st stage air classification was found to be 62~66%. From the results of gravity separation on waste plastics, it was also found that the amount of the float product was much greater than sink product. It is believed that the gravity separation may be used very efficiently for the removal of calorine bearing materials from waste plastics.

      • KCI등재

        주요우울장애에서의 전기경련요법

        이화영,강이헌,이민수,Lee, Hwa-Young,Kang, Rhee-Hun,Lee, Min-Soo 대한생물정신의학회 2008 생물정신의학 Vol.15 No.2

        Major depressive disorder(MDD) is one of the most common diseases with serious health consequences such as increased morbidity, disability, and mortality. Electroconvulsive therapy(ECT) has been used as a treatment for mental disorder since the 1930s. A growing number of recent publications support the conclusions that ECT is an effective and safe treatment for depressed patients. Dosing strategies, frequency, safety, side effects and efficacy of ECT in MDD will be considered. ECT may be an alternative to treatment with antidepressants.

      • KCI등재

        생열귀나무 종자 발아에 있어서 개갑처리, 지배렐린, 발아온도의 효과

        이화영,허권,조동하,임정대,유창연,Lee, Hwa-Young,Heo, Kwon,Cho, Dong-Ha,Im, Jung-Dae,Yoo, Chang-Yeon 한국자원식물학회 2000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13 No.3

        생열귀나무의 번식에 관한 연구로 개갑처리와 GA$_3$의 처리에 따른 발아율 향상에 대한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열귀나무의 과실의 길이는 13cm, 폭은 0.9cm 였으며, 과실내의 종자수는 89개였다. 종자의 길이는 4.9mm, 폭은 2.87mm였으며 천립중은 7.76g이었다. 자연매장 보다는 15$^{\circ}C$ incubator에서 층적저장한 것이 개갑율 10.5%로 높았고 또한 4$^{\circ}C$ 저온저장후 개갑율도 46.6%로 가장 양호하였다. 2.개갑된 종자의 발아율이 비개갑된 종자에서는 보다 우세하였으며 최적 발아온도는 15$^{\circ}C$임을 알수 있었다. 개갑된 종자에서의 GA3의 효과는 농도처리에 따라 커다란 효과를 보이지 않았으며 개갑된 종자와 비개갑된 종자 모두 200ppm 이상으로 처리하면 오히려 발아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3. GA$_3$의 처리의 효과가 발아적온이나 개갑종류에 따라 뚜렷하지 않은 반면 비성숙된 종자의 상태(비개갑종자)와 발아 불량조건(4$^{\circ}C$, 비개갑종자)에서는 뚜렷이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uitable conditions for seed germination of Rosa davurica PALL.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ruit and seed of Rosa davurica, fruit length and width was 1.3cm and 0.9cm , respectively, and seed number was eighty-nine. Artificial and low temperature storage at 4$^{\circ}C$ increased the rate of split achene pericarp until 46.6% and storage at 15$^{\circ}C$ incubator decreased the rate of split achene pericarp (10.5%). The rate of seed germination of split achene pericarp in control at 15$^{\circ}C$ was 90% and of non-split achene in GA$_3$100ppm at 15$^{\circ}C$ was 36.8%. Average germination day of split achene pericarp seeds in GA$_3$150ppm at 2$0^{\circ}C$ was 4.2 days and non-split achene pericarp in GA$_3$100ppm at 2$0^{\circ}C$ was 7.3 days. Seed germination was not different between various concentrations of GA$_3$ treatments in split achene pericarp seeds but the rate of germination was more reduced in high concentration of 200ppm. Only the treatments of GA$_3$ was increased germination rate at 4$^{\circ}C$ and immature seed of Rosa davurica.

      • KCI등재

        Aluminum Hydroxide의 유무기산(有無機酸)에 의한 용해특성(溶解特性) 연구(硏究)

        이화영,Lee, Hwa-Young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09 資源 리싸이클링 Vol.18 No.2

