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저강도 레이저와 초음파의 동시 적용이 골절 치유 촉진에 미치는 효과

        이현기,Lee, Hyun-Kee 대한물리치료학회 2003 대한물리치료학회지 Vol.15 No.4

        The purpose of study was to evaluate effects of low-intensity ultrasound and laser on healing of bone fracture. Twenty fracture patient were selected for this study(fourteen males, six females. mean aged 44.8) fracture area was humerus, tibia, forearm bones. The obtain result are as follows. 1.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following that pain score was significantly reduced pre intervention compared with post intervention in male(P<.001). 2.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following that pain score was significantly reduced pre intervention compared with post intervention in female(P<.001). 1.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following that pain score was not appeared reduced pre intervention compared with post intervention in male and female(P<.001). 4.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following that pain score was not appeared pre intervention compared with post intervention in male between age(P<.001). 5.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following that pain score was not appeared pre intervention compared with post intervention in female between age (P<.001). 6.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following that radiologic score was significantly reduced pre intervention compared with post intervention in male(P<.001). 7.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following that radiologic score was significantly reduced pre intervention compared with post intervention in female(P<.001). 8.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following that radiologic score was not appeared reduced pre intervention compared with post intervention in male and female(P<.001). 9.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following that radiologic score was not appeared pre intervention compared with post intervention in male between ages(P<.001). 10.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following that radiologic score was not appeared pre intervention compared with post intervention in female between ages(P<.001). 11.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following that healing on fracture area was observed that reduced pre intervention compared with post intervention

      • 불유합 치료에 관한 고찰

        이현기,박래준,Lee Hyun-kee,Park Rae-joon 대한물리치료학회 2003 대한물리치료학회지 Vol.15 No.1

        The nonunion means a state that the healing of fracture has stopped, and the part of fracture remains to not heal up in several months. The medical treatment of nonunion was tried several way to add stability to fracture. The treatment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and medicine which is make from calcium, phosphorus, and Vitamin A, D have used, but recently try to use Ultrasound and Laser in the physical therapy. In the text, we look into definition of nonunion, a cause, fracture of treatment process and approach of nonunion treatment. So, using Ultrasound and Laser in the physical therapy can be great help to the fracture and nonunion

      • KCI등재

        한국 노인 자원봉사자의 특성, 횟수와 시간, 그리고 자원봉사 영향요인 연구

        이현기(Hyun Kee Lee) 한국노인복지학회 2013 노인복지연구 Vol.0 No.62

        본 논문의 목적은 노년기 자원봉사의 실태를 연간 횟수와 회당 평균시간으로 파악하고, 봉사 횟수와 시간의 영향요인을 새로운 통계기법으로 추정하는 것이다. 본 연구 대상자는 전국에서 층화 확률비례계통추출 방식으로 추출된 가구의 자원봉사 참여 노인 912명이었다. 그리고 본 연구는 분석방법으로 일반화선형모형을 활용하였다. 본 논문은 자원봉사 횟수와 시간이 각각 음이항 분포와 감마분포를 취하기 때문에 적정한 추정치를 얻기 위해서 음이항회귀와 감마회귀 모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참여노인은 비참여자보다 교육, 건강, 사회적 관계망 등이 높은 특징을 보였고 평균연간 횟수는 11.83 회, 회당 평균 시간은 3.78 시간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노인들의 봉사 활동 영역은 환경보호, 복지시설 봉사 등 6개 분야에 걸쳐 있었으며 분야별 횟수와 회당평균시간은 편차가 큰 편이었다. 노인자원봉사 횟수와 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으로서 인적 자원, 사회적 자원, 문화적 자원 변수들이 식별되었고, 이 변수들은 대체적으로 횟수와 시간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가구소득은 시간과 횟수에 모두 부(-)적 효과를 갖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노인 봉사자의 지속적 유지 방법과 관련한 정책적 함의를 논의 하였다. The thesis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old-age volunteers, yearly total frequencies, and average hours spent in a volunteer activity. Also the paper tries to estimate the effects of influential factors on volunteering frequencies and average hours of dependent variables. The research uses, as analysis subjects, 912 older adults who is randomly sampled from Korean standard households and is more than 55 year old. The study uses Generalized Linear Model for the analysis. The frequencies and average hours of volunteering are negative binomial distributive and gamma distributive respectively so that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and gamma regression model are used to identify the affecting factors. The analysis results shows that yearly total frequencies were 11.83 times, and average hours per a participation was 3.78 hour. At the same time, human, social, and cultural resources variables were identified as the factors of frequency and hour for volunteering. The paper discusses that the opportunity cost of volunteer hours is very lower than wage and that age effects work to keep total volunteering hours by regulating frequencies and hours. Finally, the paperproposes several policy alternatives to increase volunteering hours among Korean older adults.

