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방정부의 지식획득과 지식축적에 대한 연구

        이향수(李享修)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011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Vol.14 No.1

        그동안 지식관리의 주된 화두는 지식공유나 활용에 치중해 있었으며, 상대적으로 지식획득이나 축적에 대한 관심은 적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지식의 획득과 축적을 기반으로 공유나 활용 등의 기타 지식활동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지식획득과 축적활동이 가지는 의미는 매우 크다. 본 연구에서는 지방정부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하여 지식획득 및 지식축적 활동의 정도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설문조사를 통한 양적접근방법과 심층면담을 통한 질적 접근을 병행하여 표준화된 설문조사만을 통해서는 밝혀내기 어려운 공무원들 지식활동의 현실을 분석하고 있다. 분석 결과 지방정부 공무원들의 지식획득 및 축적활동은 보통수준이며, 형식적이며 소극적인 지식활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부조직의 지식활동에 있어서의 정책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Knowledge acquisition and accumulation have received very little attention in the study of knowledge management, unlike knowledge sharing and utilization. For an organization to generate and preserve a competitive advantage, it is vital that its knowledge be acquired and stored. This study analyzes, by quantitative approach of surveys and qualitative approach of in-depth interviews, the degree of activities of knowledge acquisition and accumulation for the employees of a local government organiza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employees of a local government are not aggressively involved in knowledge acquisition and accumulation activities. Lesson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for management leadership are presented.