        알루미늄 화합물을 합성하기 위한 전단계 연구로써, 국산 99.7% 순도의 수산화알루미늄을 대상으로 무기산 및 유기산을 이용한 용해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실험에서 사용한 수산화알루미늄의 평균입도는 각각 $14.4{\mu}m$, $22.9{\mu}m$ 및 $62.3{\mu}m$이었으며, 반응온도, 산농도, 반응시간에 따른 수산화알루미늄 용해율을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염산에 의한 용해시 염산농도가 증가할수록 용해율은 증가하였으며, $70^{\circ}C$에서 4시간 용해시 염산농도 5 mole/l의 경우 70% 이상의 용해율을 보였다. 또한, 황산을 사용하여 수산화알루미늄을 용해하고자 하는 경우 적정 황산농도는 6 mole/l 부근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옥살산을 사용하는 경우 반응온도는 $90^{\circ}C$가 적절하며, 옥살산농도 1.0 mole/l, 고체농도 20 g/l의 조건에서 16시간 용해하였을 때 거의 100%에 근접하는 용해율을 얻을 수 있었다. The dissolution of domestic aluminum hydroxide of 99.7% purity has been performed with mineral and organic acid prior to the synthesis of aluminum compounds from aluminum solution. Mean particle size of aluminum hydroxide used in the work was $14.4{\mu}m$, $22.9{\mu}m$ and $62.3{\mu}m$, respectively and the effect of reaction temperature, concentration of acid and reaction time on the dissolution of aluminum hydroxide has been examined. As a result, the dissolution of aluminum hydroxide was increased with the concentration of HCl and more than 70% dissolution was obtained with 5 mole/l HCl at $70^{\circ}C$ for reaction time of 4 hr. As far as the dissolution of aluminum hydroxide with sulfuric acid was concerned, it was found that the optimum concentration of sulfuric acid was about 6 mole/l for the effective dissolution of aluminum hydroxide. When oxalic acid was used for the dissolution of aluminum hydroxide, nearly complete dissolution could be obtained by the dissolution for 16 hr with 1.0 mole/l oxalic acid at $90^{\circ}C$.

      • KCI등재

        수산화(水酸化)알루미늄으로부터 Aluminum Oxalate의 합성(合成) 연구(硏究)

        이화영,조병원,Lee, Hwa-Young,Cho, Byung-Won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09 資源 리싸이클링 Vol.18 No.4

        수산화알루미늄을 원료물질로 하여 알루미늄 유기화합물인 aluminum oxalate 합성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국산 99.7% 순도의 수산화알루미늄을 옥살산으로 용해하는 방법으로 알루미늄 수용액을 제조하였으며, 실험결과 옥살산 농도 1.0 mole/l, 반응온도 $90^{\circ}C$에서 16시간 용해시 거의 100%에 가까운 용해율을 얻을 수 있었다. 알루미늄 수용액으로부터 aluminum oxalate를 합성하기 위해서는 ethanol/Al solution 혼합비율을 2.0이상으로 유지하여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90% 이상의 회수율을 얻기 위해서는 혼합액의 pH를 8.2이상으로 조절하여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합성반응을 통해 얻은 aluminum oxalate의 화학분석결과 $NH_4$ 14.5%, Al 7.18% 및 C 17.4%이었으며, 이의 화학식은 $(NH_4)_3Al(C_2O_4)_3$ $3H_2O$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synthesis of aluminum oxalate, one of the aluminum organic compounds, has been performed using aluminum hydroxide as a raw material. For this aim, domestic aluminum hydroxide of 99.7% purity was dissolved by oxalic acid to produce an aqueous aluminum solut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aluminum hydroxide could be dissolved almost completely by the reaction with 1.0 mole/l oxalic acid solution at $90^{\circ}C$ for 16 hr. It was strongly required to keep the ratio of ethanol/Al solution more than 2.0 for the synthesis of aluminum oxalate from the aluminum solution. Furthermore, the pH should be controlled to be more than 8.2 in order to obtain the recovery of aluminum oxalate higher than 90%. From the chemical analysis of aluminum oxalate prepared in this work, the content of $NH_4$, Al and C was found to be 14.5, 7.18 and 17.4%,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aluminum oxalate synthesized from the aluminum solution was confirmed to be $(NH_4)_3Al(C_2O_4)_3$ $3H_2O$.

      • 3D 프린팅에 의한 충진물 제조 및 성능평가

        이화영,최영민,홍연기,Lee, Hwa Young,Choi, Young Min,Hong, Yeon Ki 한국교통대학교 융복합기술연구소 2015 융ㆍ복합기술연구소 논문집 Vol.5 No.2

        In this paper, the development history of random packings for several generations was briefly introduced. We demonstrate the application of 3D printing to the fabrication of Pall rings, directly using computer aided design (CAD) models. The CAD was used to design Pall rings with different number of blades. The models were then printed by using UV curing of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ABS) resins. The results show that 3D printing is a promising method for producing precisely controlled packing materials. It is also expected that 3D printing is helpful for the fundamental studies of highly efficient packing materials with complex geometrical shapes.

      • KCI등재후보

        폐자동차 파쇄를 통한 주요구성물질의 분리 및 분석평가

        이화영,오종기,김성규,Lee Hwa-Young,Oh Jong-Kee,Kim Sung-Gyu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02 資源 리싸이클링 Vol.11 No.4