      • KCI등재

        고령자 재취업과 지역복지정책적의 함의

        이현기(Hyun Kee Lee) 한국노인복지학회 2001 노인복지연구 Vol.11 No.-

        This paper analyses the elderly reemployment activities in the local areas and proposes new welfare policy alternatives. The author criticizes the previous survey researches of eldery work activities and the results in that they employed the wrongful age scopes of the study objects, and misinterpreted the outcomes. Recently the elderly retirement behaviors in Korea have occured earlier than we expect and the age of initial retirement has been younger. Therefore, an examination of elderly work behaviors below the age 65 is considered to be adequate and necessary for estimating the concrete magnitudes. This study executes the survey research focusing on the elderly who is below the age 65, and the results show that the reemployenmt behavior slowly increased between ages 55 and 59, and peaked during early sixties. As a result, this confirmed that Korean senior citizen started the reemployment activity earlier than age 65. In the end of paper, the author discusses the policy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the later studies.

      • KCI등재

        노인자원봉사활동의 건강효과에 대한 종단연구

        이현기(Lee Hyun kee) 한국노년학회 2016 한국노년학 Vol.36 No.1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volunteerism among older persons on the health outcomes. The paper used 3 waves(2006, 2007, 2008) of Korean welfare panel study(N=5,768). The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 analysis estimated regression models of physical and mental health outcomes which include volunteering status, volunteering frequencies, age, sex, and other context variables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volunteering increases the self-rated physical health, reduces depression, and improves the self-respects for older people and that the volunteering health effects have a threshold effect on mental healths. However the study found that there is not a moderating effect of age, sex, and marital status on the volunteerism health effects. The thesis interprets the volunteering health effects with construct concepts of social integration and social supports, based on the theory of social relationships and health.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volunteering has health effects, and developing and promoting volunteer programs for older adults is needed for Korean society. 노인자원봉사활동의 건강에 대한 혜택이 알려지면서 이를 규명하고자하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한국에서도 노인자원봉사활동의 건강효과를 규명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여전히 인과적 관계는 불분명하다. 본 논문은 이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서 종단설계를 통하여 한국복지패널 1·2·3차 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노인자원봉사활동을 독립변수로 신체건강과 정신건강을 결과변수로 하는 회귀모형을 추정하였다. 본 연구의 일반화추정방정식(GEE) 분석 결과는 노인자원봉사활동은 인지된 신체건강과 정(+)의 관계를 그리고 우울감과는 부(-)의 관계, 자아존중감과는 정(+)의 관계가 있다는 것을 나타냈다. 이것은 자원봉사활동이 신체건강을 향상시키고 우울감을 감소시키며, 자아 존중감을 향상시킴을 함의한다. 그리고 분석 결과는 자원봉사활동의 정신 건강 효과에서 문턱 효과를 발견하였다. 그러나 노인자원봉사활동의 건강효과에서 사회구조 변수인 연령, 성별, 배우자 유무의 조절효과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본 논문은 노인자원봉사활동의 건강효과를 건강의 사회적 관계이론에 근거하여 자원봉사자 연결망의 사회통합과 사회적 지원의 구성개념으로 해석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는 노인자원봉사활동의 건강 효과가 존재한다는 것과 노인의 복지증진과 사회참여 촉진을 위해 노년기 자원봉사활동을 정책적으로 적극 활성화하여야 한다는 것을 함의한다.

      • KCI등재

        노년기 생활환경과 중 고령자의 자원봉사활동: 현금기부 자원봉사활동을 중심으로

        이현기 ( Hyun Kee Lee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2 사회복지정책 Vol.39 No.4