      • KCI등재

        서비스디자인 특화 평가모델 개발연구

        이향은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5

        Consumers' satisfaction with their products and services is a key factor in evaluating a company. Therefore, the value of differentiated service design that plans and manages touch points with customersbecomes significant, and it is gradually watching the arrival of the era of service management. Servicedesign has become an element of innovation that can create value by providing users with newexperiences. In the past, the evaluation of services has mainly been performed in economics or industrialengineering. If we can extend the service to the emotional area based on the design thinking andmeasure the satisfaction of the consumers' service quality in depth, it can be used as the productcompetitive advantage test in the era of service management. There are models and methodologiesthat only evaluate service quality, but there are few types of research on service design - specificevaluation models that reflects the purpose and process of service design which ‘emotional approach’and ‘various position’ are importa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valuation model whichindexes the value of service design. For this study, I analyzed the existing service evaluation modelsand derive essential elements for service evaluation. In order to positively reflect the characteristicsof service design, the 5 principles of service design are set as the guideline of qualitative evaluationfeatures of Sequencing, Holistic, User Centered, Co-creation, and Evidencing. The service lifecycle wasdivided into three stages so that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service design could bedistinguished, and the verification factors of each stakeholder according to the life cycle were derivedthrough cross - analysis with each stakeholder group. In the case of qualitative evaluation, 5 categoriesof evaluation items are selected based on the five principles of service design. The service designspecialization evaluation model, which i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characteristics of service design are reflected in basic research and planning to develop an evaluationmodel that is specialized in service design. Second, a new method to measure emotions is proposed. Thirdly, service design specific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valuation model is designed based onpracticality with consideration for practical use. In the future, I will conduct a quantitative survey anda qualitative survey of the structure designed for users who are in contact with products/servicesprovided by actual companies, and revised to the items of measurement, Service design specializedevaluation model. Continuous follow-up research based on this research is undergoing to completedevelopment of service design-specific quantitative/qualitative evaluation model. 소비자들이 기업을 평가하는 요소로 제품은 물론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가 중요한 작용을 하고 있다. 이에 다양한층위에서 고객과의 접점을 기획하고 관리하는 차별화된 서비스디자인의 가치가 중대해지며 서비스경영의 시대로진입하고 있다. 서비스디자인은 사용자에게 새로운 혹은 보다 나은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신규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혁신의 요소가 되었다. 과거 서비스에 대한 평가는 주로 경제학이나 산업공학적 측면에서 이루어져 왔다. 