        폐자동차 파쇄를 통한 주요구성물질의 분리 및 분석평가를 위한 현장실험을 수행하였다. 모재인 폐자동차 차피로는 국내 자동차 업체에서 제작한 Sonata II, Sephia 및 Prince의 3종을 선택하여 엔진부분과 타이어 및 문짝 등을 미리 제거하고 압축된 상태로 제공받았다. 현장설비의 주요 공정은 pre- 및 main-shredder, 분급기, 자선기, 와류선별기 및 수작업 분리로 구성되어 있었다. shredder 산물의 현장 분리실험결과 철 스크랩이 전체의 60.1%를 차지하여 가장 비중이 높았으며, 알루미늄, 구리 및 아연 등의 비철금속류는 약 2%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Light fluff는 fluff 전체 중량의 90% 정도를 차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5cm undersize 가 70.5%로써 대부분이었고 나머지는 플라스틱, 섬유 및 스폰지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heavy fluff의 경우에는 고무와 플라스틱이 주구성물질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발열량의 경우 플라스틱이 10,000 cal/gr을 상회하여 가장 높았고 가죽과 고무류가 각각 10.3 및 2.55 wt%의 비교적 높은 CI함량을 보였다. Analysis and separation of constituent materials of old car have been performed by using the industrial shredding line. For this aim, three old cars made by domestic automobile manufacturers, Sonata II, Sephia and Prince were chosen and delivered in pressed form without engine, tires and doors, etc. Shredding line was substantially composed of pre- and main-shredder. cyclone, magnetic separation, eddy current separation and man-power separation. From the separation of shredder products, iron scrap was observed to be the major material of old car accounting for 60.1 % of total weight and non-ferrous metals involving Al, Cu and Zn, etc. were about 2%. Light fluff, about 90% of total fluff product, was comprised with plastic, fiber and sponge, etc. and the fraction of 5 cm undersize in light fluff was 70.5%. In case of heavy fluff, however. rubber and plastic were found to be the major constituent materials of it. Among the constituent materials of fluff, plastic showed the highest calorific value, more than 10,000 cal/gr and leather and rubber showed relatively high chlorine content, 10.3 and 2.55 wt%, respectively.

      • KCI등재

        간섬유화스캔을 이용한 선천성 담도 폐쇄증의 최적 수술시기 시험적 제안

        이화영,박영아,한석주,고홍,Lee, Hwa-Young,Park, Young-A,Han, Seok-Joo,Koh, Hong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11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14 No.1

        목 적: 선천성 담도폐쇄증의 일차적 치료로 알려진 Kasai 수술에서의 가장 중요한 예후 인자로 수술 시기가 중요하다는 것은 기존의 연구 결과들을 통해 잘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천성 담도 폐쇄증 환아들을 수술 시기별로 분류하고 간섬유화 스캔을 수술 전후에 시행하여 얻어진 간탄성률값을 이용하여 수술 전후의 간 섬유화 변화를 비교함으로서 본 연구에서 도출된 최적의 수술시기가 기존의 연구와 일치하는지 재확인 하고자 한다. 방 법: 2007년 10월부터 2010년 7월까지 단일 기관에서 Kasai 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수술 전후로 간섬유화 스캔을 시행한 환자 34명을 대상으로 수술 시기별 간탄성률 결과값을 비교하였다. 결 과: 환자군의 수술 시기가 빠를수록 수술 전과 후 모두에서 간탄성률 결과값은 좋았고, 특히 8주 이전에 수술을 시행 받은 경우 그 이상에서 수술을 받은 환자군보다 수술 후의 간섬유화가 적게 진행되었고 일부에서는 회복되었다. 또한 8주 수술 전후의 각 탄성률 간의 차이값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결 론: Kasai 수술의 시기가 이를수록 수술 전 간 섬유화가 적고, 적어도 8주 이전에서 Kasai 수술을 시행하였을 때 수술 이후의 간섬유화가 양호하였으며 수술전후의 간섬유화 진행 정도가 크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섬유화스캔을 바탕으로 적어도 8주 미만의 연령이 Kasai 수술을 시행 받기에 최적의 시기임을 재확인하였다. Purpose: Based on previous research findings, it is well-known that the timing of surgery is generally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prognostic factor for a Kasai portoenterostomy, the primary treatment for biliary atresia. This research aimed to identify the optimal timing of a Kasai portoenterostomy and to verify if the proposed optimal timing corresponds to previous studies. All patients were classified by the timing of surgery, and pre- and post-operative fibrotic changes of the liver were measured with the elasticity value from fibroscans. Methods: The stiffness scores of the pre- and post-operative fibroscans in 34 patients who were treated by Kasai portoenterostomy from October 2007 to September 2010 in Severance children's hospital were reviewed. Results: The earlier the patients were treated by Kasai portoenterostomy, the lower the fibroscan scores. When the patients were treated prior to the 8th week, the post-operative scores of the fibroscans were significantly better than those patients who were treated after the 8th week, and some even recovered partially. Moreover, when operated before the 8th week, the differences between each pre- and postoperative fibroscan score also showed statistical relevance (p=0.0002). Conclusion: The earlier the patient was treated by Kasai portoenterostomy, the less liver fibrosis that developed, the lower the level of post-operative fibrosis, and the less the degree of fibrotic progress before and after the operation. Thus, this research proposal reconfirms once more that the 8th week is the optimal timing for a Kasai portoenterostom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