        본 논문은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참여와 빈도는 다른 연령집단에 비해서 생활환경의 영향력에 민감하다는 문제의식을 갖고 시작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목적은 노년기 생활환경과 현금기부 자원봉사활동과의 관계성을 밝히고, 이 관계를 개인-환경의 상호작용과정에서 출현하는 거주지 소속감 (belonging)과 행위주체성(agency)의 개념으로 설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2009년 통계청 사회의식조사 자료에서 중 고령자 표본 10,268 명을 추출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이 항로짓 모형과 토빗(Tobit)모형의 분석 결과는 종속변수인 현금기부 자원봉사 참여는 모든 생활환경 변수와 정의 상관을, 그리고 또 다른 종속변수, 연간 기부 횟수는 사회적 환경과 정의 상관을 갖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 결과들은 현금기부 자원봉사활동 참여는 개인-환경 상호작용 과정에서 오랜 거주지 경험으로 출현하는 소속감과, 행위주체성이 상호작용하여 개인의 정체성과 자율성을 향상시키고, 그 결과 자원봉사참여가 촉진 되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한편 분석결과는 정책영역에서 장기적으로 중 고령자의 생활환경 개선이 노인의 사회참여 촉진에 기여한다는 것을 함의하며, 이론적으로는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연구에서 환경변수의 중요성을 함축한다. The paper intend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environments or contexts on volunteering among older adults and explain the why under assumptions of environmental theory on aging. This paper makes attempts to apply concepts, Belonging and Agency to person-environments(p-e) interaction. For the purpose, the study uses 2009 Statistics Korea data of Korean Social Survey and selects a sample of 10,268 people who are more than 55 years old. The Binary Logit model and Tobit model results show that a dependent variable, money volunteering participation is positively related to all environmental variables in statistically meaningful level(p<.000). Also, another dependent variable, yearly frequency of money volunteering is positively related to social environmental variables in statistically meaningful level, but the study fail to find statistically meaningful relationships between the latter dependent variable and residence environment variables. Under the thesis of environmental theory on aging the results are interpreted as follows. Money volunteering among the older people is promoted by identity and autonomy which become formed by Belonging and Agency which are emergent in the process of p-e interaction and as result of long aging in place. This suggests that civic engagement among senior citizens can be improved by bettering environmental conditions in place and environmental variables are considered to be important in the future volunteering studies.

      • KCI등재후보

        노인여가활동의 성별차이와 관련요인 비교 연구

        이현기(Hyun kee Lee)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08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18 No.-

        노년기의 여가활동은 생활만족과 건강을 유지케 해주는 귀중한 복지자원이다. 그러나 개인의 복지자원으로써 여가활동은 초 고령층으로 갈수록 성비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남녀에 따라서 차별적으로 경험될 개연성에 대한 우려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노인 여가활동 참여율의 성별 차이와 관련요인의 남녀차이를 밝히는 동시에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전국 표본 조사를 통해서 구해진 60세 이상의 남녀 노인 2,103명을 대상으로 여가 참여율을 구하고, 노인전체 표본과 남녀 개별 표본으로 분리하여 관련 요인의 성별 차이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추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정의된 전체 여가활동 참여율은 여자 노인이 약 23%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개별 여가활동에서 관련 요인의 성별차이도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여자노인에게는 여행·관광·나들이에서 미성년 자녀의 유무 변인이, 남자노인에게는 사교 및 모임활동에서 결혼지위 요인만이 배타적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공통적으로 관련된 요인으로는 교육, 건강, 취업, 종교 등의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분석에서 부모동거여부와 집의 소유여부 등은 여가활동과 유의한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기서 여가 참여율과 관련 요인의 성별 차이는 여가태도 변화와 성역할 차이의 관점에서 해석되었고, 본 논문의 마지막에서 복지적 실천 방법을 제안하였다. For the elderly, leisure activities are welfare resources that help to maintain health and engagement with life. The paper investigates gender differences in rates and correlates of elderly leisure activities. The data are from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s of the population aged 60 or more years. The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is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The level of overall leisure participation for females is about 23 percent higher than that of males. Gender differences in the correlates of leisure activity are found in the sample: Specifically for the females, having children variable is exclusively and significantly related to a leisure dependent variable, travel/going out, and for males marital status variable is exclusively and significantly related to a variable, socializing/get together. On the other end, the common factors of leisure activities appear to be education level, subjective health, employment status, religion variables. However, two variables, living together with parents and possessing my house appear not to be related to the leisure activity variables. In this paper, the findings, gender differences are discussed in terms of leisure attitude changes and gender role theory, and the leisure practices of welfare is suggested at the end of thesis.