디자인적사고(Design Thinking)에 입각해 서비스를 감성적인 영역으로 확대하여 소비자들의 서비스 품질에 대한 만족도를심층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면 이는 서비스경영의 시대에 제품의 경쟁우위 검증으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단순히 서비스 품질만을 평가하는 모델과 방법론은 존재하나 ‘감성적 접근’ 과 ‘다양한 입장’이 중요한 서비스디자인의취지와 프로세스를 수용하고 반영하는 서비스디자인 평가 모델은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서비스디자인 본연의가치를 지표화한 평가 모델 개발로 서비스디자인 연구의 폭을 넓히고 더욱 발전할 수 있는 토대를 만들기 위해 본연구를 수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를 위한 연구방법으로는 일차적으로 기존의 서비스 평가모델들을 분석하여 서비스평가에 필요한 필수요소를 도출하였다. 서비스디자인의 특성을 적극 반영하기 위해 서비스디자인의 5원칙Sequencing, Holistic, User Centered, Co-creation, Evidencing의 단계별 특징을 인지하고 정성평가의 주요가이드라인으로 설정하였으며, 서비스디자인의 프로세스에 입각해 평가모델의 전체 구조를 설계하였다. 또한 서비스디자인의 감성적 특성을 구별 지을 수 있도록 서비스 라이프사이클을 3단계로 나누고 각 단계별로 이해관계자 그룹과의교차분석을 통해 라이프사이클에 따른 이해관계자별 검증요소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인 서비스디자인 특화평가모델은 첫째 디자인의 전문영역으로서의 서비스디자인에 특화된 평가모델 개발을 위해 기초연구와 기획에 서비스디자인의 특징이 반영되었고, 둘째 감성어휘에 제한되어 있던 정성평가에 고객감성을 척도화 하는 새로운 방법을제시했으며, 셋째 기업에서 실제로 활용할 것을 염두에 두고 실용성을 기준으로 서비스디자인 특화 정량‧정성 평가모델이 설계되었다. 추후 실제 기업에서 제공되는 제품/서비스를 접하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계된 구조의 정량조사와정성조사를 실시하여 측정항목 및 측정내용에 대한 수정사항을 보완하고, 보다 정확하고 의미 있는 조사결과를 얻을수 있는 서비스디자인 특화 평가모델을 완성시키고자 한다. 서비스디자인 특화 정량/정성 평가모델의 개발완성을위해 본 연구를 기반으로 지속적인 후속연구가 진행 중이다.

      • KCI등재

        담화 능력 평가를 위한 채점기준표 개발 - 수행결정나무(PDT) 방식을 사용하여 -

        이향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21 한국언어문화학 Vol.18 No.1

        지금까지 많은 연구들에서 담화 능력은 수험자의 의사소통 능력을 판단하기 위한 중요한 구인으로 다루어져 왔다. 하지만 담화 능력은 언어 능력의 다른 부분인 문법이나 어휘 혹은 발음 등과 같이 모국어 화자의 발화 직관만으로 평가 기준을 명확하게 기술하기 힘들다. 그래서 지금까지 많은 평가들에서는 담화 능력을 모호하고 주관적인 용어를 사용하여 채점 기준을 기술하고, 그 기준을 사용하여 평가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담화 능력을 평가하는 데 있어서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Fulture(2011)가 제안한 수행기반채점표(performance Decision Tree: PDT) 방식의 채점기준표 개발 방안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이해용․이향(2015)과 이용․이해용(2018)의 후속 연구로 선행연구들에서 다루었던 ‘부탁하기’ 과제에서의 모국어 화자의 담화 구조와 담화 능력별 한국어 학습자들의 담화 특징을 기반으로, 먼저 채점자들의 채점 경향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범주화, 단계화하여 PDT 방식의 채점표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담화 능력 평가를 위한 PDT 방식의 채점기준표는 담화 능력을 평가하는 데 있어 모호함이나 주관성으로 인하여 나타날 수 있는 채점 신뢰도 문제를 해결하여 보다 타당한 채점기준표를 개발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거라 본다. Many researches have argued that discourse competence is a significant part of the communicative competences required for foreign learners. Accordingly, foreign language assessments treat discourse competence as an important construct for determining test takers' communicative competences. However, unlike for other linguistic competences, such as grammar, vocabulary, or pronunciation, it is difficult to present a clear grading scale for discourse competence that is based on the accuracy of native speakers on an absolute standard. As a result, many former assessments have used scoring rubrics with vague and subjective terms. To supplement these previous problems, this research presents a scoring rubric, based on the Performance Decision Tree method, and assesses native speakers’ discourse structures and foreign learners’ discourse characteristics per various levels of discourse competences in a REQUEST task. After conducting an additional analysis on graders’ grading tendencies, this study developed a performance-based scoring rubric by categorizing and sequencing the results. The Performance Decision Tree scoring rubric for discourse competence can contribute towards developing a more valid scoring rubric and solve the problem of scoring reliability, resulting from previous scoring rubrics’ vagueness and subjectivity.

