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the APEC Region: the Role of Country Risks

        이현훈,Ramkishen S. Rajan 한국무역학회 2011 Journal of Korea trade Vol.15 No.3

        This paper aims to establish a firm understanding of the structure and determinants of bilateral FDI investment linkages among APEC economies. Specifically, this paper first aims to analyze determinants of intra-APEC FDI flows so as to ascertain if and whether APEC members tend to invest more intensively intraregionally than extraregionally and, conversely, whether APEC economies receive more investments from other APEC members compared to extra-regional investments. This paper then aims to assess the impact on FDI flows of three different types of country risks - political, economic and financial risks - for the destination economy. This paper finds that the APEC member economies engage more intensively with each other in terms of FDI flows than what one might expect based on the general determinants of FDI flows. However, this conclusion does not hold once we incorporate bilateral exports, suggesting that the reason for the more intensive FDI engagement within APEC was largely due to the significant trade links between the member economies. More exports tend to promote bilateral FDI flows. This points to the complementary nature of FDI and trade in the APEC region. This paper also finds that economies with lower political risk appear to attract more FDI inflows. Thus, individual and regional efforts to improve the institutional quality of member economie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increasing intra- regional FDI flows in the region. Other aspects, such as more stable political systems, improvements in socioeconomic conditions, reduction in corruption and enhancement of law and order, are all important objectives in and of themselves and will obviously contribute to greater FDI flows

      • 중력모형을 이용한 우리나라 무역상대국의 종합적 특성 분석

        이현훈,박의정 한국무역학회 2006 한국무역학회 세미나 및 토론회 Vol.2006 No.2

        본 연구는 2003년도 우리나라의 무역상대국 중 World Bank로부터 GOP 및 인구 자료를 얻을 수 있는 172국을 대상으로 중력모형이 포함해야 하는 거의 모든 주요 변수를 가지고 우리나라의 무역 규모의 결정요인으로 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다. 분석결과 무역 상대국의 GOP, 인구, 일인당 GOP 등은 수출입 모두에 正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지리적 거리는 負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한국은 다른 조건이 동일하다면 격지성이 큰 나라들과 교역을 더 많이 하는 한편, 지리적 영토가 큰 나라들과는 교역을 적게 한다. 아울러 내륙국가 및 섬나라들과도 상대적으로 교역을 적게 한다. 해외 교민은 한국의 수출입에 正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특히 제조업보다는 비제조업의 수출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편, 한국은 WTO 회원국으로부터의 수입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지만 수출에는 별다른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한국의 경우 WTO가 수출 증대에는 기여하지 않지만, 수입에는 제한적으로 증대 효과를 갖고 있는 것으로 보여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지역경제통합체 중에서 한국 수출의 전환효과를 가져온다고 볼 수 있는 것은 CEMAC, COMESA, UEMOA WAENU, SADC 등 모두 아프리카에 소재한 경제통합체들인 반면, EU, NAFTA, ASEAN 등 나머지 경제통합체들은 한국의 수출에 미치는 효과가 중립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Impact of the Global Financial Crisis on the Degree of Financial Integration among East Asian Countries

        이현훈,이인실,박동현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13 Global economic review Vol.42 No.4

        This paper aims to gauge the impact of the global financial crisis on bilateral holdings of financial assets among East Asian countries. For this purpose, this paper uses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s Coordinated Portfolio Investment Survey (CPIS) data. We first present information about financial linkages between the CPIS-participating eight East Asian economies and other East Asian economies before and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of 2008. We then apply the gravity model to assess the determinants of the cross-border holdings of foreign securities for four major East Asian financial investors – Hong Kong, Japan, Korea and Singapore. We find only few changes in the bilateral holdings of financial assets among East Asian countries in the post-crisis period. In particular, our evidence does not indicate that intra- Asian financial integration has increased noticeably since the global crisis.

      • KCI등재

        Two-way Cross-border Transactions in Financial Assets and Their Implications for Financial Cooperation in East Asia

        이현훈 한국경제연구학회 2010 Korea and the World Economy Vol.11 No.3

        Intra-industry trade in goods is a well-documented phenomenon that has provided the empirical stimulus for the development of the New International Trade Theory. Intra-industry trade also characterizes international trade in assets as two countries simultaneously export and import assets to/from each other. This study shows the magnitude of two-way transactions in equities and bonds to be quantitatively significant, using data gathered from the IMF’s Coordinated Portfolio Investment Survey (CPIS) and the relevant Grubel-Lloyd index. This study also shows that countries whose market size, degree of capital market liberalization, and real interest rates are similar have a greater propensity to engage in two-way transactions of financial assets. It is also found that the extent of two-way holdings of financial assets between Japan and other East Asian countries is smaller than that between Japan and other non-East Asian countries. This finding suggests that despite the recent efforts to strengthen financial cooperation in East Asia, links among intraregional financial markets are still low. Our results are theory-based and are robust to a number of different empirical specifications.

      • KCI등재

        Effects of Inward and Outward Greenfield FDI on Employment by Domestic Firms: The Korean Experience

        이현훈,박단비 한국경제연구학회 2020 Korea and the World Economy Vol.21 No.1

        Through the construction of new facilities, greenfield FDI is certain to result in the hiring of new workers in the host country. This paper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inward greenfield on employment by domestic firms in South Korea. We construct a panel of 1,328 Korean firms in 20 industries for the period 2004-2015 and link this to greenfield FDI data acquired from fDi Markets (Financial Times Ltd.). We find that inward greenfield FDI leads to increased employment by domestic firms. It is found to be particularly pronounced in the goods sector (i.e., primary and manufacturing). This effect becomes stronger when the source countries of greenfield FDI are developed countries.

      • KCI등재

        國際金融體制 改編의 論議 動向과 우리의 對應

        이현훈,양두용 한국은행 2001 經濟分析 Vol.7 No.1

        1977년 발생한 동아시아 외환위기는 국제사회로 하여금 기존의 국제금융체제가 외환위기를 예방하고 관리함에 있어서 한계가 있음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에 따라 그 동안 학계, 각국 정부, G-7, G-20, 국제기구 등 다양한 단체와 개인들이 국제금융체제를 새롭게 개편해야 한다는 점에 동의하고 각종 대안을 제시해왔다. 일부에서는 기존의 IMF를 폐지하고 새로운 국제금융기구를 설립해야 한다는 주장을 하였다. 그러나 최근에 와서는 IMF의 기능을 보다 강화하는 방향으로 국제금융질서를 재편하고 있는 추세이다. 현재까지의 국제금융체제 개편은 1999년 6월 G-7 재무장관회의에서 채택된 ‘국제금융체제 강화를 위한 보고서’를 토대로 금융안정포럼(FSF)과 국제통화금융위원회(IMFC)가 중심이 되어 추진하고 G-20에서 신흥시장국의 입장을 반영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한편 외환위기를 겪은 동아시아 역내 국가간의 협력 논의도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 같이 논의의 결과로 탄생하는 신국제금융체제는 한국의 국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특히 한국은 외환위기의 극복경험을 갖고 있는 한편, 대외채무국이면서 대외채권국이기도 하기 때문에 선진국과 후진국의 중간자적 입장에서 적극적인 정책대응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국제금융제도 개편의 논의 동향을 (1) 새로운 국제금융기구의 설치 논의 (2) 위기 예방을 위한 국제금융체제의 개혁 논의 (3) 위기 관리를 위한 국제금융체제의 개혁 논의 (4) 동아시아의 역내 국가간의 협력 순으로 살펴 본 뒤, 마지막으로 한국의 정책대응 방향을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