      • KCI등재

        중장년 및 노년 성인의 자원봉사참여 변화와 젠더차이

        이현기(Hyun-Kee Lee) 한국보건복지학회 2020 보건과 복지 Vol.22 No.4

        본 논문은 중장년 및 노년 성인의 자원봉사참여 궤적을 추정하고 그 변화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밝혀내며 자원봉사활동의 젠더차이를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08년부터 2016년까지 총 8년간, 5회 조사된 한국고령화연구패널 자료를 사용하였고 최종 표본 총 9,855명과 관측 값 39,533개가 분석되었다. 분석기법은 반복적으로 관찰되는 데이터구조 하에서 종속변수의 변화를 추정하는데 적합한 멀티레벨 성장곡선모델을 사용했다. 분석결과 첫째, 노년성인의 자원봉사활동 참여궤적은 완만한 역U자(∩)형태로 감소하며 약 66세 전후에서 편평한 형태로 안정화되었다. 둘째, 노년성인의 자원봉사젠더차이는 평생발달과 더불어 지속되었으며 이 차이는 절편과 변화율의 공분산계수의 음(-)방향과 관련이 있었다. 셋째, 개인별 참여궤적은 서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개인 고유성뿐만 아니라 연령, 혼인관계변화, 건강변화, 상호작용빈도감소, 사회연결망크기축소 등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는 건강 및 사회연결망 관리를 통해 활동 중단을 감소할 수 있으며 젠더 차이 측면에서 남성 자원봉사자의 초기 활동 강도를 높이는 것이 지속 확률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함의한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생애주기접근 및 개별화된 관리전략을 제시하며, 끝으로 추후 연구방향으로 젠더별 비교분석을 제언하였다. This paper tries to understand the trajectories of volunteering among Korean older adults, their gender differences over the lifespan and the influential factors. Using 2008-2016 KLoSA data over 8 years, the study analyzed total 9,855 persons and 39,533 person-years observations with the multi-level growth curve analysis model. The findings reveal that the first, the individual trajectories of volunteering decreased in gradual inverted U-shape(∩) curve and were stabilized around the age of 66. The second, their gender differences of volunteering persisted in the ways of dynamic process over the lifespan, which were caused by the negative directions(-) of covariance of the intercepts and the change slopes. The third, the individual trajectories came to be different each other, which were impacted by the factors of individual uniqueness as well as change of marital status, weakened health, decreasing interaction frequency, reduced social networks. Results suggest that factors such as health management, social network extension, interaction improvement help to reduce the cessation, and bolstering mens’ intensity of volunteering in early stage needs to keep them longer for amelioration of their gender differences. Finally the paper suggests the life cycle and individualized management strategy approaches to volunteering for health welfare policies and proposes the gender-comparison analysis study in the near future.

      • KCI우수등재

        주거환경 관련 특징과 중년이후 삶의 만족도 종단 관계 - 주거형태와 주택유형을 중심으로 -

        이현기(Lee, Hyun Kee) 한국사회복지학회 2019 한국사회복지학 Vol.71 No.2

        본 논문은 주거환경 관련 특징이 중년 이후 삶의 만족도와 중장기적으로 어떤 관계가 있는지 실증적으로 밝혀내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KLoSA 패널 조사연구 시리즈 1차 년도에서 6차 년도 데이터를 결합하여 주거환경 관련 특징과 삶의 만족도 관계를 PA 추정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45세 이상 남녀로서 조사 시작년도 2006년 기준 11,171명이었다. 분석결과, 주거환경 관련 특징변수인 주거 형태와 주택유형 변수의 특징에 따라 삶의 만족도는 차이를 보였고 통시적으로 차이의 갭은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주거형태 변수는 연령 및 교육변수와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이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주거형태의 영향력이 더 증가하는데 이는 거주자가 노화 진전에 따라 주거환경에 대한 종속이 커지는 것을 함의하는 동시에 교육수준이 주거형태에 따른 삶의 만족도 차이를 완충하는 것을 시사한다. 이 결과들은 주거환경 관련 특징은 거주자 모집단의 인구 사회적 특징에 따라 삶의 만족도에 차별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함의하며 삶의 만족을 증진하기 위해 주거환경 개선은 물론 거주자 집단 특성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며, 특히 초 고령자에 대한 주거복지 배려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aper trie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residentia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n life satisfaction over the life courses. It is well-known that health affects the quality of life for older persons but many people do not have much interests in the residential influences on older residents. The author combines all the KLoSA data set which are the first wave through the sixth wave and analyzes the relationships, using panel regression techniques. The results show that a dummy variable of residential patterns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life satisfaction and a social network variable has too. This implies that living in self-owned houses increases more life satisfaction than living in rental houses do. The house-type variable comes to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life satisfaction.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residential environments have an influence on well-being for residents after middle years. The study found that the residential pattern variable has an interaction effect with socio-demographic variables. One interaction effect among them was that the variable of living in self-owned house has an interaction with age variable. It implies that the variable of residence in self-owned house may make big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in very old age. The paper interprets cautiously it as older residents become more dependent on the home environment, growing older. Finally the paper suggests that housing welfare program and the community-based social service need to be developed for residents in very old ag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