      • KCI등재후보

        타운워칭(town watching)을 통한 공간 특성분석의 시각화 - 성신여대 융합디자인대학 프로그램 사례를 중심으로-

        이향은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와예술연구 2014 문화와예술연구 Vol.4 No.-

        본 논문은 소비자학과 경영학에서 소비자 행태분석 및 시장 트렌드를 파악하기 위한 경험적 조사방법론으로 쓰이고 있는 타운워칭(town watching)법을 이용해 떠오르는 여가조성지의 공간적 특성을 파악하고 유입인구의 행태를 분석한 사례연구를 바탕으로 진행되었다. 디자인 전공생들이 타학문의 조사방법론 을 통해 수집한 정보를 분석하고 그 내용을 시각화함으로써 공 감각적 능력을 키우고, 입체적인 사고력과 정보를 디자인하는 능력, 독창적 표현법을 훈련할 수 있었다. 타운 워칭은 마포구 서교동 와우산로 지역 일대를 대상지로 선정하여 23명의 학생 들이 6개의 조로 나뉘어 팀별 5회 이상 현장조사를 실시하였 다. 팀원들이 관찰일지를 작성하고 사진촬영과 인터뷰를 병행 하며 타운워칭의 비교법, 정점법, 탐정법등을 통해 공간의 특성 과 유동인구의 특성을 분석하여 이 지역의 트렌드와 소비자 라 이프스타일을 도출하였다. 공간에 대한 분석 결과를 인포그래 픽(infographic)으로 시각화함으로써 공간을 구성하고 있는 매 장의 구성별, 속성별, 층별, 소비자 그룹별 지도를 창의적으로 제작하였다. 개발된 인포그래픽은 도표형, 2D 그래픽 지도형, 스토리텔링형 총 세 가지 형태로 분류된다. 도표형 인포그래픽 사례 두 가지는 이 지역을 구성하고 있는 매장에 대한 분석 정 보를 가장 객관적이고 사실적으로 전달하고 있다. 업종의 층별 구성상황을 전달하기 위해 건물을 이미지로 제작해 층별 위치 와 업태를 식별하기 쉽게 그래픽으로 표현하였으며 구성 비율 을 파이차트로 나타냈다. 또한 평면적인 지도 형태로 매장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한 두 번째 사례 역시 업태를 도식화하여 파이차트로 제공하고 있다. 2D 그래픽 지도형 인포그래픽은 두 가지 형태가 개발되었는데 두 사례 모두 업종의 속성별로 그룹 핑을 했으며 이 지역으로 유입되는 사람들의 목적에 따라 매장 의 속성과 매치시켰다. 스토리텔링형 인포그래픽은 세 가지 형 태로 개발되었다. 특히 문화예술 소비 공간으로 부상하고 있는 지역의 특성을 반영하여 인터랙션의 효과를 넣음으로써 사용자 를 참여시키는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한 사례와 타깃별로 맞춤형 지도를 제안하고 팔찌형태의 독특한 인터페이스를 고안했다. SNS를 즐기는 젊은 층이 특히 많이 오는 지역으로 이들에 의 해 재생산되는 지역관련 이미지들을 차용해 고정된 이미지의 지도가 아닌, 살아 숨 쉬며 변화를 거듭하는 인터랙티비티가 강조되기도 했다. 스토리텔링형 인포그래픽의 사례 세 가지는 모두 사용자의 참여를 기반으로 소통하며 함께 만들어갈 수 있 는 스토리 재생산의 여지를 남겨두고 제작이 된 것을 알 수 있 다. 그동안 인포그래픽이 정보를 공급하는데 있어 복잡한 내용 을 한 장으로 정리하는데 주력한 도표형, 지도형 등이 많았다 면 앞으로의 인포그래픽은 정보 수용자의 유형별 속성별로 맞 춤형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공감을 이끌어낼 수 있어야 한다. 스토리텔링형 인포그래픽이 보다 설득력을 가지며 인터랙션이 있을수록 수용자의 능동성을 높이며 살아있는 정보가 될 수 있 다. 타운워칭의 정보를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활용하기 위 해서는 융합디자인 교육에서 참여형 인터랙티브 인포그래픽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is paper was based on the case study by using townwatching which is one of the experimental research methods used in Consumer Science and Business Management for understanding market trends and consumer behavior analysis. Design major students analyzed collected data and visualized it consquently they developed their multidisciplinary thinking. Selected place of townwatching is an area of Wausan-ro at Seogyo-dong and total 23 students are divided into 5 teams for field research. Students made daily records, photo diary and street interview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and then drew the latest trends, lifestyle of a floating population. Developed works are consisted of 2 diagram type infographics, 2 graphic map typed infographics and 3 storytelling typed infographics. Diagram types let us know facts about the shop proportion ratio. Graphic map typed infographics shows attribute information of business district and flows of people. Especially, storytelling-typed one has possibility of development in that user are involved in it's interaction. This type leaves room for reproduction of story. In this point of view, infographic has to provide not only one paper designed information but customized data based on communication with users for sympathy and persuasive power. Creating the infographic through townwatching can be a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convergent design course. And continued research on participatory interactive infographic is needed for a multidisciplinary education.

      • KCI등재

        디자인트렌드예측을 위한 디자이너 경험의 발화조건과 구조에 관한 연구

        이향은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3

        For explaining the model of design trend forecasting, trend forecasting was strengthened in existing frame of design management. Pivotal contents are the source of designer's individual experiences. It's for the planning stage of design process in enterprises and its basic range is the application for establishing new concept or strategy, including research. To achieve it, literature review for design management's frame and study on precedent theories of experiences were conducted. The trend forecasting process which is used actually in external and internal enterprises was examined and examples of successful enterprises' trend forecast management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All of the process is for examining formation process and agents of design trend forecasting based on individual experiences and analytical study was progressed by results of multidisciplinary analysis. For design, kinds and methods of experiences giving inspiration, process of their action and strengths/weaknesses of the process were grasped and realities of current industry were verified. Through the research process, relationship between inspiration and insight and factors of insight were established and designer's individual experiences became source. And then, the process improving forecasting ability was modeling with the source. The sourcing method established by the research contents was structurized by trend forecasting system focusing on designer's intuition. It's organized by five findings;(1)extension of posotive experience, (2)Making it direct from indirect experience, (3)innovation acceptance, (4)utilizing floating experience, (5)stimulating expected mind. 기업에서의 디자인트렌드예측 프로세스는 공통적으로 준비작업 - Key Factor발견 - 교차분석 - 시나리오 도출 - 비전/전략 설정 - 시각화 - 의 6단계로 이루어진다. 선행연구를 통해 통찰력은 디자이너의 개인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형성되며 통찰력이 좋을수록 트렌드 예측력은 높아지게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디자이너에게 축적되어 있는 다양한 경험들을 유형화하고 그 유형별 경험에 대한 개인적인 피드백을 통해 창조적 사고가 일어나며 영감을 얻을 수 있으므로 디자이너의 축적된 경험을 특성에 따라 요인화하고 체계화함에 따라 디자인트렌드를 만드는 영감(창의성)으로 발화시킬 수 있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본 논문에서는 디자인트렌드예측의 모델을 설명하기 위해 기존의 디자인경영 프레임 속에서 트렌드 예측부분을 강화하였는데, 특히 가장 기초단계인 ‘Key Factor발견’의 과정을 다각화하고 Factor의 질을 차별화하기 위해 디자이너 개인의 경험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에 집중하였다. 이를 위해 디자인경영의 프레임에 관한 문헌고찰과 경험에 대한 선행이론 연구, 해외 및 국내 기업에서 실제 사용하고 있는 트렌드 예측프로세스를 조사하고, 성공적인 기업의 트렌드예측경영사례를 조사․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디자이너의 영감에 영향을 주는 디자이너 개인의 경험을 활용하기 위한 조건에는 (1)긍정적 경험의 확장, (2) 간접경험의 직접경험화, (3)혁신수용도와 전파력, (4)부유경험의 활용도, (5)기대심리를 자극해야 한다는 분석결과를 도출했으며 이를 구조화하였다.

      • KCI등재

        열전소자가 적용된 퍼스널 쿨링 제품 디자인을 위한 인체착용형 디자인 팩터 도출

        이향은,최민영,김현석,유하늬 한국상품학회 2019 商品學硏究 Vol.37 No.5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스마트폰과 차별화된 새로운 가치제안이 요구되고 있다. 다양한 기술이 융복합되어 적용되는 웨어러블 기기 개발 시 상품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1.사용자가치(UX), 2.디자인 지식, 3.디자인 요소가 연계된 인체착용형 폼팩터가 제안되어야 한다. 유연열전소자를 이용해 체온조절기능이 있는 퍼스널 쿨링제품을 개발하기 위한 리서치와 사용자 테스트를 진행했다. 이를 위해 밴드형 제품들을 조사 및 분류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각 분류별 제품군에 대한 사용자의 인식 및 감성 조사를 실시하였다. 경쟁제품을 통한 사용자 테스트는 경쟁제품의 첫인상 및 착용방법에 대한 1차 테스트와 사용자의 자율 사용행태를 통한 문제점을 도출하기 위한 2차 테스트를 진행했으며, 제품 착용 후 입체적인 인터뷰를 통해 사용자의 의견을 종합하였다. 실험을 통해 사용설명서를 보지 않고 우선 착용을 시도하는 행동, 한 손으로 착용을 시도하며 약 20초가 소요되는 점, 제품을 거꾸로 착용하는 행동, 착용 후 제품을 돌려보는 행동 등 주요한 행동 패턴이 도출되었다. 도출된 디자인 전략을 구체적으로 적용해 추후 프로토타입을 만들고 추가 실험을 통해 전략이 디자인으로 잘 구현되었는지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 이렇게 도출된 사용자 행동 패턴은 분석을 통해 추후 밴드형 쿨링제품을 디자인하는데 있어 주요한 디자인 전략이자 가이드로 활용되어 사용자의 특성과 목적이 반영된 수요자 중심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개발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는 그동안 연구된 바 없었던 혁신기술인 유연열전소자 기술을 사용해 UX를 고려하고 사용자 조사를 거쳐 퍼스널 쿨링제품을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고안하고 디자인한 최초의 연구로서의 의의를 갖는다. A new value proposition of wearable device is required. it is necessary to propose a human-wearing form factor in which user value(UX), design knowledge are linked. This paper includes research and experiment to develop personal cooling products that have a function of body temperature control by using flexible thermoelectric devices. For this purpose, band-type products were surveyed and classified into 6 categories. Survey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user's perception and emotion of each product category. Then, the usability evaluation was conducted through a competitive product. The user test was for the first impression and the wearing method of the competitive product and the second test for the problem through the user's autonomous use behavior. Experiments have led to major behavioral patterns such as attempting to wear first without looking at the instruction manual, taking about 20 seconds to try wearing with one hand, wearing the product backwards, and turning the product after wearing. The user behavior pattern derived from this analysis will be used as a major strategy and guide in designing future band-type cooling products through analysis. Future study to develop and design working mock up and usability test will be promising. This study is on wearable device using flexible thermoelectric element technology and considering UX for the first time

      • KCI등재

        예측력을 높이기 위한 디자이너의 맥락적 경험과 통찰력의 구성 요인에 대한 연구

        이향은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5

        Design trend means appearance various artifacts around us are changing and stream thought and mind of people treating them are changing. A so-called genius sense which is not explained exactly is formed by designer's individual experiences. Experiences are divided into several types and individual feedback is occurred for experiences by each type. As accumulated experiences become factors and systematized by characteristics, they can be developed to the inspiration (creativity) which makes design trend. Experiences are changed to inspiration and reflected to design. This thesis examined components of designers' intuitive insight, expla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ose components and individual experiences and structurized the process improving trend forecasting ability. To achieve it, literature review for study on precedent theories of experiences were conducted. Also, research methodology of cognitive psychology and brain science was utilized to the analysis process so as to draw intuition and insight which were considered as non-verbal and non-logical area. The creativity which is a foundation of trend forecasting is to reorganize existing experiences and form new network of meaning. In addition, five things such as innovation, integration, carefulness, conservativeness and belief were drawn as factors organizing insight which is a core ability of trend forecasting. The insight is created by individual experiences and creates inspiration. 디자인트렌드란 우리를 둘러싼 다양한 인공물들이 변하는 모습과 이를 대하는 사람들의 생각과 마음이 어떻게 달라지고 있는가에 대한 흐름을 말한다. 디자인관점에서의 트렌드 예측력이 기업경영의 중추적 역할을 하게 됨으로써 이에 보다 직관적이고 감성을 기반으로 한 트렌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트렌드를 예측하는데 사용자이자 소비자인 디자이너들 개개인의 심리변화 및 변화의 동인(動因)을 밝혀내는 미시적 접근을 보이고 있는 추세이다. 트렌드예측에서 시계열분석 시계열분석(time series analysis, 時系列分析)이란 시계열 데이터에 바탕을 두고 연속적인 관찰치를 토대로 미래 특정 시점의 값을 예측하는 분석 방법을 말한다. 만큼 전통적이고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이 디자이너들의 직관적인 통찰력이다. 명확히 설명되지 않는 소위 '천재적인 감각'이라는 것은 디자이너의 개인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형성된다. 경험은 여러 유형으로 나뉘며, 유형별 경험에 대한 개인적인 피드백이 일어나게 된다. 축적된 경험을 특성에 따라 요인화하고 체계화함에 따라 디자인트렌드를 만드는 영감(창의성)으로 발화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디자이너들의 직관적인 통찰력을 구성하는 요인을 살펴보고, 이 요인들과 개인의 경험들과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경험에 대한 선행연구의 문헌고찰과 함께 비언어․비논리적인 영역으로 간주되었던 직관력과 통찰력의 요인을 추출해내기 위해 인지심리학과 뇌과학 분야의 이론을 고찰함으로써 다학제적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해석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트렌드 예측력에 핵심능력인 통찰력을 구성하는 요인으로 혁신성, 통합성, 세심성, 보수성 그리고 소신 이렇게 5가지를 도출해냈다. 경험이 통찰력을 만들고, 통찰력이 영감을 창출시키며, 이 일련의 과정이 트렌드 예측력으로 재구성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